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 Child Stud > Volume 37(1); 2016 > Article
어린이집 유아반 하루일과 유형과 물리적 보육환경과의 관계 탐색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ily routines and physical environments of daycare centers.

Methods:

A total of 20 classes at 8 different daycare centers from the metropolitan city of Daejeon were investigated. Trained observers visited each daycare center more than 3 times and collected data about daily routines using the Observational Log for Daily Routines in Daycare Centers. Also,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each class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actual size, layout of activity center, etc.

Results and Conclusion:

Results of the study were: first, daily routines of daycare centers could be divided into 2 distinguishable types by cluster analysis— ‘free play oriented’ and ‘group activity oriented’ Second, the amount of space each child has in a classroom differed according to the total size of the classroom. An average of 7 activity centers existed in each classroom.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free play oriented and group activity oriented groups in terms of the classroom size allocated for each child and the organization of the activity centers.

서론

최근 우리나라는 핵가족 등 가족구조의 변화와 여성의 급격한 취업증가로 인해 가정에서 이루어지던 보육 기능이 어린이집으로 옮겨지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로 어린이집은 43,742개로 증가하였으며 1,496,671명의 영·유아가 어린이집을 다니고 있다. 어린이집을 다니는 영·유아 중 만 3-5세 유아가 40%였고, 유치원에 다니는 유아까지 합하면 전체 유아의 83.6%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다니는 것으로 나타났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MOHW], 2015). 이처럼 유아가 Article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다니는 것이 보편화되면서 보육 및 교육이 유아의 적절한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수준의 표준보육과정이 있어 전국 모든 어린이집에서는 공통된 보육과정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표준보육과정은 기본적인 교육내용 만을 제시하고 이를 각 어린이집 현장에 맞게 적용하도록 해야 한다. 실제로 선행연구에서 표준보육과정을 적용하는 방법은 어린이집 별로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Choi, Rha, Park, & Kwon, 2011).
어린이집 별로 각자의 상황에 맞도록 적용한 독특한 보육 프로그램을 알아보려면 각 어린이집에서 실시하고 있는 보육 프로그램을 분석해 보아야 한다. 각 어린이집은 연간, 월간, 주간 및 일일 보육계획을 세워서 보육을 실시하고 이를 평가하여, 다음 보육계획에 적용하는 순환적인 과정으로 운영된다. 이 중 하루 일과가 모여서 주간, 월간, 궁극적으로 연간 보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을 감안한다면 어린이집 보육과정의 특징을 볼 수 있는 가장 구체적인 단위를 하루일과로 볼 수 있다. 실제로 어린이집 하루일과는 유아가 삶에 필요한 기본적 기술과 문제해결능력을 습득하게 되고, 또래와의 상호작용 및 협동, 인내심, 창의성 등 정신적, 신체적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Lee, 2009; Ryu, 2013).
이처럼 어린이집에서 하루일과가 유아의 발달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루일과의 일정 부분만을 표집하여 분석한 연구는 있지만, 어린이집의 하루일과를 전체적으로 살펴본 논문은 많지 않다. 실제로 어린이집에서 영·유아가 경험하는 하루일과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등원에서 하원까지 하루를 살펴보아야 하는데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하루일과 중 자유선택활동, 조형활동, 역할활동, 이야기나누기 등 특정 시간만을 뽑아서 분석한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Kim, 1995; Lee, 2000; Lee, 2009; Seo, Lim, & Kim, 2009; Sung, 1990).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의 등원부터 하원까지 전체 하루일과를 중심으로 관찰을 실시하여 그 실태를 파악하고 자료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한편, 유아의 발달과 하루일과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또 하나의 중요한 요소로 보육환경을 들 수 있다. 유아의 발달에 적합하며 이상적인 보육환경은 보육프로그램을 지원할 수 있는 적당한 공간과 아동의 특성이 잘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주 사용자인 아동과 교사의 요구가 반영 될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한다(Jeon, Choi, & Park, 2011).
일반적으로 보육환경은 물리적 환경과 인적 환경으로 나누어진다. 물리적 환경은 집단의 크기, 교사 대 아동비율, 공간배치, 보육실의 크기 등을 포함하고, 인적 환경은 교사의 자질과 경력 및 상호작용 능력 등을 포함한다(Cho, 2014; Kang, 1996; Lee, 1998; Oh, 2004). 특히 주요한 물리적 환경인 보육실은 유아가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곳으로 주로 연령에 따라 구성된다(Rha et al., 2014). 현행법에 따르면 유아반의 경우 교사 1명 당 3세 유아 15명, 4세 이상 유아 20명으로 반편성하는 것이 원칙이다(Korea Childcare Promotion Institute [KCPI], 2015). 하지만 어린이집 상황에 따라 합반을 할 수도 있다. 즉, 3세의 경우 교사 2명 당 30명의 유아, 4-5세의 경우 교사 2명 당 40명의 유아를 한 반에서 지도하는 경우도 있다. 어린이집 보육실은 유아의 사회적, 인지적 활동 등 다양한 놀이가 나타나는 곳으로 유아의 놀이가 활성화되고 발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Tieszen, Kim, & Choae, 1984).
어린이집 보육실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교사 대 아동의 비율이 낮고 연령에 적합한 크기의 집단으로 구성한 조건에서, 유아의 발달이 촉진되고 교사와 아동 간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나타났다(Kang, 1998). 또한 물리적 환경이 우수한 어린이집에 다니는 유아의 인지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환경이 놀이에 대한 창의력, 또래들과의 높은 상호작용 등의 다양한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Lee, 1998).
특히 물리적 보육환경 중 보육실의 크기는 프로그램에 따라 시설의 설비가 달라져야 하며 유아의 안전성과 발달수준에 맞게 계획되어야 한다(Kim, 2005; Jung, 1998). 실제로 보육실의 크기와 유아의 행동을 연관시킨 연구에서 유아의 놀이공간이 제한되면 공격적 행동이 빈번히 나타나고, 또래와의 상호작용 횟수가 감소하는 등 부정적인 행동이 많아진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 이에 따라 유아의 바람직한 발달을 위해 적절한 보육실 공간이 제공 되어야 함이 강조되었다(Kim, 2002; Yang & Cho, 2009). 현재 우리나라 보육시설 설치기준에 의하면 보육실 크기의 법정 기준이 아동 1인 당 2.64㎡로 제시되어 있다(MOHW, 2015). 하지만 이는 하루 종일 어린이집에서 지내야 하는 아동의 발달에 적합하지 않고 아동 1인 당 보육실 크기가 더 넓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Kim, 2002; Park & Choi, 2012).
한편 보육실의 영역구성에 따라 아동의 행동이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들도 있다. 보육실은 유아가 함께 생활하며 같은 시간대에 다양한 놀이가 이루어지는 장소로, 유아의 놀이가 서로 방해받지 않고 진행될 수 있도록 연령과 발달특성을 고려하여 흥미영역별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흥미영역이란 그 영역 고유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교구와 교재를 갖추어 놓은 특정한 공간이다(Rha et al., 2014). 흥미영역으로 구성된 보육실에서 유아는 특정 놀이감에 집중하게 되고 서로 협동하며 지식과 경험을 쌓아가게 된다(Johnson, Christie, & Yawke, 1999).
흥미영역을 구성할 때는 보육실의 크기와 유아의 연령을 고려하고 3-4명 이상의 유아가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HW, 2015). 보육실의 크기가 협소한 경우에는 두 가지 흥미영역을 통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흥미영역의 크기는 유아의 특성과 흥미, 보육실에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실제로 흥미영역의 놀이공간이 작을수록 유아의 공격적, 파괴적 행동이 증가하고 놀이에 대한 집중력이 낮아졌으며, 보육실을 배회하는 빈도가 증가하고 놀이 참여율이 낮아졌다는 연구결과가 있다(Rohe & Patterson, as cited in Won, 2000). 반면 흥미영역의 면적이 클수록 유아가 새로운 놀이감을 사용하게 되고, 주도적인 행동이 증가한다는 연구결과도 있었다(Shin & Ryu, 2006).
이처럼 유아들이 종일 시간을 보내는 보육실 환경이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보육실 환경에 대한 연구는 주로 설비나 크기, 시설에 대한 실태조사만 있을 뿐, 구체적으로 보육실의 물리적 조건에 대한 분석이 많지 않을뿐더러 보육프로그램과 환경을 연결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유아반의 물리적 환경을 유아 1인 당 보육실 크기, 보육실의 흥미영역 구성과 크기로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이를 조사해봄으로써 어린이집 보육환경의 실태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이를 어린이집 유아반의 하루일과와 연결시켜 분석해 봄으로써 어린이집 하루일과 유형과 보육환경 간의 관계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어린이집 하루일과와 보육환경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보육현장에서 프로그램에 적합한 환경구성을 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라 사료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연구문제 1

