|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 Child Stud > Volume 45(1); 2024 > Article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을 통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구조제공의 조절된 매개효과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dolescent creative person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adolescent life satisfaction. Additionally, the study explore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arental structure provi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dolescent creative personality, and life satisfaction.

Methods

A total of 2,590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surveyed in 2018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produc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targeted. Adolescents responded to questions about parental autonomy support, parental structure provision, creative personality, and life satisfac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PROCESS macro version 4.2 (Hayes, 2022); Model 4 was employ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adolescent creative personality and model 1 and 7 for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structure provision.

Results

This study derived the following key findings. First,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adolescent creative personality was obser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adolescent life satisfaction. Parental autonomy support had a direct positive impact on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Additionally, as the level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increased, adolescent creative personality also increased, which led to higher life satisfaction. Second,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structure provision was observed for the impact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on adolescent life satisfaction through adolescent creative personality.

Conclusion

The results can be utilized as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parental education, and educational settings, thereby aiming to promote adolescents’ creativity and, subsequently, a satisfying life.

Introduction

통계청(2022)에서 발표한 ‘아동·청소년 삶의 질 2022’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아동 ·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는 OECD 30국 중 27위로 최하위권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높은 학업부담과 여가시간 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반영하며,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자신의 삶을 만족스럽게 여기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심리·사회적으로 자아정체감을 갖는 것을 과업으로 하는 청소년기에(Erikson, 1963) 이와 같이 낮은 삶의 만족을 나타내는 것은 청소년들이 긍정적인 자기 인식을 바탕으로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하는 것을 방해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자신의 삶을 만족스럽게 인식하도록 하기 위한 환경적 요인에 대한 탐색이 요구된다.
청소년이 접한 다양한 환경 중 청소년의 심리적 상태에 무엇보다 큰 영향을 끼치는 환경은 부모가 제공하는 양육환경이다. 부모는 생애 초기부터 청소년기에 이르기까지 자녀에게 물리적·정서적 지원을 하며, 자녀의 롤모델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특히 청소년기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는 자녀가 경험하는 학교적응과 학업부담에 따른 스트레스를 이겨낼 수 있는 정서적 지지의 역할을 하고 자신의 삶을 만족스럽게 만들어 나갈 수 있는 내적인 자원을 형성하도록 돕는다. 예를 들어,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은 자녀의 자아존중감(E. Cho, Song, & Lee, 2022; S. Jeon & Seo, 2022; H. Y. Lee, 2015; Yoo & Park, 2010), 자율성, 유능성 및 관계성(J. Y. Kim & Son, 2023)과 같은 개인적 역량을 강화하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Yoo & Park, 2010), 삶의 만족도(Chae, 2013; S. Jeon & Seo, 2022; J. Y. Kim & Son, 2023)를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선행연구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내적역량을 강화시키고, 청소년이 심리적으로 건강한 삶을 살기 위해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부모의 양육태도의 다양한 측면을 통합하여 긍정적 양육태도가 자녀의 심리적 측면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중심으로 논의 되어왔다. 그러나 양육(parenting)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양육방식을 구체화하여 핵심 특징을 크게 세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였는데, 이러한 차원은 따뜻함 대 거부(warmth vs rejection), 구조 대 혼돈(structure vs chaos), 그리고 자율성지지 대 강요(autonomy support vs coercion)이다(Skinner, Johnson, & Snyder, 2005). 이 중 따뜻함, 구조, 그리고 자율성지지는 긍정적 아동발달에 중요한 세 가지 측면이며, 이러한 각각의 측면에 대척점을 이루는 것이 거부, 혼돈 그리고 강요이다. 따라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알아보기 위해서는 양육태도를 구체화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에 있어 부모의 양육태도 중 어떠한 측면의 양육태도가 직접적으로 의미 있는 역할을 하며, 그러한 양육태도가 청소년 자녀의 어떠한 개인적 역량을 강화시킴으로서 간접적으로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는지에 주목하여 영향 요인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자기결정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Deci & Ryan, 1985;Ryan & Deci, 2000)에서는 개인의 삶의 질(well being)을 결정하는 심리적 요소를 자율성(autonomy), 능력(competence), 관계(relatedness) 세 가지로 보았으며, 이러한 심리적 요구가 충족되었을 때 개인의 삶을 만족스럽게 여길 수 있다고 하였다. 그중에서도 자율성이 충족될 때 개인의 긍정적 정서가 증가하며, 스스로 수행해야 할 과제나 극복해야 할 문제에 대해 더 잘 인지하고 행동하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안녕감을 느낄 수 있다(Joussemet, Koestner, Lekes, & Houlfort, 2004). 이러한 자기결정이론의 주장을 고려하였을 때 부모의 양육태도 중 자율성 지지는 청소년이 자신의 삶을 만족스럽게 여기는 데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자율성지지는 구체적으로 자녀의 선택과 행동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주도권을 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Deci & Ryan, 2013). 자녀의 자율성을 지지하는 양육태도는 유아기에서 청소년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발달단계에 걸쳐 자녀의 행복, 그리고 행복한 삶의 지표가 되는 삶의 만족(H. H. Jung & Park, 2019)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지목되어 왔다. 유아기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어머니가 자녀의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스스로 행동할 수 있도록 도울수록(M. O. Lee & Do, 2016;Shin & Kim, 2018), 자녀의 자율성을 지지할수록 유아의 행복감이 높았다(H. M. Choi & Kim, 2022). 또한 아동 대상 연구에서도 부모가 자율성을 지지할 때 아동의 행복감이 증가하였으며(S. Y. Park, Shin, & Kwak, 2021), 아동의 자율성은 삶의 만족(E. B. Lee, Hwang, & Kim, 2022)과 행복감을 높이는 요인이었다(Y. S. Choi & Lim, 2023; Y. Han, 2020; H. J. Kim & Lee, 2019;Yim, Kim, & Chung, 2018).
