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Objectives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ternal and maternal helicopter parenting on depression in female emerging adults by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s of adaptive and maladaptive perfectionism.
MethodsParticipants included 305 female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s.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regarding helicopter parenting,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ResultsMaternal helicopter parenting had a direct effect on depression. While adaptive perfectionism played no mediating role in this relationship, maladaptive perfectionism did. Paternal helicopter parenting showed no direct effect on depression, and perfectionism did not play any mediating role in this relationship.
ConclusionsThe present findings confirmed that depression in female adult children in emerging adulthood could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maternal helicopter parenting.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designing programs for reducing depression in female emerging adults.
Introduction부모의 양육방식은 자녀의 긍정적 발달과 심리적 안녕을 예측하는 주된 요인으로 자녀가 성장함에 따라 부모는 자녀의 발달단계에 적절한 양육을 제공하여야 한다. 그러나 최근 국내외 문헌과 대중매체에서 자녀의 발달단계에 맞지 않게 성인 자녀를 지나치게 보호하고 통제하는 ‘헬리콥터 양육’이 커다란 관심사가 되고 있다. 헬리콥터 양육이란Cline과 Fay (1990)의 자녀양육서에서 처음으로 언급된 용어로서, 부모가 청소년 후기 및 성인 진입기에 이른 자녀에게 지나치게 개입하고 과잉보호하는 부모의 양육태도를 일컫는다(LeMoyne & Buchanan, 2011;Padilla-Walker & Nelson, 2012; Segrin, Woszidlo, Givertz, & Murphy, 2012). 이와 같이 성장기 이후의 젊은 성인(young adult)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새로운 유형의 양육행동의 등장과 발맞추어, 미국의 심리학자Arnett (2006)는 오늘날의 20대를 설명하기 위해 새로운 발달단계인 ‘성인 진입기(emerging adulthood)’를 제안하였다. 성인 진입기란 청소년기와 성인기 사이의 과도기적 단계로 부모로부터 점차 독립하여 사랑, 직업 등 가치를 탐색해 나가는 시기를 의미하며(Arnett, 2006; Nelson, Padilla-walker, Christensen, Evans, & Carroll 2011), 부모-자녀관계의 새로운 전환점이 되는 시기이다.
헬리콥터 양육에 관한 학문적 관심이 점차 증가하면서 그 속성을 정의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헬리콥터 양육과 부모의 심리적·행동적 통제를 비교한 연구(Padilla-Walker & Nelson, 2012)에 의하면, 헬리콥터 양육은 자율성을 억압한다는 측면에서 통제적 양육태도와 어느 정도 유사하게 부정적 특성을 지닌다. 그러나 헬리콥터 양육은 자녀에 대한 지도와 조언 및 정서적 지원 등 긍정적 측면 또한 포함하고 있어, 중산층 이상 가정의 대학생 자녀들은 학업에 대한 부모의 개입을 의사결정에 대한 침해로 여기지 않고 오히려 학업적 지원으로 지각하는 경향이 있다는 국외 연구(Wolf, Sax, & Harper, 2009)가 보고되기도 한다. 국내에서도 헬리콥터 양육의 개념을 규명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져, Y.-W.Lee 등(2014)은 진화론적 개념 분석을 통해 헬리콥터 양육을 자녀를 독립시키지 않고 일상을 함께하는 ‘주의를 맴돌기(hovering)’, 자녀의 발달단계에 맞지 않게 과도한 통제와 개입을 일삼는 ‘깊이 개입하기(highly deep involvement)’, 자녀의 문제를 대신 해결하며, 부모의 지시에 따르도록 하는 ‘대신 결정하기(proxy decision making)’의 3가지 속성을 가진 양육형태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선행 연구들에 비추어볼 때, 헬리콥터 양육은 근본적으로는 자녀의 성공을 돕고자 하는 부모의 동기에서 비롯되지만 의미상 통제성을 내포한다는 점에서 성인 진입기의 발달단계적 특성에 적합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이 시기 자녀의 자율성과 독립심 발달을 저해하여 심리. 정서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
실제로, 연구자들은 헬리콥터 양육으로 인한 자녀의 발달결과와 관련하여 특히 자녀의 부적응과의 관련성에 관심을 기울여 왔다(Ahn, 2016; C. Y. Han, 2016; Kouros, Pruitt, Ekas, Kiriaki, & Sunderland, 2017;Kwon, Yoo, & Bingham, 2016; J. Lee, 2016;Schiffrin et al., 2014; Segrin, Givertz, Swaitkowski, & Montgomery, 2015;Spokas & Heimberg, 2009; van Ingen et al., 2014).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서구 사회 맥락에서 진행되었으며 국내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동시에, 최근 들어 양육에서의 아버지 역할이 점차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몇몇 연구들(Ahn, 2016;Padilla-Walker & Nelson, 2012)을 제외하고 대부분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에 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 양육자로서 어머니뿐만 아니라 아버지 모두를 포함하여 헬리콥터 양육이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였다. 헬리콥터 양육은 성인 자녀의 외현화 문제행동뿐만 아니라 불안 및 우울과 같은 내면화 문제행동과도 관련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J. Kim & Oh, 2011;Padilla-Walker & Nelson, 2012;Schiffrin et al., 2014;Segrin et al., 2015). 내면화 문제행동 가운데서도 우울은 최근 20대의 발병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데(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여성이 남성보다 우울을 약 1.5배 더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8). 따라서 우울의 유병률이 높은 성인 진입기 여성을 대상으로 우울의 선행 요인으로서 부모의 헬리콥터 양육의 영향력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이론적으로, 부모의 헬리콥터 양육과 자녀의 우울 간의 관계는 자기결정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SDT])을 근거로 가정할 수 있다. 자기결정이론은 내재 동기 이론으로서 자율성과 자기결정적 동기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외부 환경에 의해 자율성이 훼손될 경우 내면의 동기가 손상되고 이로 인해 여러 부정적 결과가 초래된다고 주장한다(Deci & Ryan, 2002). 