  • 어린이집 유아반의 하루일과 유형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 연구문제 2

  • 어린이집 유아반의 물리적 보육환경(보육실의 크기, 흥미영역의 구성과 크기)의 실태는 어떠한가?

  • 연구문제 3

  • 어린이집 유아반 하루일과의 유형과 물리적 보육환경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시에 소재한 평가인증을 받은 어린이집 중 현장조사와 보육실 실측조사에 협조 동의한 8개 어린이집 3-5세의 유아반 보육실 20개다. 0-5세 영·유아를 보육하는 어린이집에서 영아반을 제외한 3-5세 유아반 보육실 만을 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영·유아의 발달적 특징과 보육의 성격에 따라 보육환경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어린이집 보육환경의 실태를 알아보고 유아반 하루일과와 보육실 환경을 연결시켜 분석해보고자 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보육실을 기준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따라서 어린이집 특성에 따라 교사 2명이 한 보육실에서 유아를 보육하는 경우 이를 하나의 ‘반’으로 조작적으로 정의하였다. 연구 대상 어린이집별 유아반 현황은 Table 1에 제시하였다.
Table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연구에 참여한 어린이집은 총 8개 기관이었다. 설립유형 별로 보면 직장어린이집 4곳, 민간어린이집 3곳, 법인어린이집 1곳이었다. 대상 어린이집의 규모를 살펴보면, 전체 정원 100명이상의 대규모 어린이집이 C와 F 어린이집이었고, 중규모 시설(50-100인 이하)이 B, E, G와 H 어린이집 4곳, 소규모 시설(50인 이하)이 A와 D 어린이집 2곳이었다.
각 어린이집 별로 대상 보육실의 수와 각 보육실의 교사 대 유아 비율 및 유아의 연령은 Table 1에 제시하였다. 유아의 연령별로 보면, 만 3세반은 4개, 만 3-4세 혼합반은 7개, 만 4세반은 2개, 만 5세반은 7개로 총 20개 반이었다.

2. 연구도구

1) 어린이집 유아반 하루일과 관찰기록표

어린이집 유아반의 하루일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Choi 등(2011)이 개발한 ‘어린이집 하루일과 관찰기록표’를 사용하였다. 어린이집 하루일과 관찰기록표는 어린이집 하루일과 진행 중 나타날 수 있는 여러가지 활동을 등원, 오전 실내자유놀이, 오전 실외놀이, 전이활동, 점심식사, 낮잠 및 조용한 놀이, 대·소집단 활동, 오후 실내자유놀이, 오후 실외놀이, 개별활동 및 귀가준비, 저녁식사 및 야간보육 등 약 11개의 활동으로 정리하여, 실제 그 활동이 실시된 시간과 내용을 기록하는 표이다. 미리 항목과 내용기술에 대하여 훈련된 관찰자가 어린이집에 직접 가서 하루일과를 관찰하고 실제 시간과 활동내용을 작성하도록 되어있다. 이때 관찰기간은 모든 아이의 등원 이후부터 1차 귀가시간까지의 하루일과를 직접 관찰하고 관찰기록표의 등원시간과 하원시간은 교사에게 문의하여 첫 아이의 등원부터 마지막 아이의 하원까지의 시간으로 기록하였다. 또한 하루일과 중 특별활동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따로 이 항목의 시간과 내용을 정리하였다.