특히 청소년기는 성인기로의 진입을 위해 부모로부터의 독립성을 획득하고자 노력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자신의 삶에서 스스로 크고 작은 선택을 하고, 스스로를 통제하는 경험이 삶을 만족스럽게 여기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청소년 대상 연구에서는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청소년의 행복감을 증가시키고(T. K. Kim, 2022),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H. J. Cho & Kil, 2023). 이는 부모가 자녀와 상호작용함에 있어 자녀의 내적동기와 표현의 자유를 손상시키지 않을 때 더 긍정적으로 발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Barber, 1996;Deci & Ryan, 1985;Grolnick & Slowiaczek, 1994). 따라서 청소년들은 부모로부터 자율성을 지지받을 때 내적 역량을 발달시키고 긍정적인 정서를 느낌으로써 자신의 삶을 더욱 만족스럽게 인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청소년의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부모의 자율성지지는 청소년이 삶을 만족스럽게 살기 위해 필요한 내적 역량을 강화시킴으로써 청소년의 삶의 만족에 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청소년의 삶의 만족을 높일 수 있는 내적 역량 중 하나는 창의적 역량이다. 인간은 누구나 무언가를 발견하고 창조하는 과정을 통해 즐거움을 느끼며, 창의적 역량은 예측불가능한 상황에서 문제를 극복하는 데 필요하기 때문에(Csikszentmihalyi, 2003), 창의적인 사람은 자신의 삶을 더 만족스럽게 여길 수 있다. 창의성을 연구해 온 대표적 학자인Csikszentmihalyi (1997)는 몰입과 창의적 활동을 하는 것 자체가 행복의 질을 결정한다고 보았으며, 더 나아가 창의적 활동을 통해 창의적 산물을 만들었을 때의 성취감 역시 개인에게 만족감과 행복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Isaksen & Treffinger, 1987). 선행연구에서도 창의성과 삶의 만족도는 높은 상관이 있었으며(Liu & Cho, 2020), 창의성, 창의적 활동 및 창의적 특성 등 창의성과 관련된 변수들은 행복을 느끼게 하는 요인이자(Chun, 2016;Cohen, 2000;Hurwich & Leclere, 1992;Isaksen & Treffinger, 1987;Kahn, 1998;Koo, 2010;Layton, 1984; S. H. Park, 2008), 주관적 안녕감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Jeong, 2019; S. B. Park & Park, 2010).
창의성과 관련된 많은 변인 중에서도 창의적 성격(creative personality)은 창의성에 대한 암묵적 이론을 바탕으로 한 개념으로, 창의적인 사람이 가진 특성을 의미한다(Choe & Pyo, 2014). 창의적 성격에는 다양한 특성이 포함되는데, 대표적으로는 민감성과 독립성(Torrence, 1981)을 들 수 있으며, 고집, 지배에 대한 저항, 독단성, 집단활동에 대한 회피, 변덕, 자기중심성과 같은 사회적응에 다소 부정적 측면의 특성들도 포함될 수 있다(Davis, 1998). 이와 같은 창의적 성격의 다양한 측면으로 인해 창의적 성격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역시 다양한 결과가 공존한다. 예를 들어,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이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선행연구(S. Y. Jung, Kim, & Kim, 2022)에서는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이 학교생활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학업성적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보고하였다. 또 다른 선행연구(Lim, 2007)에서는 교사가 지각하기에 창의적 성격을 가진 학생의 경우 또래관계에서 부적응적이며, 사회적 고립을 경험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창의적 성격의 복합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창의적 성격이 실제 청소년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또한 부모는 청소년의 성격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존재이기 때문에, 부모의 양육태도는 앞서 설명한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 발달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선행연구에서는 자율성 지지를 포함한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E. J. Park, 2023;Sung, 2021), 부정적인 양육태도나 비일관적인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그릿을 통해 창의적 성격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보고하였다(E. J. Park, 2023;Hur, 2023). 그러나 또 다른 연구(M. R. Han &Kim, 2023)에서는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자녀의 창의적 성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나타나 비일관적인 연구결과가 공존한다.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창의적 성격이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의 특성들이 모두 포함될 수 있음을 고려하였을 때(Davis, 1998;Torrence, 1981), 부모의 양육태도 중 어떠한 측면이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구체화된 검증이 필요하다. 다양한 부모의 양육태도 중 자율성지지가 자녀의 내적동기에 의해 스스로 선택하고 행동하도록 돕는 측면임을 고려하였을 때(Deci & Ryan, 2013), 독립적이고 집단에 순응적이지 않은 창의적 성격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로 선행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태도 중 자율적 양육태도가 자녀의 창의성(K. N. Jeon, 2021), 창의적 사고와 성격(Hah & Park, 2012)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한 바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부모가 자율성을 지지하는 양육을 하는 것이 청소년 자녀의 창의적 성격을 통해 삶의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 보고자 한다.
한편 부모의 자율성지지의 대척점을 통제로 볼 때(Deci & Ryan, 2013), 자율성지지 대 통제의 이상적인 수준은 극단적으로 자율성만을 제공하지 않으면서 적절한 통제가 제공되는 양육태도로 볼 수 있다(Lim, 2007). 그 이유는 사회적으로 허용되는 한계를 자녀에게 명확히 이해시켰을 때, 자녀의 더 나은 사회적응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부모가 자녀에게 충분히 자율성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되, 사회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것이나, 스스로에게 해로운 선택에 대해 논리적으로 설명하여 이해시키는 것이 이상적인 양육태도라 볼 수 있다. 양육에서 구조제공은 이처럼 명확하고 일관된 기대와 한계를 설정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구조제공은 아동의 긍정적 발달을 돕고, 특히 규칙을 내재화하고 자기효능감을 발달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lammer, 1995;Kochanska, 1993;Schneewind & Pfeiffer, 1995). 따라서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을 통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부모의 자율성지지뿐 아니라 구조제공의 역할을 함께 알아볼 필요가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구조제공을 포함한 부모양육태도가 긍정적일 때 청소년 자녀의 창의적 성격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는 결과가 있는 반면(E. J. Park, 2023), 창의적 성향(S. Park & Chung, 2021)이나 창의적 성격(M. R. Han & Kim, 2023)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결과도 존재한다. 부모의 양육태도를 다양한 차원으로 구분하여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선행연구(Sung, 2021)에서는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구조제공 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부모의 거부 수준이 낮을수록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 자녀의 삶의 만족에 대한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구조제공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선행연구(E. Cho, Song, & Lee, 2022;Yeom & Lee, 2020)에서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에 있어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구조제공의 상호작용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부모의 자율성지지 수준이 낮을 때에는 부모의 구조제공이 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던 반면, 부모의 자율성지지 수준이 높을 때에는 부모의 구조제공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E. Cho, Song, & Lee, 2022), 부모의 구조제공이 높을 때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더 커졌다(Yeom & Lee, 2020). 이러한 결과는 부모가 아무런 제한 없이 자녀의 자율성을 인정하거나, 자녀의 자율성을 배려하지 않고 부모가 정한 한계만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자녀에게 자율성지지와 구조제공을 함께 제공하였을 때 자녀의 삶의 만족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인 자율성과 유능성을 충족시킴으로써 심리적 적응을 도울 수 있음을 보여준다(Mouratidis, Vansteenkiste, Michou, & Lens, 2013).
이러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을 통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부모의 구조제공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구조제공의 수준이 상호작용하여 청소년 자녀의 창의적 역량을 반영하는 성격특성인 창의적 성격에 기여함으로써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알아본 연구는 드물며, 이러한 관계에 대한 실증적인 검증이 요구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을 통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의 구조제공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으며, 연구모형은 Figure 1에 제시하였다.