이러한 측면에서, 자율성과 독립심은 성인 진입기에 강조되는 발달과업 중 하나이므로(Chickering & Reisser, 1993), 이를 저해하는 양육을 경험할 경우 자녀는 우울을 포함한 여러 심리적 적응의 문제를 경험하기 쉽다. 헬리콥터 양육과 성인 진입기 자녀의 우울 간의 관계를 살펴본 선행 연구들은 두 변인 간에 정적 상관이 있음을 일관적으로 보고하고 있다(Darlow, Noviltis, & Schuetze, 2017; C. Han, 2016;Kouros et al., 2017;LeMoyne & Buchanan, 2011; Reed, Duncan, Lucier-Greer, Fixelle, & Ferraro, 2016;Schiffrin et al., 2014). 예를 들어, 부모의 헬리콥터 양육은 여대생의 우울 및 사회불안(Kouros et al., 2017)과, 성인 진입기 여성의 우울을 예측하였다(C. Han, 2016). 그러나 국내의 경우, C.Han (2016)의 연구를 제외하고 헬리콥터 양육과 우울 간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헬리콥터 양육과 자녀의 부적응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면서 연구자들은 두 변인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들을 탐색하고자 시도하였으며(Ahn, 2016; J. Kim & Oh, 2011;Kwon et al., 2016;Segrin et al., 2015; van Ingen et al., 2014), 그 과정에서 통제소재(locus of control), 핵심자기평가 등과 같은 인지적 신념의 매개 역할에 관심을 기울였다. 이러한 선행 연구들은 부모의 헬리콥터 양육이 자녀의 역기능적 인지 신념을 발달시키고 그 결과 자녀의 부적응을 초래하리라 가정하게 한다. 인지적 신념 중에서도 완벽주의는 오래전부터 우울의 취약성 요인으로 간주된 변인이며(Bae &Yang, 2013;Choi, Yoo, & Hyun, 2005; Egan, Wade, & Shafran, 2011; H. J. Kim & Son, 2006; J.-M. Kim, 2009; M. H. Lee & Rhyu, 2002), 많은 연구자들은 완벽주의 발달에 있어 부모의 영향력을 중요하게 언급하고 있다(Barrow & Moore, 1983; Flett, Hewitt, & Singer, 1995; Frost, Marten, Lahart, & Rosenblate, 1990;Hamachek, 1978). 그러나 헬리콥터 양육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의 매개 역할을 살펴본 연구는 드문 실정으로 양자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으로 완벽주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완벽주의란 성격을 구성하는 인지적 신념 중 하나로, 개인이 비합리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신을 다그치며, 자신의 가치를 오로지 성취의 차원에서만 평가하는 등(Burns, 1980;Frost et al., 1990) 주로 개인의 역기능적 신념으로 이해되어왔다. 그러나 90년대 이후 완벽주의가 부정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적응적인 요소도 포함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완벽주의는 다차원적 개념으로 확대되었으며, 최근에는 완벽주의를 동기적 측면에 초점을 두어 기능적 차원과 역기능적 차원으로 구분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Dunkley, Blankstein, Halsall, Williams, & Winkworth, 2000; Frost, Heimberg, Holt, Marttia, & Neubauer, 1993;Namgung & Lee, 2005). 기능적 완벽주의는 자신에게 높은 기준을 부여하고 조직하고 체계화하는 등 성취 추구와 관련되는 긍정적 측면의 완벽주의이며, 역기능적 완벽주의는 타인의 평가에 민감하고, 실수나 실패를 두려워하는 등 실패회피와 관련되는 부정적 측면의 완벽주의를 의미한다(Namgung & Lee, 2005). 이러한 선행 연구들에 기초할 때, 기능적 완벽주의와 역기능적 완벽주의는 서로 다른 차원으로서 접근할뿐만 아니라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를 밝혀 그 특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완벽주의가 헬리콥터 양육과 우울 간의 관계를 매개하리라는 가정은 헬리콥터 양육과 완벽주의 간의 관계와 완벽주의와 우울 간의 관계에 관한 선행 연구들에 기초한다. 앞서, 헬리콥터 양육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언급한 바와 유사하게, 헬리콥터 양육과 완벽주의 간의 관계 역시 자기결정이론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다. 자기결정이론에 따르면, 자율성의 욕구가 충족되지 못하면 개인은 외부의 규칙과 가치를 자아와 통합하지 못하고, 단순히 엄격한 규칙에 복종하는 내사의 수준에 그치고 만다. 다시 말하면, 부모에 의해 자율성의 욕구가 억압될 경우 자녀는 외부의 가치와 규칙을 스스로 통합하지 못한 채 주어진 것들을 그대로 내사하게 되며(Deci & Richard, 2011), 부모와 같은 의미 있는 타인이 부과한 기준에 도달하는 데 지나치게 집중하고, 실패나 실수에 대해 자신을 비난하는 등 역기능적 완벽주의자로서 자기 표상을 발달시키게 되는 것이다(Blatt, 1995; K.-M. Chang, 2007). 부모의 통제를 포함한 부정적 양육과 완벽주의의 두 가지 차원 가운데 역기능적 완벽주의 간의 관계는 비교적 일관되게 보고되고 있어,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권위주의적 양육태도는 자녀의 역기능적 완벽주의 측면과 높은 관련이 있다(Hibbard & Walton, 2014; Kawamura, Frost, & Harmatz, 2002; H.-I.Kim, Doh, & Chee, 2011;Ma & Son, 2014). 헬리콥터 양육은 과도한 개입과 간섭이라는 통제적 성향에서 권위주의적 양육과 유사하며 자녀의 자율성, 독립심 등을 저해한다는 점에서는 심리적 통제와 유사한 측면이 있으므로(Padilla-Walker & Nelson, 2012), 헬리콥터 양육 또한 자녀의 역기능적 완벽주의에 영향을 미치리라 가정할 수 있다. 그러나 부모의 양육행동과 기능적 완벽주의 간의 관계는 관련이 있거나(Besharat, Azizi, & Poursharifi, 2011;Craddock, Church, & Sand, 2009) 혹은 관련이 없는 등(Hibbard & Walton, 2014) 다소 비일관된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위와 같이, 완벽주의는 부모의 양육태도에 의해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우울과 같은 심리적 문제를 예측하는 변인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완벽주의와 우울 간의 정적 관련성은 많은 경험적 연구들에 의해 확인되어, 선행 연구들은 대부분 완벽주의의 역기능적 요소들과 우울 간의 정적 관계를 밝히고 있다(Flett, Hewitt, Blankstein, & O’Brien, 1991;Frost et al., 1993; H. J. Kim & Son, 2006;Namgung & Lee, 2005;Soenens et al., 2005). 그러나 앞서 언급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기능적 완벽주의 간의 관계와 유사하게, 완벽주의의 기능적 측면과 우울 간의 관계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거나(Bae & Yang, 2013; E. C. Chang & Rand, 2000; Rice, Ashby, & Slaney, 1998), 심지어 정적 상관을 보이는 등(Hewitt & Flett, 1993) 다소 비일관된 결과가 발견된다. 앞서 헬리콥터 양육과 완벽주의 간의 관계에서와 마찬가지로, 완벽주의와 우울 간에 관계에서도 기능적 완벽주의는 역기능적 완벽주의와 달리 그 특성이 모호한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헬리콥터 양육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기능적 완벽주의와 역기능적 완벽주의의 매개 역할을 각각 확인해 보았다.