2) 어린이집 보육실 공간 측정

어린이집 보육실 환경을 조사하기 위하여 해당 어린이집 시설 평면도를 확인한 후 연구자가 직접 어린이집을 방문하여 교사와 유아의 수, 흥미영역 배치 등을 사전에 조사하고, 이후 실측 훈련을 마친 건축학과 대학원생들과 함께 어린이집을 재방문하여 보육실의 면적, 흥미영역 공간구성 및 크기를 실측하고 캐드프로그램으로 전환하여 자료를 도면화하였다.

3. 연구절차

1) 관찰자 및 실측자 훈련

어린이집의 하루일과를 객관적으로 관찰하기 위하여 아동복지학 전공 대학생 6명을 대상으로 어린이집 하루일과 관찰기록표에 대한 사용 교육을 실시하였다. 먼저 연구자가 촬영한 유아반 하루일과 비디오를 관찰자들과 함께 살펴보고 관찰한 내용을 중심으로 관찰기록표를 작성한 뒤 서로 비교 및 수정, 보완하여 관찰자 간 신뢰도를 계산하였다. 관찰자 간 신뢰도(r)는 하위변인 별로 .77에서 .97까지 분포되었다. 한편, 어린이집 유아반 흥미영역의 구성조사 및 실측을 위해 건축학과 대학원생 2명을 대상으로 비디오로 촬영한 보육실을 보면서 보육실 환경과 흥미영역에 대해서 교육하였다.

2) 본 조사

본 조사를 위하여 약 3개월에 걸쳐 각 어린이집을 3차례씩 방문하였다. 1차 방문에서는 관찰자들이 어린이집에 배정된 반에 각각 들어가 하루일과를 관찰하였다. 관찰하기 전, 각 반의 교사와 면담을 통해 주간계획 및 일일계획안을 확인하여 영역 간의 정확한 명칭 및 활동명, 활동내용에 대해 숙지하고 비교적 전형적인 하루일과가 일어나는 요일로 2차 방문일을 정하였다. 2차 방문에서는 1차 방문 시 하루일과 관찰기록에서 미비한 점을 교사에게 질문하여 수정하였다. 3차 방문에서는 훈련된 건축학과 대학원생과 동행하여 보육실의 면적, 흥미영역 별 크기를 실측하고 관찰자는 보육실 흥미영역의 종류와 수 및 영역 명칭, 교사와 아동의 인원을 확인하였다. 3차 방문을 마친 후에도 하루일과 정리 및 보육실 환경에서 추가적으로 필요한 사항은 어린이집 교사와 전화면담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1. 어린이집 유아반 하루일과 유형

어린이집 유아반의 하루일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20개 유아반의 하루일과를 분석한 결과 어린이집 유아반의 전반적인 하루일과는 등원, 손 씻기, 오전 간식, 오전 실내자유선택활동, 전이활동, 대·소집단 활동, 오전 실외자유선택활동, 정리정돈, 손 씻기, 점심, 이 닦기, 화장실가기, 낮잠, 오후 간식, 오후 자유선택활동, 특별활동, 오후 실외활동, 귀가 등으로 이루어졌다.
각 활동별 시간을 분석해본 결과, 이 중 간식(20-30분)과 점심(50-60분), 전이활동(10-20분), 정리정돈(10분), 낮잠 및 휴식(80-90분), 손 씻기(10-15분), 이 닦기(10-15분), 화장실가기(10-15분) 등의 공통적인 활동의 지속시간은 10분에서 30분 사이로 하루일과 중 차지하는 비율이 적고 어린이집 간 차이가 없었다. 반면 실내자유선택활동, 실외자유선택활동, 대·소집단 활동, 특별활동 등에서는 어린이집 간 차이를 보였다. 어린이집 별로 위의 4가지 활동의 비중을 알아보기 위하여 모든 아이의 등원 이후부터 1차 귀가시간까지의 실제 활동시간도 조사했다. 전체 유아반의 실제 활동시간, 실내자유선택활동, 대·소집단 활동, 실외자유선택활동, 특별활동 소요시간과 비율은 Table 2와 같다.
Table 2에서, 어린이집 유아반의 실내자유선택활동시간은 평균 118분으로 평가인증 지표에서 제안한 2시간 30분에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어린이집 별로 80분부터 160분까지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실외자유선택 활동시간에서도 볼 수 있었는데 실외자유선택활동 시간의 평균은 49분으로 평가인증 지표에서 제안한 1시간 20분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범위는 0에서 120분까지로 실외자유선택활동을 하지않는 반이 있는가 하면 120분 하는 반도 있었다. 이를 반 별로 살펴보면, D (만 5세반), E (만 3세. 만 3-4세, 만 5세반), H (만 3세반) 어린이집 반의 활동시간이 0분으로 실외자유선택활동을 실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소집단활동도 평균 25분으로 나타났으며 0분에서 55분까지의 범위로, 전혀 하지 않은 반이 있는 반면 하루 1시간 정도 하는 반이 있었다. 이를 어린이집 별로 살펴보면, A (만 3-4세반), B (만 3-4세, 만 5세반), C (만 5세반) 어린이집 유아반에서는 활동시간이 0분으로 집단활동을 실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활동의 경우 평균 13분으로 나타났으며 범위가 0분에서 60분으로 분포되어 유아반에 따라 특별활동을 하지 않은 곳도 있었다. 이를 어린이집 유아반별로 살펴보면, A (만 3-4세반), B (만 3-4세, 만 5세반), C (만 3세, 만 4세, 만 5세반), E (만 5세반), F (만 3-4세반), G (만 5세반) 어린이집 유아반에서는 활동시간이 0분으로 특별활동을 실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집 유아반의 실제 활동시간은 285분에서 560분까지 큰 차이가 있었으며 평균 7시간 45분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유아반의 실내자유선택활동, 실외자유선택활동, 대·소집단활동, 특별활동의 시간을 중심으로 하루일과유형을 분류해보고자 실제 활동시간 대비 실내자유선택활동시간, 실외자유선택활동시간, 집단활동시간, 특별활동시간의 비율을 적용하여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반 하루일과 유형은 Table 3과 같이 두 가지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Table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군집 1에 속한 13개의 유아반(A, B, C, F, G)은 실내자유선택활동시간이 평균 131.53분, 실외자유선택놀이시간이 평균 63.46분, 대·소집단활동시간이 평균 17.69분, 특별활동시간이 평균 6.90분으로 나타났다. 군집 2에 속한 7개의 유아반(D, E, H)은 실내자유선택활동시간이 평균 97.14분, 실외자유선택놀이시간이 평균 7.85분, 대·소집단활동시간이 평균 32.85분, 특별활동시간이 평균 26.42분으로 나타났다.
두 군집 간 차이를 보다 명확하게 비교해 보고자 활동시간을 평균이 0이고 표준편차가 1인 표준점수(Z점수)로 환산한 결과를 Table 4에 제시하였다.
Table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군집 1에 속한 유아반은 실내자유선택활동(z = .48)과 실외자유선택놀이활동(z = .55)은 많이 하였으나 대·소집단활동(z = -.31)과 특별활동(z = -.38)이 적어서 ‘자유선택활동 중심형’ 이라고 명명하였다. 반면 군집 2에 속한 유아반은 실내자유선택활동(z = -.90)과 실외자유선택활동(z = -1.03)은 적으나 대·소집단활동(z = .57)과 특별활동(z = .71)을 많이 하고 있어 ‘집단활동 중심형’ 이라고 명명하였다.