연구문제 1

부모의 자율성지지는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을 통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을 통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의 구조제공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가?

Methods

연구대상

이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생산하는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중학교 1학년 코호트 자료 중 2018년도에 조사된 중학교 1학년 남녀 청소년 2,5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학생은 다른 시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삶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보고되며(M. Han et al., 2012), 특히 중학교 1학년 청소년은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진학하면서 학교적응과 학업부담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증가하는 시기이므로, 삶의 만족이 저하될 수 있기에 이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성별은 남자 청소년이 1,405명(54.2%), 여자 청소년이 1,185명(45.8%)이었으며, 학교를 기준으로 한 지역규모의 경우, 대도시가 1,087명(42.0%), 중소도시가 1,136명(43.9%), 읍면지역이 367명(14.2%)로 나타났다.

연구도구

부모의 자율성지지

부모의 자율성지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T.Kim과 Lee (2017)의 「한국판 청소년용 동기모형 양육태도척도」의 하위문항인 자율성지지의 네 문항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해당 척도는 부모의 양육태도를 따스함과 거부, 자율성 지지와 강요, 구조제공과 비일관성의 6요인으로 구분하였으며, 이 중 자율성지지는 부모가 자녀와 상호작용할 때 표현의 자유나 본질적 동기를 손상시키지 않는 방식으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Skinner, Johnson, & Snyder, 2005). 문항의 예로는 “부모님은 나를 믿어 주신다.”, “부모님은 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일을 하게 해주신다.” 등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모든 문항에 대한 점수의 평균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부모의 자율성지지 점수가 높을수록 부모가 자녀에게 자율성을 지지하는 양육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문항의 신뢰도(Cronbach’s α)는 .88이었다.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은Gough와 Heilbrun(1983)의 창의적 특성 척도 Creative Personality Scale [CPS]의 원문항을 번안한Choe와 Pyo (2014)의 30개 문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창의적 특성 척도(CPS)의 문항은 창의적 성격특성과 관련한 30개의 형용사로 구성되어 있으며(Gough, 1979), 그 중 18개 형용사는 창의적 성격 특성을 나타내며, 12개의 형용사는 비창의적 성격 특성을 나타낸다. 창의적 성향문항(indicative items)의 예로는 ‘유능한(capable)’, ‘영리한(clever)’, ‘발명에 재능이 있는(inventive)’ 등이 있으며, 비창의적 성향문항(contraindicative items)의 예로는 ‘가식적인(affective)’, ‘매사에 조심스러운(cautious)’, ‘관습적인(conventional)’ 등이 있다. 응답자는 자신을 잘 나타내는 형용사에 표시를 하는데, 이 때 표시된 형용사가 창의적 성향 문항이면 1점을 부여하고, 비창의적 성향 문항이면 1점을 감점한다. 총점의 범위는 -12점에서 18점이며, 이 연구에서는 총점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창의적 성격의 점수가 높을수록 청소년이 창의적 성격 특성을 많이 가진 것을 의미한다.

청소년의 삶의 만족

청소년의 삶의 만족은 Diener, Emmons, Larsen과 Griffin (1985)의 삶의 만족도 척도의 번안문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문항은 총 5문항이며, 문항의 예로는 “전반적으로 볼 때, 나의 삶은 나의 이상에 가깝다.”, “지금까지 내 삶에서 내가 원하는 중요한 것들을 이루어 냈다.” 등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모든 문항의 평균값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삶의 만족 점수가 높을수록 청소년이 자신의 삶을 만족스럽게 생각하는 것을 의미한다. 문항의 신뢰도(Cronbach’s α)는 .85이었다.