종합해 보면, 부모의 헬리콥터 양육과 완벽주의 및 우울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으나 부모의 헬리콥터 양육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의 매개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다만,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역기능적 완벽주의를 매개로 대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드물게나마 발견되는 실정이다(Ma & Son, 2014;Soenens et al., 2008). 위와 같은 선행 연구들에 근거하여, 헬리콥터 양육은 성인 진입기 여성의 우울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뿐 아니라, 역기능적 완벽주의를 매개로 간접적 영향을 미치리라 가정할 수 있다. 그러나 기능적 완벽주의의 경우 경험적 연구들을 통해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모두 보고되고 있으며 세 변인 간의 관계에서 기능적 완벽주의의 매개 역할을 살펴본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 완벽주의 및 성인 진입기 여성의 우울 간의 경로와 관련하여, 아버지와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이 우울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헬리콥터 양육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기능적 완벽주의와 역기능적 완벽주의 각각의 매개 역할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Methods연구대상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소재 여자대학교의 재학생과 졸업생으로 구성된 305명의 성인 진입기 여성들이다. 성인 진입기 여성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헬리콥터 양육이 성인 진입기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를 지칭하며(Cline & Fay, 1990) 이 시기 여성의 우울이 남성에 비해 높게 보고된다는 점(Galambos, Barker, & Krahn, 2006)에 근거하였다. 연구대상의 연령은Arnett (2006)이 제안한 성인 진입기에 속하는 만 18-25세로 평균 연령은 21.94세이었다. 학업 상황을 살펴보면, 대학교 재학 중이 262명(85.9%)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졸업생과 대학원생이 각각 25명(8.2%)과 18명(5.9%)이었다. 부모의 연령을 살펴보면, 아버지의 경우 51-60세 240명(65.3%), 40-50세 49명(16.4%), 61-70세 14명(4.5%) 순이었으며, 어머니의 경우 51-60세 177명(58.0%), 40-50세 124명(41.0%), 61-70세 3명(1%) 순으로 분포하였다. 부모의 교육수준을 살펴보면, 아버지의 경우 대학교 졸업이 159명(52.1%)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원 졸업이 78명(25.6%)으로 뒤를 이었으며, 어머니의 경우 대학교 졸업이 165명(54.1%)으로 가장 많았고 고등학교 졸업 이하가 79명(25.9%)으로 뒤를 이었다. 부모의 직업을 살펴보면, 아버지의 경우 사무/기술직이 72명(23.6%)으로 가장 많았고, 자영업과 경영/관리직이 각각 60명(19.7%)과 48명(15.7%)이었으며, 어머니의 경우에는 전업주부가 134명(43.9%)으로 가장 많았고, 전문/자유직 37명(12.1%), 자영업 31명(10.2%)이었다.
연구도구본 연구의 조사도구는 헬리콥터 양육, 완벽주의 및 우울을 측정하는 세 가지 척도로 구성되며, 모든 문항은 성인 진입기 여성의 자기 보고에 의해 응답되었다. 헬리콥터 양육과 완벽주의의 각 문항은 4점 Likert 척도(거의 그렇지 않다 [1점]∼매우 그렇다 [4점])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각 변인의 특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우울의 문항 역시 4점 Likert 척도(극히 드물게 [1점]∼거의 대부분[4점])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헬리콥터 양육헬리콥터 양육은LeMoyne와 Buchanan (2011)이 개발하고Yoo (2014)가 번안한 Helicopter Parenting Scale (HPS)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자녀가 느끼는 부모의 헬리콥터 양육 수준을 측정하는 도구로 단일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총 10문항). 문항의 예로는 “나의 부모님은 나의 모든 성장 과정을 감독하셨다.”, “부모님은 종종 내 문제를 대신 해결해주신다.”, “나는 내 판단보다 부모님의 판단을 신뢰한다.”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의 문항 간 내적합치도(Cronbach’s α)를 살펴보면, 아버지의 헬리콥터 양육은 .66,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은 .71이었다.
완벽주의완벽주의는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들을Namgung & Lee (2005)가 합쳐서 요인분석을 통해 개발 .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Frost 등(1990)이 개발한 Frost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FMPS)을Hyun (1992)이 번안한 척도와 Hewitt와Flett (1991)가 개발한 Hewitt and Flett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HMPS)을 K. Y.Han (1993)이 번안한 척도를 합한 것이다. 이 척도는 기능적(즉, 성취추구적) 완벽주의(20문항)와 역기능적(즉, 실패회피적) 완벽주의(20문항)의 두 가지 하위요인(총 40문항)으로 구성된다. 기능적 완벽주의의 문항의 예로는 “나는 내가 하는 모든 일에서 최선을 다한다.”, “나는 학업에서나 일에서나 항상 성공해야만 한다.” 등을, 역기능적 완벽주의의 문항의 예로는 “만일 내가 직장이나 학업에서 실패한다면, 나는 한 인간으로서 실패한 것이다.”, “우리 가족에게는 무슨 일이든 뛰어나게 잘 해내야지만 인정받을 수 있다.”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문항 간 내적합치도(Cronbach’s α)는 기능적 완벽주의와 역기능적 완벽주의 각각 .89과 .90이었다.
우울우울은Radloff (1977)의 역학연구센터 우울 척도(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CES-D])를Chon, Choi와 Yang (2001)이 번안한 한국판 CES-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CES-D는 지난 일주일 동안 경험한 우울의 빈도를 측정하는 도구로 우울 감정(7문항), 긍정적 감정(4문항), 신체 및 행동 둔화(7문항), 대인관계(2문항)의 4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총 20문항). 하위요인별 문항의 예로는, 우울 감정은 “갑자기 울음이 나왔다.”, “슬픔을 느꼈다.” 등이, 긍정적 감정은 “미래에 대하여 희망적으로 느꼈다.”, “생활이 즐거웠다.” 등이 있고, 신체 및 행동 둔화는 “도무지 무엇을 시작할 기운이 나지 않았다.”, “하는 일마다 힘들게 느껴졌다.” 등이 있으며, 대인관계는 “사람들이 나에게 차갑게 대하는 것 같았다.”, “사람들이 나를 싫어하는 것 같았다.” 등의 문항이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의 문항 간 내적합치도(Cronbach’s α)는 우울감정은 .88, 긍정적 감정은 .82, 신체 및 행동 둔화는 .81, 대인관계는 .82이었다.