2. 어린이집 유아반 물리적 보육환경

1) 전체 보육실 크기와 유아 1인당 보육실 크기

유아반 전체 크기와 유아 1인당 보육실 크기에 대해서 알아본 결과 Table 5과 같다.
현행 영·유아 보육법 제 15조 제 2항에 따르면 유아 1인당 보육실 최소 면적은 2.64㎡으로 지정되어 있다. Table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전체 20개 반 중 법정 기준치를 준수하는 곳은 3곳, 이보다 더 큰 면적을 확보한 곳은 11곳, 법정 기준치에 미달하는 곳이 6곳으로 나타났다. 이를 어린이집별로 보면 A (만 3-4세반), B (만 3-4세, 만 5세반), C (만 3세, 만 5세반), F (만 3-4세(3), 만 5세반(2)), G (만 5세반)어린이집이 법정 기준보다 넓게 나타났다. 한편, 법정 기준치에 미달하는 어린이집은 D (만 3세, 만 4세, 만 5세반), E (만 3세, 만 5세반), H (만 3세반)어린이집이었다. 마지막으로 법정 기준치를 준수하는 어린이집은 C (만 4세), E (만 3-4세반), G (만 3-4세반)어린이집이었다.

2) 어린이집 유아반 흥미영역의 구성 수와 크기

어린이집 유아반 흥미영역의 구성 수와 크기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어린이집에서 반별로 구성해 놓은 흥미영역을 실측하여 실제 도면을 그리고 각 영역의 이름을 표시하였다. 정확한 구성 및 영역을 확인하기 위하여 담임교사의 설명을 통해 흥미영역이 합하여 운영되는지를 알아보고 사진과 배치도를 확보한 후 보육실을 실측하고 그 자료를 CAD로 도면화하였다.
어린이집 유아반은 대체로 6-8개의 흥미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어린이집에 따라 각 흥미영역을 부르는 명칭은 조금씩 달랐으나, 그 종류는 주로 언어, 수조작, 과학, 컴퓨터, 음악, 미술, 역할, 쌓기 등이었다. 이 중 수조작과 과학영역, 역할과 쌓기영역이 함께 구성되어 있는 곳도 있었다. 언어, 음악, 미술, 컴퓨터 영역은 모든 반에서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독립적으로 8개 흥미영역을 구성한 유아반과 통합한 흥미영역이 있는 유아반의 예를 Figure 1Figure 2에 제시하였다.
Figure 1에 보이는 유아반의 경우, 언어, 미술, 수조작, 과학, 역할, 쌓기, 음률영역의 각각 독립된 7개 영역으로 흥미영역을 구성한 예이다. Figure 2에 보이는 유아반의 경우, 언어, 미술, 음률 영역과 수조작, 과학 영역을 합친 영역, 역할과 쌓기를 합친 영역의 5개 영역으로 구성한 예이다.
이처럼 독립적으로나 통합적으로 구성된 흥미영역을 보육실에 배치된 그대로 실측해본 결과를 Table 6에 제시하였다. Table 6에 제시된 바와 같이 흥미영역의 평균 크기를 정리하면 전체적으로 쌓기영역과 역할영역(25.97%)이 가장 크게 구성되어 있었고 다음으로 언어영역(15.03%), 미술영역(11.45%), 수과학영역(11.31%), 음률영역(6.0%), 컴퓨터영역(0.47%) 순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역할영역과 쌓기영역이 가장 넓은 공간을 차지하는 것은 다른 영역에 비해 놀이감이 다양하고 크기가 크며, 놀이의 특성상 움직임이 필요한 영역으로서 충책을 읽는 공간뿐만 아니라 유아의 안정과 휴식을 위한 휴식 분한 공간이 제공되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그 다음으로 언어영역이 넓은 공간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유아가 공간과 통합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KCPI, 2015).
Table 7에 제시한 바와 같이 하루일과 유형에 따른 유아 1인 당 보육실 크기를 보면 자유선택활동 중심형 유아반에서는 모든 유아반이 영유아 보육법에서 제시하는 유아 1인당 보육실의 크기(2.64㎡)을 준수하거나 이보다 더 큰 면적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집단활동 중심형 유아반에서는 E 어린이집 만 3, 4세반을 제외한 모든 유아반에서 유아 1인당 보육실의 크기(2.64㎡)의 기준치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흥미영역의 크기를 보면 자유선택활동 중심형에 속한 모든 유아반에서는 역할, 쌓기영역이 가장 크게 구성되어 있는 반면, 집단활동 중심형에 속한 유아반에서는 수과학영역(2), 미술영역(3), 역할영역(1), 언어영역(1)이 크게 구성되어 있었다.