부모의 구조제공

부모의 자율성지지는 T.Kim과 Lee (2017)의 한국판 청소년용 동기모형 양육태도척도의 하위문항인 구조제공의 네 문항을 사용하였다. 해당 척도는 부모의 양육태도를 따스함과 거부, 자율성 지지와 강요, 구조제공과 비일관성의 6요인으로 구분하였으며, 이 중 구조제공은 부모가 자녀에게 명확하고 일관된 기대와 한계 설정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Skinner et al., 2005). 문항의 예로는 “내가 무언가 하려고 할 때, 부모님이 어떻게 하라고 가르쳐 주신다.”, “어떤 일이나 사물이 있을 때 부모님이 어떻게 해결해야할지 도움을 주신다.” 등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모든 문항에 대한 점수의 평균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부모의 구조제공 점수가 높을수록 부모가 자녀에게 구조를 제공하는 양육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문항의 신뢰도(Cronbach’s α)는 .80이었다.

연구절차

이 연구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KYPI)에서 생산하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조사의 모집단은 2018년 기준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교육부의 ‘2017 교육기본통계’를 표집틀로 하였으며, 표본의 추출은 다단계 층화집락추출법(multistage stratified cluster sampling)을 사용하여 원표본을 구축하였다(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KYPI], 2023). 이 데이터의 사용을 위하여 KYPI의 ‘한국 아동· 청소년· 청년 데이터 아카이브’에서 데이터 신청에 대한 동의를 거쳐 자료를 다운로드 받았으며,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중학교 1학년 코호트 자료 중 2018년도에 조사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PROCESS macro version 4.2 (Hayes, 202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연구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셋째,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여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넷째, PROCESS macro version 4.2 (Hayes, 2022)의 Model 4를 이용하여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청소년의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창의적 성격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PROCESS macro version 4.2 (Hayes, 2022)의 Model 1, 7을 이용하여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을 통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의 구조제공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Results

상관분석

부모의 자율성지지, 구조제공,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 및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1에 제시하였다. 우선, 부모의 자율성지지는 부모의 구조제공(r = .54, p < .001),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r = .13, p < .001) 및 청소년의 삶의 만족(r = .43, p < .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구조제공은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r = .13, p < .001) 및 삶의 만족(r = .35, p < .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은 삶의 만족과 유의한 정적 상관(r = .23, p < .001)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모든 변인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모형검증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창의적 성격을 통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PROCESS macro의 model 4를 활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2). 우선,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β = .41, p < .001). 즉, 부모가 자녀의 자율성을 지지하는 양육을 할수록 청소년은 삶의 만족을 높게 인식하였다. 다음으로,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을 통해 삶의 만족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면, 부모의 자율성지지는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β = .13, p < .001),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은 삶의 만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β = .17, p < .001)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가 자녀의 자율성을 지지하는 양육을 할수록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 수준이 높아졌으며, 이는 높은 삶의 만족으로 이어졌다.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청소년의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의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을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을 통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B = .02, 95%, CI [.02, .03])는 신뢰구간에 0을 포함하지 않아,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부모의 자율성지지는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을 통해 삶의 만족에 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창의적 성격을 통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구조제공의 조절된 매개효과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창의적 성격 간 관계에서 부모의 구조제공의 조절효과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의 구조제공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PROCESS macro의 model 1을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4와 같이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구조제공의 상호작용항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B = .70, p < .001). 다음으로, 부모의 구조제공의 조건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특정 값 선택방법을 사용하여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부모의 구조제공이 -1SD(2.52)일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부모의 자율성지지는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B = .27, NS). 반면 부모의 구조제공이 평균(3.06)일 경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부모의 자율성지지는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B = .64, p < .001). 또한 부모의 구조제공이 +1SD(3.60)인 경우 부모의 자율성지지는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B = 1.02, p < .001). 즉, 부모의 구조제공 정도가 높아질수록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부모의 구조제공은 정(+)의 조절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시각화한 그래프는 Figure 2와 같다.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창의적 성격을 통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구조제공의 조절된 매개효과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을 통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의 구조제공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PROCESS macro의 model 7을 활용하였으며,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 분석을 사용하여 95% 신뢰구간에서 5,000번 반복 추출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Table 6과 같다. 우선, 조절된 매개지수와 매개지수 추론 검정의 결과물을 확인한 결과, 조절된 매개지수는 .02이고, 신뢰구간이 0을 포함하지 않아(95%, CI [.01, .04])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간접효과가 부모의 구조제공의 어떤 영역에서 유의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호작용을 탐색한 결과,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을 통해 삶의 만족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부모의 구조제공이 낮을 경우(B = .01, CI [.00, .02]), 평균일 경우(B = .02, CI [.01, .03])와 높을 경우(B = .03, CI [.02, .05])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부모의 구조제공이 커질수록 매개효과의 값이 커졌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높을수록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 수준이 증가하고, 이를 통해 삶의 만족 수준이 높아지는 관계를 부모의 구조제공이 유의미하게 강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Discussion