연구절차 및 자료분석본 연구의 자료는 2017년 7월부터 8월 초까지 수집되었으며, 현장 설문 조사와 온라인 설문 조사의 두 가지 경로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전자의 경우, 서울시 소재 여자대학교의 교양수업 담당교수의 동의를 받은 후, 연구자가 직접 강의시간에 질문지에 대한 설명과 함께 질문지를 배부하고 그 자리에서 실시한 후 회수하였다. 총 250부의 질문지를 배부하여 217부가 회수되었으며(회수율: 약 86.8%), 회수된 질문지 중 1개 이상의 척도에 응답하지 않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8부를 제외하고 총 209부를 본 분석에 사용하였다. 후자의 경우, 위와 동일한 대학교의 온라인 커뮤니티에 연구에 관한 설명이 명시된 안내문과 설문에 참여할 수 있는 링크를 게시하였고, 참여의사를 밝힌 11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그 중 남학생으로 표기된 7명과Arnett (2006)의 성인 진입기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즉 만 25세를 초과하며 경제적으로 독립한 12명을 제외하고 96명을 본 분석에 포함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IBM Co., Armonk, NY)과 AMOS 22.0 프로그램(IBM Co., Armonk, NY)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대상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조사도구의 문항 간 내적합치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값을, 그리고 각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다음으로, 측정변인들이 각각의 잠재 변인을 적절하게 설명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간접 효과의 유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Results측정 변인들 간 상관 관계헬리콥터 양육, 기능적 완벽주의 및 우울 간의 경로 모형과 헬리콥터 양육, 역기능적 완벽주의 및 우울 간의 경로 모형을 각각 분석하기에 앞서, 측정변인들 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두 가지 모형 모두 대부분의 변인들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이를 하나의 표로 제시하면 Table 1과 같다. 헬리콥터 양육과 성인 진입기 여성의 우울 간의 관계의 경우, 아버지의 헬리콥터 양육은 우울의 하위요인들 가운데 우울 감정(r = .17, p < .01), 긍정적 감정(r = -.23, p < .001)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반면에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은 우울의 모든 하위요인, 즉 우울 감정(r = .27, p < .001), 긍정적 감정(r = -.33, p < .001), 신체 및 행동둔화(r = .24, p < .001), 대인관계(r = .17, p < .01)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헬리콥터 양육과 자녀의 완벽주의 간의 관계와 관련하여, 아버지와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은 기능적 완벽주의(아버지: r = .13, p < .05; 어머니: r = .14, p < .05), 역기능적 완벽주의(아버지: r = .38, p < .001; 어머니: r = .54, p < .001)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완벽주의와 성인 진입기 여성의 우울 간의 관계의 경우, 기능적 완벽주의는 우울의 일부 하위요인, 즉 우울감정(r = .20, p < .01), 신체 및 행동 둔화(r = . 12, p < .05)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반면에 역기능적 완벽주의는 우울의 모든 하위요인, 즉 우울 감정(r = .45, p < .001), 긍정적 감정(r = -.46, p < .001), 신체 및 행동둔화(r = 39, p < .001), 대인관계(r = .28, p < .001) 등 모든 하위요인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헬리콥터 양육, 기능적 완벽주의 및 우울 간의 경로측정모형 분석연구모형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기에 앞서,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의 모수추정은 최대 우도법(maximum likelihood)을 사용하였다. 적합도 지수에 관한 기준과 관련하여 χ2 값이 유의하지 않아야 모델의 적합도가 좋다고 할 수 있으나, χ2 값은 표본의 크기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다른 적합도 지수들을 함께 고려하여 적합도를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G. S. Kim, 2010). 다른 적합도 지수들 중 NFI, TLI, CFI는 .90을 넘어야 좋은 적합도라고 할 수 있고, RMSEA는 .05 이하이면 좋은 적합도, .08이하이면 양호한 적합도이며(Hong, 2000), .10이하면 괜찮은 적합도라고 할 수 있다(Browne & Cudeck, 1993). 측정모형의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χ2 = 49.466 (df = 11, p < .001), χ2/df = 4.497, NFI = .935, CFI = .948, TLI = .900, RMSEA = .107, 90% CI [.078, .139]로 RMSEA가 .10을 초과해 적절한 수준의 적합도 기준을 충족하지 않았다. 따라서 수정지수가 높으며 동일한 측정도구를 사용한 우울감정(e4)과 긍정적 감정(e5)의 오차항 간 공분산을 연결하여 모형을 수정하였다(G. S. Kim, 2010). 수정 모형의 적합도는 χ2 = 34.836 (df = 10, p < .001), χ2/df = 3.485, NFI = .954, CFI = .966, TLI = .929, RMSEA = .090, 90% CI [.059, .124]로 적절한 수준이었다. 최종모형의 요인부하량을 살펴보면, 모든 잠재변인에서 측정변인으로의 표준화 회귀계수(β)는 .523∼1.000으로 회귀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갖는지 판단할 수 있는 측정변수들의 Critical Ratio (C.R.)값이 모두 α = .001 수준에서 유의하여 모든 측정변인이 잠재변인의 개념을 적절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igure 1).
구조모형 분석구조모형 분석 결과, 모형의 적합도는 χ2 = 49.110 (df = 11, p < .001), χ2/df = 4.465, NFI = .936, CFI = .949, TLI = .902, RMSEA = .107, 90% CI [.078, .138]로 적합도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여, 오차항 간 공분산을 연결하여 모형을 수정하였다(G. S. Kim, 2010). 수정 모형을 분석한 결과, 구조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χ2 = 35.252 (df = 10, p < .001), χ2/df = 3.525, NFI = .954, CFI = .966, TLI = .929, RMSEA = .091, 90% CI [.060, .125]로 적합도 기준을 충족하였다. 아버지와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과 기능적 완벽주의가 성인 진입기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직접 경로와 관련하여,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이 성인 진입기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유의하여(β = .25, p < .05), 성인 진입기 여성은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을 높게 보고할수록 우울 수준이 높았다. 그러나 아버지의 헬리콥터 양육은 성인 진입기 여성의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음으로, 아버지와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이 기능적 완벽주의를 통해 성인 진입기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 경로는 헬리콥터 양육이 기능적 완벽주의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아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기능적 완벽주의는 성인 진입기 여성의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성인 진입기 여성은 기능적 완벽주의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을 더 많이 경험하였다(β = .17, p < .05)(Table 2, Figure 2).
헬리콥터 양육, 역기능적 완벽주의 및 우울 간의 경로측정모형 분석측정모형의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χ2 = 37.636 (df = 11, p < .001), χ2/df = 3.421, NFI = .958, CFI = .969, TLI = .942, RMSEA = .089, 90% CI [.059, .121]로 적합도를 기준을 충족하였다. 최종모형의 요인부하량을 살펴보면, 모든 잠재변인에서 측정변인으로의 표준화회귀계수(β)가 .487∼.916으로 나타났으며, 회귀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갖는지 판단할 수 있는 측정변수들의 C.R.값이 모두 α = .001 수준에서 유의하여 모든 측정변인이 잠재변인의 개념을 적절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igure 3).
구조모형 분석구조모형 분석 결과 모형의 적합도는 χ2 = 38.050 (df = 11, p < .001), χ2/df = 3.459, NFI = .958, CFI = .969, TLI = .941, RMSEA = .090, 90% CI [.060, .122]로 그 기준을 충족하였다. 아버지와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과 역기능적 완벽주의가 성인 진입기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다음과 같다. 직접 경로와 관련하여, 아버지와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 모두 성인 진입기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간접 경로의 경우,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만이 역기능적 완벽주의를 통해 성인 진입기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쳤다. 즉, 역기능적 완벽주의는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과 우울 간의 관계를 매개하여, 성인 진입기 여성들은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 수준을 높게 지각할수록 역기능적 완벽주의가 높았으며(β = .53, p < .001), 역기능적 완벽주의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도 높았다(β = .48, p < .001). 아버지의 헬리콥터 양육, 역기능적 완벽주의 및 우울 간의 간접 경로는 발견되지 않았다(Table 3, Figure 4).