논의 및 결론

이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어린이집에서 운영하는 보육프로그램의 하루일과 유형과 보육실의 환경구성 실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그 관계를 살펴보고자, 대전시에 위치한 8개 어린이집 20개 유아반을 대상으로 어린이집 하루일과와 물리적 보육환경을 조사하고 둘 간의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연구문제 별로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유아반 하루일과 유형을 분석하기 위하여 어린이집을 직접 방문하여 관찰한 결과 어린이집 유아반의 실제보육시간은 평균 7시간 45분이었지만 어린이집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다. 실내자유선택활동시간은 평균 118분, 실외자유놀이활동시간은 평균 49분, 집단활동은 평균 25분, 특별활동은 평균 13분으로 나타났으나, 어린이집 별로 실내자유선택활동, 실외자유선택활동, 집단활동, 특별활동을 전혀 활동하지 않거나 권장시간보다 훨씬 많은 활동시간을 운영하는 곳이 있어 어린이집 유아반 별로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반의 실내자유선택활동, 실외자유선택활동, 집단활동, 특별활동시간에 따라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개의 군집을 얻었다. 첫 번째 군집은 실내자유선택놀이활동 시간과 실외자유선택놀이활동 시간이 많고 집단활동 시간과 특별활동 시간이 적어서 자유선택활동 중심형 이라고 명명하였고 두 번째 군집은 집단활동 시간과 특별활동 시간이 많고 실내자유선택활동 시간과 실외자유선택활동 시간이 적어서 집단활동 중심형 이라고 명명하였다. 20개의 유아반 중 13개의 유아반이 자유활동 중심형에 속하였으며 7개의 유아반이 집단활동 중심형에 속하였다.
이미 선행연구를 통해 유아기의 이상적 발달은 스스로 동기 유발된 놀이를 통해서 일어난다고 밝혀졌음에도(Frost, Wortham, & Reifel, 2012) 불구하고 유아반 하루일과 유형 중 특별활동과 집단활동 등 교사가 주도하는 활동이 하루일과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집단활동 중심형이 존재한다는 점은 주목할 만한 결과이다. 심지어 평가인증지침서(KCPI, 2015)에서도 권장하는 실내·외 자유선택활동 시간도 없이 하루일과를 운영한다는 결과는, 향후 보육교사들에게 유아기 자유선택활동의 중요성에 대하여 보다 중점적으로 교육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어린이집 유아반의 물리적 보육환경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아 1인당 보육실 크기, 흥미영역 구성 수와 크기를 조사하였다. 먼저 유아 1인당 보육실 크기를 어린이집 유아반별로 살펴본 결과 전체 20개 반 중 법정 기준치를 준수하거나 더 넓은 공간을 확보한 곳은 14곳, 기준치에 미달하는 크기를 가지고 있는 곳은 6곳으로 나타났다. 현재 법적으로 지정된 유아 1인당 보육실 크기(아동 1인당 2.64㎡)가 발달적으로 적합하지 않고 하루 종일 어린이집에서 지내야 하는 현실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주장(Kim, 2002; Park & Choi, 2012)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법적 기준치에 미달하는 크기의 보육실이 6곳이나 있다는 결과에 주목해 볼 수 있다. 특히 보육실 실측과 하루일과 직접 관찰을 요하는 본 연구의 특성상 연구에 참여한 어린이집이 지역에서 중상 이상으로 평가되는 어린이집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현실에서는 법적기준치 공간을 확보하지 못한 보육실이 더 많을 수 있다고 짐작된다. 이후, 보다 많은 어린이집 보육환경관련 연구를 통해 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흥미영역 구성을 살펴본 결과 모든 어린이집 유아반이 평균 7개의 흥미영역을 구성하고 있어 평가인증지침(2015)에서 제시하고 있는 6-8개의 영역을 충족하고 있었으며, 역할과 쌓기영역, 수조작과 과학영역을 함께 구성한 반도 있었다. 흥미영역의 크기를 보면 주로 역할과 쌓기영역을 가장 크게 구성하였고, 다음으로는 언어, 미술, 수과학, 음률영역 순이었다. 흥미로운 점은 유아반의 전체 크기나 유아의 연령에 상관없이 모든 유아반에 구성되는 흥미영역의 수와 종류가 비슷했다는 점이다. 이는 국가에서 제시하는 기준에 맞추어 흥미영역을 기계적으로 구성하고 있을 뿐, 유아반 교사들이 보육실 환경을 구성할 때 유아의 발달수준, 보육실의 상황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를 대상으로 흥미영역의 의미와 역할, 운영하는 하루일과 프로그램에 적합한 공간배치의 중요성을 교육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또한 평가인증지침서나 연령별 보육프로그램 등에서 제시하고 있는 환경구성의 예를 일률적으로 따라하지 않고 교사 스스로 자신이 운영하는 하루일과에 맞도록 이를 구성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줄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어린이집 유아반 하루일과의 유형과 물리적 보육환경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어린이집 하루일과 유형에 따라 유아 1인당 보육실 크기, 흥미영역 구성과 크기를 분석하였다. 