이 연구는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을 통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경로에서 부모의 구조제공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청소년의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먼저, 부모의 자율성지지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부모의 자율성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청소년은 삶을 만족스럽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과 청소년 대상 연구에서 부모가 자녀의 자율성을 지지할수록 자녀의 행복감이 증가하고(H. M. Choi & Kim, 2022; T. K. Kim, 2022; S. Y. Park, Shin, & Kwak, 2021),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H. J. Cho & Kil, 2023)을 준다고 보고한 선행연구의 결과와 맥락을 같이한다. 또한 삶의 질을 결정하는 심리적 요소로서 자율성을 강조한 자기결정이론(Deci & Ryan, 1985;Ryan & Deci, 2000)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특히 부모로부터의 독립성을 추구하는 청소년 자녀들은 부모가 자신의 자율성을 적극적으로 지지할 때 심리적 안정을 느끼며,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선택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환경에 대한 통제감을 느껴 삶을 만족스럽게 느낄 수 있었을 것으로 해석된다.
다음으로,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을 통해 삶의 만족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과 관련하여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즉, 부모의 자율성 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 수준이 높아졌으며, 이는 높은 삶의 만족으로 이어졌다. 이는 부모의 양육태도 중 자율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창의성을 증가시키며(K. N. Jeon, 2021), 자율성지지를 포함한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E. J. Park, 2023;Sung, 2021), 부정적인 양육태도나 비일관적인 양육태도는 그릿을 통해 간접적으로 창의적 성격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보고한(Hur, 2023; E. J. Park, 2023) 선행연구의 결과들과 맥락을 같이한다. 그러나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자녀의 창의적 성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보고한 선행연구(M. R. Han & Kim, 2023)와는 다른 결과인데, 이러한 차이는 이 연구가 부모의 다양한 차원의 양육태도 중 자율성지지의 영향만을 알아보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즉 자율성지지는 양육에서 자녀의 내적동기를 존중 해주는 측면이기 때문에 관습에 얽매이지 않고 새로운 것을 창조 해낼 수 있는 성격특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창의성과 삶의 만족 간의 높은 상관을 보고한 선행연구(Liu & Cho, 2020) 및 창의성과 관련된 변수들이 행복을 느끼게 하는 요인이며(Chun, 2016;Cohen, 2000;Hurwich & Leclere, 1992;Isaksen & Treffinger, 1987;Kahn, 1998;Koo, 2010;Layton, 1984; S. H. Park, 2008), 주관적 안녕감을 높이는 요인임을 보고한(Jeong, 2019; S. B. Park & Park, 2010) 선행연구의 결과들과도 유사한 결과이다. 또한 몰입과 창의적 활동(Csikszentmihalyi, 1997)이나 창의적 산물을 만들었을 때의 성취감이 개인에게 만족감과 행복감을 준다고 제안한 선행연구(Isaksen & Treffinger, 1987)의 주장을 지지하는 결과이기도 하다. 즉 자율성을 존중받는 양육환경 안에서 청소년은 보다 쉽게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성격특성을 갖추게 되고, 창의적 성격은 삶에서 창조적 활동을 통한 즐거움과 성취감을 불러일으키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Csikszentmihalyi, 1997; 2003) 만족스러운 삶을 살아가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연구의 결과는 교사가 지각하기에 창의적 성격을 가진 학생이 또래관계에서 부적응적이며, 또래로부터 사회적 고립을 경험할 수 있다고 보고한 선행연구(Lim, 2007)와는 상반되는데, 이러한 차이는 창의성이 사회문화적 맥락과 상호작용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Csikszentmihalyi (1996)는 체계 모형을 통해 창의성의 구성요소를 영역(domain), 분야(field), 개인(individual)으로 보았다. 즉, 개인이 아무리 창의적 성격특성을 많이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개인이 창의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창의적인 사람이나 그의 결과물을 창의적이라고 평가하고 수용하는 사회환경적 맥락이 함께 존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양육 환경뿐 아니라 학교를 포함하여 청소년이 접한 사회문화적 환경이 개인의 개성과 호기심을 존중하고, 창의적인 결과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방향성을 가질 때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이 삶의 만족에 더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부모의 자율성지지,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구조제공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모의 구조제공은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창의적 성격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으며, 부모의 구조제공의 조절된 매개효과 역시 유의미하게 나타나, 부모의 구조제공 수준이 증가할수록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을 통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도 커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시 말해 부모의 구조제공 수준이 높을수록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더 커졌다. 또한 부모의 자율성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의 창의적 성격 수준이 높아지고, 높은 삶의 만족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부모의 구조제공이 이러한 관계를 강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구조제공을 포함한 부모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는 선행연구(E. J. Park, 2023), 그리고 청소년의 삶의 만족에 있어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구조제공의 상호작용효과가 있음을 확인한 선행연구(E. Cho, Song, & Lee, 2022;Yeom & Lee, 2020)와 맥을 같이한다. 그러나 이 연구의 결과는 자율성지지와 구조제공을 포함한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가 창의적 성향(S.Park & Chung, 2021)이나 창의적 성격(M. R. Han & Kim, 2023)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보고한 결과와는 다소 상반되는 결과이다. 해당 선행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태도의 다양한 차원을 구분하지 않고, 긍정적인 양육태도가 창의적 성향(S. Park & Chung, 2021)이나 창의적 성격(M. R. Han & Kim, 2023)에 미치는 영향만을 알아보았으나, 이 연구에서는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구조제공의 상호작용이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하였기 때문에 상반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양육의 다양한 차원 중에서도 부모의 높은 자율성지지와 구조제공이 함께 이루어졌을 때 청소년 자녀의 창의적 성격이 극대화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자율성지지는 자녀에 대한 과도한 통제를 최소화하고 자녀의 관점, 선택이나 가치관 등을 수용하는 양육(Grolnick & Ryan, 1989)으로서 자녀가 자신의 내적동기를 바탕으로 창조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창의적 성격특성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때의 자율성은 자녀의 모든 판단과 행동을 허용하고 지지하는 무조건적인 자율성이 아니라, 사회적인 규칙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나 사회적 상황의 인과관계에 대한 논리적인 설명을 통해 청소년이 명확한 한계를 인지한 상태에서의 자율성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자녀의 창의적 성격 발달과 만족스러운 삶이 가능해진다는 것을 이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을 통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의 구조제공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한 이 연구의 결과는Csikszentmihalyi (1996)의 체계모형에서 창의성이 개인과 환경체계가 상호작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강조한 것과 같이 청소년이 창의적 역량을 발휘하기 위한 성격특성인 창의적 성격을 갖추기 위해서는 자율성 존중에 기반한 내적동기뿐 아니라 사회의 명확한 규율이나 사회적 상황에 대한 이해와 같은 사회환경에 대한 인지적 이해가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이 창의적 성격을 발달시키고, 나아가 이를 통해 만족스러운 삶을 살기 위해서는 양육환경에서 청소년의 자율성을 지지하는 것뿐 아니라, 사회적 규칙과 한계를 명확하게 설명하는 과정이 필수적임을 보여준다.
이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횡단연구로서의 한계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다른 시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삶의 만족도가 낮아진다고 보고된(M. Han et al., 2012) 중학교 1학년 청소년을 대상으로 변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그러나, 아동의 창의적 성격 점수가 연령에 따라 증가하며(K. H. Lee & Choi, 2006), 중학생의 경우 창의적 성격 점수가 연령에 따라 감소하였다는 선행연구(Hur, 2023)를 고려하였을 때, 추후 창의적 성격을 다루는 연구에서는 연령별 차이를 살펴보거나, 종단연구를 통해 영향력의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둘째, 이 연구는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다양한 환경체계 중 부모의 영향력만을 알아보았다는 데 한계가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높은 자율성지지와 구조제공이 함께 이루어졌을 때 청소년 자녀의 창의적 성격특성이 더욱 커지며, 창의적 성격 특성이 클수록 높은 삶의 만족으로 이어지는 결과를 확인하였는데, 이는 교사가 지각하기에 창의적 성격을 가진 학생이 학교적응에 부정적일 수 있음을 보고한 선행연구(Lim, 2007)와 대비되는 결과였다. 이러한 결과는Csikszentmihalyi (1996)가 체계모형을 통해 창의성 발휘에 있어 개인뿐 아니라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을 고려하였을 때 개인의 창의적 성격이 사회적 적응이나 삶의 만족으로 이어짐에 있어 그러한 창의적 성격특성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평가하는 환경이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다양한 사회문화적 환경의 영향력을 심층적으로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과 삶의 만족에 있어 부모양육태도의 다양한 차원 중 자율성지지와 구조제공이 상호작용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였으며, 그 결과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구조제공이 함께 높은 수준으로 이루어졌을 때 청소년 자녀의 창의적 성격 수준이 더 높아지고 이를 통해 높은 삶의 만족을 느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창의성을 발달시키는 환경에 대한 선행연구(H. M. Choi & Kim, 2022;Feng & Choi, 2019;Ko, Lee, & Kim, 2018;Moon, 2022)에서는 부모, 교사의 자율성지지나 직무환경에서의 자율성 등 개인의 자율성을 강조해왔다. 그러나 창의적 성격 특성에는 고집, 지배에 대한 저항, 독단성, 집단활동에 대한 회피, 변덕, 자기중심성과 같이 사회적응에 다소 부정적 측면의 특성들도 포함될 수 있으며(Davis, 1998), 창의성은 개인의 특성뿐 아니라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해야 한다(Csikszentmihalyi, 1996).
따라서 이 연구는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이 만족스러운 삶을 느끼도록 하는 기제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자율성에 대한 욕구 충족뿐 아니라, 사회에서 요구하는 규칙과 한계를 명확하게 인식하는 과정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더불어 청소년이 창의적인 역량을 발휘하고 만족스러운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가정이나 학교에서 자신의 내적동기를 바탕으로 한 결정을 존중받는 경험과 명확한 사회적 규칙을 교육받는 경험 간의 균형이 적절히 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부모교육, 상담 및 정책이 개발되어 청소년이 창의성을 촉진 시키고, 나아가 만족스러운 삶을 살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Notes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Figure 1
Figure 1
Research model.
kjcs-45-1-15f1.jpg
Figure 2
Figure 2
Moderating effect of parental structural provi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adolescent creative personality.
kjcs-45-1-15f2.jpg
Table 1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Parental Structure Provision, Adolescent Creative Personality, and Adolescent Life Satisfaction
1 2 3 4
1. Parental autonomy support -
2. Parental structure provision .54*** -
3. Adolescent creative personality .13*** .13*** -
4. Adolescent life satisfaction .43*** .35*** .23*** -