한편, 잠재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아버지와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이 성인 진입기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직접 효과와 역기능적 완벽주의를 통한 간접 효과 및 총 효과를 살펴보았다(Table 4).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이용하여 간접 효과의 유의성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이 역기능적 완벽주의를 매개로 하여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 효과는 유의하였다(β = .26, p < .01). 이어서 각 모형에서 외생변수들에 의해 내생변수의 변량이 설명되는 정도인 다중상관자승(Squared Multiple Correlations [SMC])을 확인한 결과, 아버지와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과 역기능적 완벽주의는 성인 진입기 여성의 우울의 25%를, 아버지와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은 역기능적 완벽주의의 30%를 설명하였다.
Discussion본 연구는 성인 진입기 여성을 대상으로 아버지와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과 기능적 및 역기능적 완벽주의가 성인 진입기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탐색하기 위해, 헬리콥터 양육이 우울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헬리콥터 양육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기능적 완벽주의와 역기능적 완벽주의 각각의 매개 역할을 살펴보았다. 매개변인인 기능적 완벽주의와 역기능적 완벽주의를 각각 포함한 두 가지 경로로 구분하여 그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헬리콥터 양육, 기능적 완벽주의 및 우울 간의 경로아버지와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 기능적 완벽주의 및 성인 진입기 여성의 우울 간의 경로와 관련하여,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만이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의 헬리콥터 양육을 다룬 선행 연구가 거의 발견되지 않아 어머니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과 비교할 때, 본 연구결과는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이 성인 진입기 자녀의 우울을 초래한다는 선행 연구결과들(Reed et al., 2016;Schiffrin et al., 2014)과 유사하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기를 마치고 이제 막 성인기에 진입한 젊은 성인들에 대한 사회적 요구 측면에서 해석할 수 있다. 비록 헬리콥터 양육이 자녀의 행복과 성공을 바라는 선한 의도에서 비롯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으로 자율성과 독립심을 강조하는 성인 진입기의 특성상 이에 반하는 헬리콥터 양육은 성인 진입기 여성으로 하여금 성인으로서 존중받지 못하는 느낌과 함께 정서적으로 우울하게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본 연구에서 아버지의 경우와 달리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만이 성인 진입기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친 점은 주목할 만하다. 부모의 양육행동은 전 생애에 걸쳐 자녀의 심리적 안녕에 커다란 영향력을 미친다는 점에서(Stafford, Kuh, Gale, Mishra, & Richards, 2016), 이러한 결과는 부모로부터 독립을 준비하는 성인 진입기에도 여전히 주 양육자로서의 어머니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부모-자녀 간 관계에서 동성 부모의 양육행동의 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크다고 보고한 연구결과(Gecas, 1971)와 유사하게, 모-녀관계는 부모-자녀관계의 다른 조합보다 가깝고 친밀하여(Kaufman & Uhlenberg, 1998) 성인 진입기 여성의 경우 정서적으로 친밀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보다 더 민감하게 지각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외에도, 본 연구에서 아버지의 헬리콥터 양육도 우울의 일부 하위요인들과 개별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던 점에 근거할 때, 경로 모형에서 어머니 양육의 영향력을 함께 고려함으로써 아버지 양육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약화되었을 가능성도 내포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성인 진입기 여성의 내면화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자녀의 자율성과 독립심을 지지해주는 어머니 양육행동의 중요성을 재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모형에서는 헬리콥터 양육과 기능적 완벽주의 간의 경로가 유의하지 않아 기능적 완벽주의의 매개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기능적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직접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 모두 기능적 완벽주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점은 양자 간의 관계를 살펴본 국내외 연구가 드물어 선행 연구와의 직접적 비교는 쉽지 않다. 다만, 이러한 결과는 권위주의적 양육이 기능적 완벽주의와 관련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Hibbard & Walton, 2014)와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기능적 완벽주의 간에 관련성이 없다고 보고한 연구결과(Craddock et al., 2009)와 유사한 맥락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권위주의적 양육과 기능적 완벽주의의 요소들 간의 정적 관련성을 보고한 연구결과(Besharat et al., 2011)와는 일치하지 않는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본 연구의 이론적 틀인 자기결정이론(Deci & Ryan, 1985)에 근거하여 이해할 만하다. 완벽주의의 두 가지 차원의 특성에 기초하건대, 부모의 헬리콥터 양육으로 자율성의 욕구가 충족되지 못할 경우, 자녀는 역기능적 완벽주의 측면은 발달시키기 쉬운 반면, 개인 내적 기준을 중요시하는 기능적 완벽주의는 이러한 양육태도의 영향을 받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부모의 양육태도와 기능적 완벽주의 간의 관계에 대해 비일관된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는 상황에, 본 연구는 두 가지 변인이 서로 관련이 없음을 밝혔다.
다음으로, 기능적 완벽주의는 우울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완벽주의의 두 가지 차원 가운데 기능적 완벽주의는 부적응적 요소뿐만 아니라 개인의 삶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적응적 요소도 포함하고 있다는 주장(Dunkley et al., 2000;Frost et al., 1993;Namgung & Lee, 2005)과 달리, 부정적 정서인 우울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기능적 완벽주의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정적 상관을 발견한 연구결과(Hewitt & Flett, 1993)와 일치한다. 그러나 기능적 완벽주의가 자존감 등과 같은 긍정적 정서와 정적으로 관련되며 부정적 정서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는 연구결과들(Ashby & Rice, 2002; Bergman, Nyland, & Burns, 2007;Rice & Mirzadeh, 2000)과는 일치하지 않는다. 이는 완벽주의의 본질적 특성과 관련하여 해석할 수 있다. 이차원적 완벽주의 척도의 각 하위영역과 심리적 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결과(Namgung & Lee, 2005)에 따르면, 기능적 완벽주의는 정적인 정동(情動)과 관련되었으나, 불안, 강박 증상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역기능적 완벽주의와 마찬가지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위 연구에서는 불안과 강박을 완벽주의자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특성으로 분류하였다. 불안과 우울 간의 밀접한 관련성은 경험적 연구와 임상적 관찰을 통해 보고되고 있으며(Dobson, 1985;Kleman, 1977), 강박적 사고 역시 우울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 중 하나라는 점에서(Yang, 2013), 기능적 완벽주의 성향도 만족에 대한 강박적 사고와 높은 불안을 동반할 경우 우울을 초래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앞서 서술한Greenspan (2000)의 주장과 마찬가지로, 본 연구결과는 기능적 완벽주의가 개인의 부정적 특성임을 밝혔다.