먼저 유아 1인당 보육실 크기를 살펴본 결과 자유선택활동 중심형 유아반에서는 법정 기준보다 넓거나 기준치를 준수하는 유아 1인당 보육실의 크기(2.64㎡)를 확보하고 있었으나 집단활동 중심형 유아반에서는 기준치에 미달하는 곳이 있었다. 흥미로운 점은 자유선택활동 중심형은 모두 교사가 2명 배치되는 합반형식으로 운영되었다는 점이다. 즉 다른 교사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자유선택활동 중심형 유아반과 달리 집단활동 중심형 유아반에서는 교사 1명이 좁은 공간에서 하루일과를 운영하다 보니 교사가 원해도 주로 교사중심의 집단활동이나 특별활동을 많이 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고 해석해 볼 수 있다.
또한, 자유선택활동 중심형의 모든 유아반에서는 역할과 쌓기영역을 통합하여 매우 넓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집단활동 중심형 유아반에서는 수과학, 미술, 언어영역 등이 가장 크게 구성되어 있었다. 이 결과는 보육실의 크기와 연관지어 해석해 볼 수 있는데 전반적으로 더 넓은 유아 1인당 보육실 크기를 확보한 자유선택활동 중심형 유아반에서는 비교적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역할과 쌓기영역 놀이가 활발할 수 있었으나 비교적 공간이 적었던 집단활동 중심형 유아반에서는 유아의 움직임이 비교적 적은 수과학, 미술, 언어영역을 중심으로 놀이에 치중하게 된 것이라고 해석해 볼 수도 있다. 이는 하루일과 관찰 중 교사와의 면담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이미 구성된 보육실에서 하루일과를 운영해야하는 현실을 반영한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이 결과는 보육실의 구성단계에서부터 보육프로그램 담당자의 의견이 반영되어야 함을 보여주는 결과로 향후 어린이집을 건축하고 보육실을 구성하는 단계부터 보육 실무자가 함께 참여하는 시스템이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유아반의 하루일과 유형과 물리적 환경을 알아보고 그 관계를 분석해 보고자 시도하였으나 우리나라 어린이집 유아반의 하루일과 유형과 물리적 환경은 어린이집에 따라 다양성을 보이지 않았다. 특히 유아의 발달을 위해 계획한 하루일과에 따라 물리적 환경을 구성하기보다, 이미 물리적 환경이 구성되어있는 상태에서 환경과 관련 없이 하루일과를 운영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대부분의 어린이집은 법적기준 및 국가에서 제안하는 수준이나 권고사항을 성실히 준수하고 있으나 법적기준 및 제안수준이 없는 부분에서는 어린이집별로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었다. 일례로 실내자유선택활동과 실외자유선택활동 시간의 경우 보육시설평가인증 지침에 제시된 시간을 준수하고자 모든 어린이집이 노력하는 반면, 정확한 지침이 제시되지 않은 집단활동과 특별활동시간의 경우 어린이집마다 운영형태와 시간에서 차이가 있었다. 물리적 보육환경에서도 평가인증 지침에 제시된 흥미영역의 구성 수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흥미영역의 크기의 경우 어린이집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우리나라 어린이집이 법적기준이나 국가수준에서 제시하는 최소의 기준을 준수하는데 급급하다는 현황을 알려줌과 동시에 어린이집의 특수한 상황은 고려하지 않고 하루일과와 물리적 환경이 국가에서 제안하는 지침에 따라 일률적으로 통일되어 있다는 위험성도 지적한다. 어린이집의 보육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일정 수준의 지침을 제시하는 것은 필요하나 이 때문에 어린이집의 철학과 상황에 따른 하루일과나 물리적 환경의 다양성이 저해되는 것에 대하여 문제제기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직접 실측과 관찰이 병행된 연구절차로 인해 적극적으로 연구참여 의사를 표현한 어린이집만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대상으로 선정된 어린이집이 비교적 환경적으로 우수한 어린이집으로 편중되었을 수 있다. 본 연구결과의 해석 시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보육환경을 물리적 환경으로만 국한하고 그 중에서도 법적기준과 흥미영역 중심으로만 보았는데 후속 연구에서는 유아의 상호작용, 교재교구 수와 종류를 함께 조사하여 체계적인 보육프로그램과 보육환경의 연계성을 연구할 수 있도록 제언한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특정 활동시간 뿐 아니라 어린이집의 하루일과를 전체적으로 관찰하여 유형을 분류하였고 하루일과와 물리적 보육환경의 연관성을 살펴보아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보육현장에서 프로그램에 적합한 환경구성을 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의의가 있다.