Note. N = 2,590.

*** p < .001.

Table 2
Mediating Effect of Adolescent Creative Person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Adolescent Life Satisfaction
B β SE t R2 F
Parental autonomy support Adolescent creative personality .73 .13 .11 6.87*** .02 47.24
Parental autonomy support Adolescent life satisfaction .42 .41 .02 23.05*** .2 351.76
Adolescent creative personality Adolescent life satisfaction .03 .17 .00 9.91***

Note. N = 2,590.

*** p < .001.

Table 3
Significance Testing of Mediating Effect
Effect BootSE 95% CI
BootLLCI BootULCI
Parental autonomy support .02 .01 .02 .03
→ Adolescent creative personality
→ Adolescent life satisfaction

Note. N = 2,590.

Table 4
Moderating Effect of Parental Structure Provi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Adolescent Creative Personality
Path B SE t LLCI ULCI
Constant 5.07 1.67 3.04** 1.80 8.34
Parental autonomy support -1.49 .50 -3.00** -2.46 -.52
Parental structure provision -1.93 .59 -3.26*** -3.08 -.77
Parental autonomy support X Parental structure provision .70 .17 4.15*** .37 1.02

Note. N = 2,590.

** p < .01.

*** p < .001.

Table 5
Results of the Specific Values of Parental Structure Provision in its Impact on Adolescent Creative Personality
Parental structure provision Effect SE t LLCI ULCI
-1SD(2.52) .27 .14 1.92 -.01 .54
M(3.06) .64 .13 4.94*** .39 .90
+1SD(3.60) 1.02 .18 5.76*** .67 1.37

Note. N = 2,590.

*** p < .001.

Table 6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arental Structural Provi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dolescent Creative Personality, and Adolescent Life Satisfaction
Moderated mediation index
Index BootSE 95% CI
LLCI ULCI
Parental structure provision .02 .01 .01 .04
Conditional indirect effect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on adolescent life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value of parental structure provision
Parental structure provision B BootSE 95% CI
LLCI ULCI
-1SD(2.52) .01 .01 .00 .02
M(3.06) .02 .01 .01 .03
+1SD(3.60) .03 .01 .02 .05

Note. N = 2,590.