헬리콥터 양육, 역기능적 완벽주의 및 우울 간의 경로아버지와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 역기능적 완벽주의 및 성인 진입기 여성의 우울 간의 경로와 관련하여, 앞서 살펴본 기능적 완벽주의의 매개 모형과 달리 헬리콥터 양육이 우울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역기능적 완벽주의가 양자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간접 경로만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헬리콥터 양육과 역기능적 완벽주의 간의 관계, 역기능적 완벽주의와 우울 간의 관계, 그리고 헬리콥터 양육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완벽주의의 매개 역할 등 세 가지로 나누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헬리콥터 양육과 역기능적 완벽주의 간의 관계와 관련하여, 아버지와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 가운데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이 역기능적 완벽주의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만이 발견되어, 성인 진입기 여성은 어머니로부터 헬리콥터 양육을 받는다고 지각할수록 역기능적 완벽주의 성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자녀의 역기능적 완벽주의 성향을 높인다는 연구결과들(Craddock et al., 2009; H.-I. Kim et al., 2011; H.-Y. Kim & Park, 2008;Soenens et al., 2005;Soenens et al., 2008)과 유사한 맥락으로 볼 수 있으며, 부모의 권위주의적 양육방식이 부적응적 완벽주의 성향과 정적으로 관련된다는 연구결과들(Hibbard & Walton, 2014;Kawamura et al., 2002)과도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이러한 결과는Deci와 Ryan (1985)이 주장한 자기결정이론의 이론적 가설과 일치하는 것으로, 자녀의 자율성을 좌절시키는 헬리콥터 양육은 자녀로 하여금 부모를 포함한 외부의 기준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역기능적 완벽주의를 발달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도, 기능적 완벽주의를 포함한 매개 모형에서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이 어느 정도의 영향력으로 우울에만 영향을 미쳤던 점을 고려해 볼 때, 역기능적 완벽주의의 매개 모형에서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이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으로 역기능적 완벽주의에 영향을 미친 점은 주목할 만하다. 동시에, 선행연구들에서 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권위주의적 양육과 같은 통제적 양육이 자녀의 역기능적 양육행동을 예측했던 것과 유사하게, 본 연구에서도 헬리콥터 양육 역시 역기능적 완벽주의의 발달과 관련된 점은 흥미롭다.
다음으로, 역기능적 완벽주의와 우울 간의 경로의 경우, 역기능적 완벽주의는 우울에 직접적 영향을 미쳐 성인 진입기 여성은 역기능적 완벽주의 성향을 지닐수록 높은 수준의 우울을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완벽주의의 역기능적 요소들이 우울과 같은 심리적 부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경험적 연구결과들(Bieling, Israeli, & Antony, 2004;Choi et al., 2005;Ellis, 2002; H. J. Kim & Son, 2006; M. H. Lee & Rhyu, 2002)을 지지한다. 이는 인지이론적 관점에서 우울을 설명한Beck (1979)의 이론적 가설과도 일치하는데, 완벽주의와 관련된 역기능적 신념을 가진 사람들은 자신이나 타인에게 엄격하고 비현실적인 기준을 부과하게 되어 작은 실패경험에도 자기 비판적 사고에 빠지는 등 우울을 경험하기 쉽다는 것이다. 따라서 성인 진입기 여성의 우울에 대한 중재 시 우선적으로 그들의 인지적 신념, 특히 역기능적 완벽주의 성향을 파악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개입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역기능적 완벽주의는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과 성인 진입기 여성의 우울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헬리콥터 양육과 역기능적 완벽주의 및 우울을 모두 포함한 선행 연구가 드문 실정에, 본 연구결과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자녀의 역기능적 완벽주의 신념을 발달시키게 되며 그 결과로 우울과 같은 심리적 부적응을 경험한다는 연구결과들(Kenny-Benson & Pomerantz, 2004; H.-I. Kim et al., 2011;Ma & Son, 2014;Soenens et al., 2005;Soenens et al., 2008)과 유사하다. 또한, 권위주의적이고 엄격한 양육태도가 부적응적 완벽주의를 매개로 대학생의 우울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한 연구결과(Enns, Cox, & Clara, 2002)와도 일맥상통한다. 앞서 서술한 헬리콥터 양육이 강력한 크기로 역기능적 완벽주의에 영향을 미치고, 이어서 역기능적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을 보건대, 본 연구결과는 성인 진입기 여성의 우울을 야기하는 선행 요인들 가운데 부모의 헬리콥터 양육의 영향력과 더불어 개인의 역기능적 신념이 차지하는 상대적 영향력도 강조하였다.
결론적으로, 부모의 헬리콥터 양육, 완벽주의 및 우울 간의 경로에서 기능적 완벽주의와 역기능적 완벽주의는 서로 다른 양상을 보임으로써,Namgung과 Lee (2005)가 제안하였듯이 완벽주의는 하나의 연속적 개념이 아니라 서로 다른 두 가지 차원으로 확인되었다. 헬리콥터 양육은 기능적 완벽주의와 달리 역기능적 완벽주의에만 영향을 미쳤다. 이와 동시에, 동기적 측면에서 긍정적 성취 욕구를 지닌 기능적 완벽주의도 그 영향력은 덜 할지라도 우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역기능적 완벽주의는 물론 기능적 완벽주의 역시 우울을 수반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아버지와 비교하여 주 양육자이자 동성 부모인 어머니의 상대적 영향력을 발견하였다. 어머니의 헬리콥터 양육이 역기능적 완벽주의에 미치는 영향력이 역기능적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 못지않게 매우 큰 점은 어머니 역할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게 한다. 이는 성인 진입기 여성의 우울을 낮추기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 시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을 포함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우울의 유병률이 높은 성인 진입기 여성만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자녀의 성별에 따라 아버지와 어머니 양육의 영향력이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다는 점에서 후속 연구에서는 남성도 포함하여 자녀의 성별에 따른 분석을 시도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한 시점에서 성인 진입기 여성이 지각하는 부모의 헬리콥터 양육, 완벽주의 및 우울을 측정함으로써 세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명시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종단적 연구설계를 이용하여 변인 간 인과성을 보다 명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가정의 사회경제적 수준을 포함하여 자녀의 출생순위와 자녀수, 부모와의 동거 여부 등 연구변인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인구학적 변인들을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그 영향력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인들을 포함함으로써 각 연구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롯한 연구변인들 간의 관계를 보다 명확히 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대학의 재학생과 졸업생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기에 본 연구결과를 성인 진입기 여성으로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지역 간 문화·경제적 차이와 대학 간 특성 차이가 심화되고 있는 현상을 고려할 때 후속 연구에서는 지역을 확대함으로써 표본의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본 연구는 헬리콥터 양육과 성인 진입기 여성의 우울 간의 관계에서 기능적 완벽주의와 역기능적 완벽주의의 매개 역할을 독립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각 완벽주의의 발달과정과 성인 진입기 여성의 우울에 대한 영향력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둘째, 헬리콥터 양육과 관련된 선행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을 모두 포함함으로써, 성인 진입기 여성의 완벽주의 및 우울에 대한 어머니 역할의 상대적 영향력을 강조하였다. 이 외에도, 헬리콥터 양육에 초점을 둔 연구가 아직 초기단계인 실정에서 본 연구는 후속 연구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성인 진입기 여성의 우울에 대한 중재 시 개인의 역기능적 완벽주의 신념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자녀양육 요인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성인 진입기 여성을 자녀로 둔 부모의 헬리콥터 양육행동과 자녀의 부정적 발달결과 간의 관련성을 기반으로 이 시기 부모를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 및 상담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Acknowledgements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2016S1A3A2924375).