Acknowledgements

This study was supported by the 2015 Research Grant of Hannam University.

Notes

This article is a part of the first author’s Master’s thesis submitted in 2014, and was presented as a poster at the 2015 Annual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Notes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Figure 1.
Figure 1.
Case of separated activity areas in the classroom
kjcs-37-1-49f1.gif
Figure 2.
Figure 2.
Case of integrated activity areas in the classroom
kjcs-37-1-49f2.gif
Table 1
Characteristics of the Classrooms (N = 20)
Day care center Type of operation (n of children) Number of classroom (teacher:child ratio)
3-year-old class 3/4 mixed age class 4-year-old class 5-year-old class Subtotal
A Corporate (44) - 1 (1:13) - - 1
B Corporate (67) - 1 (2:28) - 1 (1:13) 2
C Private (135) 1 (2:30) - 1 (2:36) 1 (2:38) 3
D Private (44) 1 (1:16) - 1 (1:17) 1 (1:19) 3
E Private (76) 1 (1:13) 1 (1:14) - 1 (1:18) 3
F Corporate (201) - 3 (2:30) - 2 (1:12) 5
G Corporate (79) - 1 (2:30) - 1 (1:12) 2
H Foundation (59) 1 (1:14) - - - 1

Total of classrooms 4 7 2 7 20
Table 2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Minutes of the Duration of Activity in Daily Routines (N = 20)
Day care center and classroom by age Free choice activity
Outdoor activity
Group activity
Extracurricular activity
Total
M (SD) M (SD) M (SD) M (SD)
A 3/4 mixed age class 160 (29.62) 85 (12.04) - - 540
B 3/4 mixed age class 100 (20.83) 85 (17.71) - - 480
5-year-old class 120 (26.08) 60 (13.04) - - 460
C 3-year-old class 150 (26.79) 70 (12.50) 35 (6.25) - 560
4-year-old class 120 (21.43) 100 (17.86) 25 (4.46) - 560
5-year-old class 130 (23.64) 70 (12.73) 45 (8.18) - 550
D 3-year-old class 80 (26.23) 25 (8.20) - 20 (6.56) 305
4-year-old class 80 (25.81) 30 (9.68) 40 (12.90) 20 (6.45) 310
5-year-old class 90 (31.57) - 20 (7.02) 25 (8.77) 285
E 3-year-old class 140 (45.90) - 20 (6.90) 30 (10.34) 305
3/4 mixed age class 80 (27.12) - 45 (15.25) 60 (20.34) 310
5-year-old class 110 (32.78) - 55 (18.03) - 305
F 3/4 mixed age class 140 (29.17) 40 (8.33) 18 (3.13) - 480
3/4 mixed age class 100 (20.80) 70 (14.58) 15 (3.12) - 480
3/4 mixed age class 140 (29.17) 70 (14.58) 15 (3.12) - 480
5-year-old class 120 (25.00) 40 (8.33) 20 (4.17) 50 (10.42) 480
5-year-old class 120 (25.00) 40 (8.33) 20 (4.17) 50 (10.42) 480
G 3/4 mixed age class 120 (22.22) 55 (10.19) 20 (3.70) 40 (7.41) 540
5-year-old class 150 (26.78) 120 (21.43) 20 (3.57) - 560
H 3-year-old class 100 (22.73) - 50 (11.36) 30 (6.82) 440
Average minutes of activities 118.50 49.58 25.41 13.54 465.50
Table 3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Minutes of the Duration of Activity by Clustering (N = 20)
Cluster Number of classroom Free choice activity
Outdoor activity
Group activity
Extracurricular activity
M (SD) M (SD) M (SD) M (SD)
Group 1 13 131.53 (16.75) 63.46 (25.68) 17.69 (13.16) 6.90 (13.62)
Group 2 7 97.14 (22.14) 7.85 (13.49) 32.85 (19.97) 26.42 (17.96)
Table 4
Standard Scores of Minutes of the Duration of Activity by Clustering (N = 20)
Cluster Number of classroom Free choice activity Outdoor activity Group activity Extracurricular activity
Group 1: Free play oriented 13 .48 .55 -.31 -.38
Group 2: Group activity oriented 7 -.90 -1.03 .57 .71
Table 5
Classroom Size per a Child (Unit : ㎡)
Day care center 3-year-old class (n = 4)
3/4 mixed age class (n = 7)
4-year-old class (n = 2)
5-year-old class (n = 7)
Classroom size Size per a child Classroom size Size per a child Classroom size Size per a child Classroom size Size per a child
A - - 68.34 5.25 - - - -
B - - 74.06 2.65 - - 54.83 4.21
C 92.52 3.08 - - 95.04 2.64 100.7 2.65
D 33.61 2.10 - - 36.22 2.13 43.24 2.27
E 32.76 2.52 37.05 2.64 - - 37.13 2.06
F - - 95.44 3.18 - - 50.09 2.94
95.24 3.17 51.37 3.02
100.74 3.35
G - - 79.53 2.64 - - 36.35 3.09
H 35.56 2.54 - - - - - -
Table 6
Sizes of Activity Areas (Unit: ㎡/(%))
Day care center Language Number Science Computer Music Art Role play Block Total size (%)
A 3/4 9.8 (14.34) 9.64 (14.10) - 4.17 (6.10) 14.28 (20.89) 19 (27.89) 68.34 (100)
B 3/4 7.56 (10.20) 8.7 (11.74) - 7.24 (9.77) 10.9 (14.71) 17.62 (23.79) 74.06
5 10.4 (18.96) 8.29 (15.11) - - 8.83 (16.10) 12.27 (22.37) 54.83
C 3 17.53 (18.94) 11.79 (12.74) - 6.3 (6.80) - 31.97 (34.48) 92.52
4 15.94 (16.80) 8.29 (8.74) 4.56 (4.80) 1.45 (1.52) 2.1 (2.21) 13.39 (13.06) 17.32 (18.26) 94.84
5 18.43 (18.24) 12.9 (12.77) 15.92 (18.63) 3.14 (3.10) 14.48 (14.33) 8.12 (8.03) 19.87 (19.67) 101.0
D 3 4.36 (12.97) 5.53 (16.45) - 2.75 (8.18) 2.76 (8.21) 4.09 (12.16) 33.61
4 6.39 (17.64) 6.19 (17.09) - 1.5 (4.14) 3.89 (10.73) 4.82 (13.30) 36.22
5 5.52 (12.76) 4.82 (11.14) - 3.2 (7.40) 5.5 (12.71) 6.99 (16.16) 3.33 (7.70) 43.24
E 3 3.18 (9.70) 3.97 (12.11) - 2.14 (6.53) 6.79 (20.72) 4.37 (13.33) 3.41 (10.40) 32.76
3/4 3.08 (8.31) 7.69 (20.75) - 1.27 (3.42) 3.14 (8.47) 5.5 (14.84) 37.05
5 1.67 (4.49) 4.24 (11.41) - 1.95 (5.25) 4.49 (12.09) 1.67 (4.49) 2.24 (6.03) 37.13
F 3/4 16.57 (17.36) 8.46 (8.86) - 3.92 (4.10) 3.14 (3.29) 32.4 (33.94) 95.44
3/4 20.30 (21.31) 5.99 (6.28) - 2.59 (2.71) 12.39 (13.00) 30.74 (32.27) 95.24
3/4 12.94 (12.87) 6.16 (6.11) - 6.51 (6.46) 5.95 (5.90) 47.46 (47.11) 100.74
5 7.81 (15.59) 10.3 (20.56) 2.08 (10.35) 4.15 (8.28) 5.65 (11.27) 12.69 (25.33) 50.09
5 6.72 (13.08) 7.31 (14.23) 2.61 (5.08) 5.13 (9.98) 5.57 (10.84) 12.12 (23.59) 51.37
G 3/4 10.57 (13.29) 8.75 (11.00) 4.46 (5.60) - 6.83 (8.58) 9.0 (11.31) 26.13 (32.85) 79.53
5 9.06 (14.76) 3.44 (5.60) 4.04 (6.58) - 5.67 (9.24) 7.7 (12.55) 18.75 (30.56) 61.35
H 3 3.9 (5.70) 1.67 (2.44) 1.98 (2.89) - 3.94 (5.76) 5.94 (8.69) 5.14 (7.52) 68.34
Table 7
Size of Classroom per a Child and The Biggest Activity Area According to Daily Routine (N = 20)
Type of daily routine Free play oriented
Group activity oriented
A B C F G D E H
Size of classroom per a child (m2) 3-year-old class - - 3.08 - - 2.10 2.52 2.54
3/4 mixed age class 5.25 2.65 - 3.18 2.64 - 2.64 -
3.17
3.35
4-year-old class - - 2.64 - - 2.13 - -
5-year-old class - 4.21 2.65 2.94 3.09 2.27 2.06 -
3.02
The biggest activity areas 3-year-old class - - Role play - - Numbers Art Art
Block Science
3/4 mixed age class Role play Role play - Role play Role play - Numbers -
Block Block Block Block Science
4-year-old class - - Role play - - Language - -
Block
5-year-old class - Role play Role play Role play Role play Role play Art -
Block Block Block