*** p < .001.

References

Barber, B. K. (1996).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Revisiting a neglected construct. Child Development, 67(6), 3296-3319 doi:10.1111/j.1467-8624.1996.tb01915.x.
crossref pmid
Cohen, G. D. (2000). The creative age. NY: Avon Books.

Csikszentmihalyi, M. (1996).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New York: Harper Collins.

Csikszentmihalyi, M. (1997). Living well: The psychology of everyday life. London: Weidenfeld and Nicholson.

Davis, G. A. (1998). Creativity is forever. Dubuque, Iowa: Kendall-Hunt Publishing Co.

Deci, E. L., & Ryan, R. M. (1985). The general causality orientations scale: Self-determination in personalit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19(2), 109-134 doi:10.1016/0092-6566(85)90023-6.
crossref
Deci, E. L., Ryan, R. M. (2013). The importance of autonomy for development and well-being. Self-regulation and Autonomy: Social and Developmental Dimensions of Human Conduct. (pp. 19-46).
crossref
Diener, E. D.,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1), 71-75 doi:10.1207/s15327752jpa4901_13.
crossref pmid
Erikson, E. H. (1963). Childhood and society. Stonton, New York: Norton & Co.

Flammer, A. (1995). Developmental analysis of control beliefs. Self-efficacy in Changing Societies, 69-113.

Gough, H. G. (1979). A creative personality scale for the Adjective Check Li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7(8), 1398-1405 doi:10.1037/0022-3514.37.8.1398.
crossref
Gough, H. G., Heilbrun, A. B. Jr (1983). The Adjective Check List manual. Palo Alto. California: Consulting Psycholgists Press.

Grolnick, W. S., & Slowiaczek, M. L. (1994). Parents’ involvement in children’s schooling: A multidimensional conceptualization and motivational model. Child Development, 65(1), 237-252 doi:10.1111/j.1467-8624.1994.tb00747.x.
crossref pmid
Hayes, A. F. (2022).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3rd ed). Guilford publications.

Hurwich, C., Leclere, G. (1992). Late-life potential. Panel discussion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society on aging. San Diego, CA.

Isaksen, S. G., Treffinger, D. J. (1987). Creative problem solving: The basic course. NY: Bearly Limited.

Joussemet, M., Koestner, R., Lekes, N., & Houlfort, N. (2004). Introducing uninteresting tasks to children: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rewards and autonomy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72(1), 141-169 doi:10.1111/j.0022-3506.2004.00259.x.
crossref pmid
Kahn, A. P. (1998). Healthy aging: A study of self-perceptions of well-being. Ph.D. dissertation, Union Institute.

Kochanska, G. (1993). Toward a synthesis of parental socialization and child temperament in early development of conscience. Child Development, 64(2), 325-347 doi:10.1111/j.1467-8624.1993.tb02913.x.
crossref
Layton, E. (1984). Through the looking glass: Drawings by elizabeth layton. Kansas City, MO: Mid-American Arts Alliance.

Mouratidis, A., Vansteenkiste, M., Michou, A., & Lens, W. (2013). Perceived structure and achievement goals as predictors of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ffect and the mediating role of competence need satisfaction.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23(1), 179-186 doi:10.1016/j.lindif.2012.09.001.
crossref
Ryan, R. M., & Deci, E. L. (2000).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Classic definitions and new direction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5(1), 54-67 doi:10.1006/ceps.1999.1020.
crossref pmid
Schneewind, K. A., & Pfeiffer, P. (1995). Impact of family processes on control beliefs. Self-efficacy in Changing Societies, 114-148.

Skinner, E., Johnson, S., & Snyder, T. (2005). Six dimensions of parenting: A motivational model. Parenting: Science and Practice, 5(2), 175-235 doi:10.1207/s15327922par0502_3.
crossref
Torrence, E. P. (1981). Non-test of identifying the creative gifted. In J. C. Gowna, J. Khatena, & E. P. Torrance (Eds.), Creativity: Its educational implication. Dubuque, Iowa: Kendall-Hunt Publishing Co.

Chae, J. Y. (2013). The influences of fathers’ parenting behavior, communication with fathers, and the self-concept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1(1), 39-48.
crossref
Cho, E., Song, J., & Lee, W. (2022). Interaction effects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structure provis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internal locus of control,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34(1), 167-185.

Cho, H. J., & Kil, H. J. (2023). The effect of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3(1), 676-686 doi:10.5392/JKCA.2023.23.01.676.
crossref
Choe, I. S., & Pyo, J. M. (2014). A study for developing creativity test based on implicit theories of Korean people.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8(1), 27-47 doi:10.21193/kjspp.2014.28.1.002.
crossref
Choi, H. M., & Kim, J. K. (2022). The effects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and autonomy support on preschoolers’ creative personality: The mediation effect of preschoolers’ happiness.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40(4), 1-14.
crossref
Choi, Y. S., & Lim, J. Y. (2023). The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autonomy, overuse of media device and happi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32(2), 201-217.
crossref
Chun, M. (2016). An investigation of college students’ traits, selfesteem, emotional intelligences, academic motivations, creative characteristics, and happiness level. Journal of Creative Information Culture, 2(2), 101-112.

Csikszentmihalyi, M. (2003).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H. S. Noh, Trans.). Gyeongggi: Book road. (Original work published 1996).

Feng, W., & Choi, J. E. (2019).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creative self-efficiency: Comparison between the gifted and general students in Chinese high school. The Journal of Creativity Education, 19(1), 1-20 doi:10.36358/JCE.2019.19.1.1.
crossref
Hah, J., & Park, E. H. (2012). A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family variables and creativity in low-income group. The Journal of Creativity Education, 12(3), 157-171.