Table 1
Table 2
Table 3
Table 4
ReferencesArnett, J. J. (2006). Emerging adulthood: Understanding the new way of coming of age. In J. J. Arnett, & J. L. Tanner (Eds.), Emerging adults in America: Coming of age in the 21st century. (pp. 3-19).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shby, J. S., & Rice, K. G. (2002). Perfectionism, dysfunctional attitudes, and self-esteem: A structural equations 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80(2), 197-203 doi:10.1002/j.1556-6678.2002.tb00183.x.
Barrow, J. C., & Moore, C. A. (1983). Group interventions with perfectionistic thinking. Personnel & Guidance Journal, 61(10), 612-615 doi:10.1111/j.2164-4918.1983.tb00008.x.
Beck, A. T. (1979). Cognitive therapy and the emotional disorders. New York: Penguin Books.
Bergman, A. J., Nyland, J. E., & Burns, L. R. (2007). Correlates with perfectionism and the utility of a dual process model.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3(2), 389-399 doi:10.1016/j.paid.2006.12.007.
Besharat, M. A., Azizi, K., & Poursharifi, H.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s and children’s perfectionism in a sample of iranian families.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5:1276-1279 doi:10.1016/j.sbspro.2011.03.276.
Bieling, P. J., Israeli, A. L., & Antony, M. M. (2004). Is perfectionism good, bad, or both? Examining models of the perfectionism construc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6(6), 1373-1385 doi:10.1016/S0191-8869(03)00235-6.
Blatt, S. J. (1995). The destructiveness of perfectionism: Implications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American Psychologist, 50(12), 1003-1020 doi:10.1037/0003-066X.50.12.1003.
Browne, M. W.,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 136-162). Newbury Park, CA: Sage.
Burns, D. D. (1980). The Perfectionist’s script for self-defeat. Psychology Today, 34-52.
Chang, E. C., & Rand, K. L. (2000). Perfectionism as a predictor of subsequent adjustment: Evidence for a specific diathesisstress mechanism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79(1), 129-137 doi:10.1037/0022-0167.47.1.129.
Chickering, A. W., Reisser, L. (1993). Education and identity(2nd 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Cline, F. W., Fay, J. (1990). Parenting with love and logic: Teaching children responsibility. Colorado Springs, CO: Pinon Press.
Craddock, A. E., Church, W., & Sands, A. (2009). Family of origin characteristics as predictors of perfectionism. Australian Journal of Psychology, 61(3), 136-144 doi:10.1080/00049530802239326.
Darlow, D., Noviltis, J. M., & Schuetze, P. (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helicopter parenting and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6(8), 2291-2298 doi:10.1007/s10826-017-0751-3.
Deci, E. L., Richard, F. (2011). Why we do what we do: The dynamics of personal autonomy. Lee, S. W., translator. Seoul: Eco Library, Original work published 1995.
Deci, E. L., Ryan, R. M. (1985). Instinct motivation and self 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 Plenum.
Deci, E. L., Ryan, R. M. (2002).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Rochester, NY: The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Dobson, K. S. (1985). An analysis of anxiety and depression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5), 522-527 doi:10.1207/s15327752jpa4905_10.
Dunkley, D. M., Blankstein, K. R., Halsall, J., Williams, M., & Winkworth, G. (2000). The relation between perfectionism and distress: Hassles, coping,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s mediators and moderator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7(4), 437-453 doi:10.1037/0022-0167.47.4.437.
Egan, S. J., Wade, T. D., & Shafran, R. (2011). Perfectionism as a transdiagnostic process: A clinical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31(2), 203-212 doi:10.1016/j.cpr.2010.04.009.
Ellis, A. (2002). The role of irrational beliefs in perfectionism. In G. L. Flett, & P. I. Hewitt (Eds.), Perfectionism: 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pp. 217-230).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doi:10.1037/10458-000.
Enns, M. W., Cox, B. J., & Clara, I. (2002). Adaptive and maladaptive perfectionism: Developmental origins and association with depression pronenes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3(6), 921-935 doi:10.1016/S0191-8869(01)00202-1.
Flett, G. L., Hewitt, P. L., Blankstein, K., & O’Brien, S. (1991). Perfectionism and learned resourcefulness in depression and self-estee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2(1), 61-68 doi:10.1016/0191-8869(91)90132-U.
Flett, G. L., Hewitt, P. L., & Singer, A. (1995). Perfectionism and parental authority styles. Individual Psychology: Journal of Adlerian Theory, Research & Practice, 51(1), 50-60.
Frost, R. O., Heimberg, R. G., Holt, C. S., Marttia, J. I., & Neubauer, A. L. (1993). A comparison of two measures of perfectionis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4(1), 119-126 doi:10.1016/0191-8869(93)90181-2.
Frost, R. O., Marten, P., Lahart, C., & Rosenblate, R. (1990). The dimensions of perfectionism.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4(5), 449-468 doi:10.1007/BF01172967.
Galambos, N. L., Barker, E. T., & Krahn, H. J. (2006). Depression, self-esteem, and anger in emerging adulthood: Seven-year trajectories. Developmental Psychology, 42(2), 350-365 doi:10.1037/0012-1649.42.2.350.
Gecas, V. (1971). Parental behavior and dimensions of adolescent self-evaluation. Sociometry, 34(4), 466-482 doi:10.2307/2786193.
Greenspan, T. S. (2000). “Healthy Perfectionism” is an Oxymoron! The Journal of Secondary Gifted Education. 11:197-213 doi:10.4219/jsge-2000-631.
Hamachek, D. E. (1978). Psychodynamics of normal and neurotic perfectionism. Psychology: A Journal of Human Behavior, 15(1), 27-33.
Hewitt, P. L., & Flett, G. L. (1991). Perfectionism in the self and social contexts: 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3), 456-170 doi:10.1037/0022-3514.60.3.456.
Hewitt, P. L., & Flett, G. L. (1993). Dimensions of perfectionism, daily stress, and depression: A test of specific vulnerability hypothesi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2(1), 58-65 doi:10.1037/0021-843X.102.1.58.
Hibbard, D. R., & Walton, G. E. (2014). Exploring the development of perfectionism: The influence of parenting style and gender.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42(2), 269-278 doi:10.2224/sbp.2014.42.2.269.
Kaufman, G., & Uhlenberg, P. (1998). Effects of life course transitions on the quality of relationships between adult children and their parent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0(4), 924-938 doi:10.2307/353635.
Kawamura, K. Y., Frost, R. O., & Harmatz, M. G. (2002).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parenting styles to perfectionis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2(2), 317-327 doi:10.1016/S0191-8869(01)00026-5.