References

Cho, H. Y. (2014). Effects of physical environment, child care curriculum, teacher’s interaction quality on toddler’s play behaviors and social-emotional behavi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Choi, M. H., Rha, J. H., Park, C. H., Kwon, Y. H. (2011, May). An analysis on the daily routine experienced by young children at child care centers. Post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Daejeon, Korea.

Frost, J. L., Wortham, S. C., Reifel, S (2012). Play and child development (4th ed.). New york, NY: Pearson Education, Inc.

Jeon, Y. U., Choi, M. H., Park, J. H. (2011, November). A survey on opinions of experts on the activity area in child care center. Post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Daejeon, Korea.

Johnson, J. E., Christie, J. F., Yawke, T. D. (1999). Play and early childhood development. New york, NY: Longman.

Jung, I. J. (1998).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accidents and on an evaluation of environmental safety at daycare cent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Kang, J. A.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day dare center and infant’s exploration/ play behavior: Focused on physical play environm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uks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Kang, J. S. (1996). The effect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n children’s play in kindergarten classroom (Unpublished master’s thesis).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Kim, E. O. (1995). Study on improvement in the interior design of day nurse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Kim, G. H. (2005).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playfulness and peer compet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Kim, Y. K. (2002). Study on the planning of inner space for the nursing Room of child care facilities: Focused on the educational too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Korea Childcare Promotion Institute (2015). Information of child care center evaluative accreditation (the 3rd index of the pilot project) (KCPI Publication No. 2014-170). Seoul, Korea: Korea Childcare Promotion Institute.

Lee, G. J. (1998).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the outdoor and indoor play facilities quality in child care center by their types of establish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Lee, J. S. (2000). Survey on the teachers’ attitude and management of free play activities in child care cent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ai Chai University, Korea.

Lee, K. M. (2009). A study on the daily routine experienced by young children at child care and education institut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5). 2014 Childcare statistics. Seoul, Korea: Ministry of Health.

Oh, S. R. (2004).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hysical environments for the integration of disabled preschool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osuk University. Jeonju, Korea.

Park, J. A., & Choi, M. H. (2012).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activity areas in classrooms of childcare centers depending on age group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3(1), 89-96.
crossref
Rha, J. H., Kim, S. L., Sin, N. R., Kown, Y. H., Son, S. H. (2014). Introduction to child care & education. Paju, Kyounggi-do: YSW Publishing Networks.

Ryu, K. H. (2013). The study on the daily routine of 2-year-olds in childcare cent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Iksan, Korea.

Seo, Y. H., Lim, J. T., & Kim, E. J. (2009). A qualitative study of five-year-old children`s daily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0(4), 223-239.

Shin, D. J., & Ryu, J. S. (2006). Physical environments of kindergartens and young children’s play behavior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0(2), 165-185.

Sung, W. K. (1990). Study of the operation of free play period in kindergart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Tieszen, H. R., Kim, O. G., & Choae, J. K. (1984). The effect of socio-dramatic play on the language development of preschool childre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22(1), 157-162.

Won, Y. M. (2000). Study of the differences in the human and physical care environment according to type of childcare facilities: On the Ulsan metropolitan city. The Korea Associ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1:307-334.

Yang, M. S., & Cho, B. H. (2009). A study on knowledge and expectations of child development of mothers with an infant. The Korea Associ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58(5), 149-166.

Editorial Office
The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S1433-1, Myongji University,
34 Geobukgol-ro, Seodaemun-gu, Seoul, 03674, Republic of Korea
TEL: +82-10-7704-8342   E-mail: gochildren@hanmail.net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The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