Han, M. R., & Kim, G. S. (2023).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grit and parent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on creative personality: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ifted and Talented, 22(1), 25-48 doi:10.17839/jksgt.2023.22.1.25.
crossref
Han, M., Choi, I., Kim, B. J., Lee, H. J., Kim, K. M., & Ryu, S. (2012). Happiness of Korean adolescence: Age-based comparis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9(5), 217-235.

Han, Y. (2020). Longitudinal links between mothers’ and fathers’ warm parenting and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The roles of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peer relationship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41(3), 13-23 doi:10.5723/kjcs.2020.41.3.13.
crossref pdf
Hur, Y. J. (2023).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on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inconsistent parenting attitude and creative persona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9(2), 429-451 doi:10.24159/joec.2023.29.2.429.
crossref
Jeon, K. N. (2021). The effects of controlling and autonomysupportive parenting attitudes on students’ longitudinal changes in creativity and intrinsic motivation.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31(2), 161-186.
crossref
Jeon, S., & Seo, H. C. (2022).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in parents’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nd the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13(4), 963-976.
crossref
Jeong, E. (2019). Effects of grit and everyday creativity on subjective well-being for adult learners and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16), 163-192.

Jung, H. H., & Park, B. H. (2019).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asic psychological needs(autonomy, competence, relatedness), learning flow and life satisfa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19), 825-845.
crossref
Jung, S. Y., Kim, E. J., & Kim, J. (2022).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dolescents’ learning time, creative personality, academic achievement, youth activitie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Teacher Education Research, 61(2), 151-170 doi:10.15812/ter.61.2.202206.151.
crossref
Kim, H. J., & Lee, T. S. (2019).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happines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22), 723-742 doi:10.22251/jlcci.2019.19.22.723.
crossref
Kim, J. Y., & Son, Y. (2023).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eter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Verification of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ionship. Journal of Wellness, 18(2), 109-116 doi:10.21097/ksw.2023.5.18.2.109.
crossref
Kim, T. K. (2022). Effect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on youth cooperation: Verification on mediation effects of euphoria and leisure time. SKYA, 8(4), 43-60 doi:10.36697/skya.2022.8.4.43.
crossref
Kim, T., & Lee, E. (2017).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parents as social context questionnaire for adolescents: PSCQ_KA.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4(3), 313-333 doi:10.21509/KJYS.2017.03.24.3.313.
crossref
Ko, E. J., Lee, S. J., & Kim, S. S. (2018). Effects of job autonomy and self-efficacy on creative behavior: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knowledge sharing in smart work environment.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19(2), 163-185 doi:10.15813/kmr.2018.19.2.009.
crossref
Koo, J. (2010). Does happiness build psychological resources.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3(1), 165-179 doi:10.21193/kjspp.2009.23.1.010.
crossref
Lee, E. B., Hwang, S., & Kim, J. (2022).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and children’s life satisfaction: Special focus on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autonomy, lack of leisure time, and academic str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71(4), 31-62.
crossref
Lee, H. Y. (2015). The effects on self-esteem of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siblings without disabilities in adolescence. Korean Journal of Parent Education, 12(1), 17-37.

Lee, K. H., & Choi, B. Y. (2006). A study on primary school children’s creative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and domain creativit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ifted and Talented, 5(2), 119-134.

Lee, M. O., & Do, M. H. (2016). A study on the effect of parental coaching capability on young children’s happines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21(3), 523-540.
crossref
Lim, S. (2007). Teachers’ perceptions of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and peer relations: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and academic achievement.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5(1), 51-70.

Liu, Y., & Cho, G. A. (2020). The differences of Chines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learning flow, creativity and life satisfaction by cluster types based on the grit.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26(3), 163-186.
crossref
Moon, J. Y. (2022). The effects of creativity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mong nursing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professors’ autonomy support and instructor-student interac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2(2), 400-410 doi:10.5392/JKCA.2022.22.02.400.
crossref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23).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KCYPS 2018) user guide. Sejong-si: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Park, E. J. (2023).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of adolescents’ creative personality: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Journal of Parent Education, 20(3), 23-42.
crossref
Park, S. B., & Park, B. G. (2010). Exploration of the casual structure among integrative creativity, belief, motivation, learning, and subjective well-being: A combination of creativity process model and Dweck’s mode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4(3), 633-660.

Park, S. H. (2008). Creativity and happiness in adulthood. The Journal of creativity education, 8(2), 57-72.

Park, S. Y., Shin, M. J., & Kwak, J. Y. (2021). The mediating effects of grit and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happiness of the upp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rt Psychotherapy Study, 1(1), 69-84 doi: 10.54071/APS.1.1.4.
crossref
Park, S., & Chung, H. (2021). The effect of peer relationship, parenting attitude,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 on middle school students’ grit: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creativity.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8), 67-81.
crossref
Shin, E. Y., & Kim, M. (2018). Effects of mothers’ coaching capabilities on young children’s happines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young children’s autonomy-. Korean Joural of Children’s Media, 17(3), 215-246.
crossref
Statistics Korea (2022). Children and youth well-being in Korea 2022(Report No. 11-1240245-000085-01). Daejeon: Statistics Korea.

Sung, J. H. (2021). A structural 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creative personality of adolescent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13), 335-347.
crossref
Yeom, H., & Lee, E. (2020). Synergistic effects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structure on students’ academic enthusiasm, peer relationship quality, agg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c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34(3), 521-541.
crossref
Yim, H., Kim, S., & Chung, I. J. (2018).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family, School and Children’s Happiness: Focused on Differences by the Level of School.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70(2), 145-170.
crossref
Yoo, Y., & Park, I. S. (2010). Comparisons of stress, self-esteem and perception of parents’ nurturing attitudes in school-age children between Korea and China.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13(1), 26-34.

Editorial Office
The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S1433-1, Myongji University,
34 Geobukgol-ro, Seodaemun-gu, Seoul, 03674, Republic of Korea
TEL: +82-10-7704-8342   E-mail: gochildren@hanmail.net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The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