Kenny-Benson, G. A., & Pomerantz, E. M. (2005). The role of mother’s use of control in children’s perfectionism: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Personality, 73(1), 23-46 doi:10.1111/j.1467-6494.2004.00303.x.
Kleman, G. L. (1977). Anxiety and depression. In G. D. Burrows (Ed.), Handbook of studies on depression. New York: Excerpta Medica.
Kouros, C. D., Pruitt, M. M., Ekas, N. V., Kiriaki, R., & Sunderland, M. (2017). Helicopter parenting, autonomy support, and college Student’s mental health and wellbeing: The moderating role of sex and ethnicity.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6(3), 939-949 doi:10.1007/s10826-016-0614-3.
Kwon, K.-A., Yoo, G., & Bingham, G. E. (2016). Helicopter parenting in emerging adulthood: Support or barrier for Korean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adjustment.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5(1), 136-145 doi:10.1007/s10826-015-0195-6.
LeMoyne, T., & Buchanan, T. (2011). Does “hovering” matter? Helicopter parenting and its effect on well-being. Sociological Spectrum, 31(4), 399-418 doi:10.1080/02732173.2011.574038.
Nelson, L. J., Padilla-Walker, L. M., Christensen, K. J., Evans, C. A., & Carroll, J. S. (2011). Parenting in emerging adulthood: An examination of parenting clusters and correlate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40(6), 730-743 doi:10.1007/s10964-010-9584-8.
Padilla-Walker, L. M., & Nelson, L. J. (2012). Black Hawk down?: Establishing helicopter parenting as distinct construct from other forms of parental control during emerging adulthood. Journal of Adolescence, 35(5), 1177-1190 doi:10.1016/j.adolescence.2012.03.007.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doi:10.1177/014662167700100306.
Reed, K., Duncan, J. M., Lucier-Greer, M., Fixelle, C., & Ferraro, A. J. (2016). Helicopter parenting and emerging adult self-efficacy: Implications for mental and physical health.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5(10), 3136-3149 doi:10.1007/s10826-016-0466-x.
Rice, K. G., Ashby, J. S., & Slaney, R. B. (1998). Self-esteem as a mediator between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A structural equations 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3), 304-314 doi:10.1037/0022-0167.45.3.304.
Rice, K. G., & Mirzadeh, S. A. (2000). Perfectionism, attachment, and adjustment. Journal of Counseling Student Development, 47(2), 238-250 doi:10.1037/0022-0167.47.2.238.
Schiffrin, H. H., Liss, M., Miles-McLean, H., Geary, K. A., Erchull, M. J., & Tashner, T. (2014). Helping or Hovering? The effects of helicopter parenting on college student’s wellbeing.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3(3), 548-557 doi:10.1007/s10826-013-9716-3.
Segrin, C., Givertz, M., Swaitkowski, P., & Montgomery, N. (2015). Overparenting is associated with child problems and a critical family environment.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4(2), 470-479 doi:10.1007/s10826-013-9858-3.
Segrin, C., Woszidlo, A., Givertz, M., Bauer, A., & Murphy, M. T. (2012). The association between overparenting,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entitlement and adaptive traits in adult children. Family Relations: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pplied Family Studies, 61(2), 237-252 doi:10.1111/j.1741-3729.2011.00689.x.
Soenens, B., Elliot, A. J., Goossens, L., Vamsteenkiste, M., Luyten, P., & Duriez, B. (2005).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perfectionism: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s an intervening variable.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9(3), 358-366 doi:10.1037/0893-3200.19.3.358.
Soenens, B., Luyckx, K., Vansteenkiste, M., Luyten, P., Duriez, B., & Goossens, L. (2008). Maladaptive perfectionism as an intervening variable between psychological control and adolescent depressive symptoms: A three-wave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2(3), 465-474 doi:10.1037/0893-3200.22.3.465.
Spokas, M., & Heimberg, R. G. (2009). Overprotective parenting, social anxiety, and external locus of control: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relationship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3:543-551 doi:10.1007/s10608-008-9227-5.
Stafford, M., Kuh, D. L., Gale, C. R., Mishra, G., & Richards, M. (2016).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offspring’s positive mental wellbeing from adolescence to early older age.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11(3), 326-337 doi:10.1080/17439760.2015.1081971.
van Ingen, D. J., Freiheit, S. R., Steinfeldt, J. A., Moore, L. L., Wimer, D. J., Knutt, A. D., Scapinello, S., & Roberts, A. (2015). Helicopter parenting: The effect of an overbearing caregiving style on peer attachment and self-efficacy. Journal of College Counseling, 18(1), 7-20 doi:10.1002/j.2161-1882.2015.00065.x.
Wolf, D. S., Sax, L., & Harper, C. E. (2009). Parental engagement and contact in the academic lives of college students. NASPA Journal, 46(2), 325-358 doi:10.2202/1949-6605.6044.
Ahn, H. (2016). The association among helicopter parenting, social well-being and core self-evaluation: Evidence of sex differences.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4138701.
Bae, H.-J., & Yang, N.-M. (2013). The effects of maladaptive/adaptive perfectionism on depression in high school students: Commitment and control as a mediator.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4(4), 2253-2270.
Chang, K.-M. (2007). The influence of children’s perceived paternal/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raextraversion characteristics on their self -determination and school achievement.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0(1), 165-179.
Choi, M.-S., Yoo, J.-M., & Hyun, M.-H. (2005).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s and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The Korean Journal Health Psychology, 10(1), 1-15.
Chon, K. K., Choi, S.-C., & Yang, B.-C. (2001). Integrated adaption of CES-D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6(1), 59-76.
Han, C. (2016). The effects of parental overprotective parenting,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Identity on depression among females in emerging adulthood.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975669.
Han, K. Y. (1993).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Relationship among concept, measurement, and maladjustment.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248978.
Hong, S. (2000).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Hyun, J. W. (1992).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and assessment on task execution.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712763.
Kim, G. S. (2010). (Amos 18.0) Gujobangjeongsingmohyeong bunseok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Seoul: Hannarae Academy.
Kim, H.-I., Doh, H.-S., & Chee, Y. K. (2011). The effect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dysfunctional perfectionism, and self-conscious emotions on depression i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2(4), 15-36.
Kim, H. J., & Son, C. N.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ive perfectionism,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selfesteem, daily hassles, rumination, de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14(1), 23-31.
Kim, H.-Y., & Park, S.-Y. (2008). The effects of mother’s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control behavior on children’s perfectionism and children’s depression. The Korena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1(3), 115-131.
Kim, J., & Oh, K. J. (2011). The effects of parental overprotection on depression: The mediation effect of ego-resilience according to gender.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0(3), 647-661.
Kim, J.-M. (2009).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riticism and shame in the relation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maladaptive emotion i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6(10), 205-225.
Korea Ministr y of Health and Welf are (2016). 2016 Gungmingeongangtonggye Ⅱ . chui: Gungmingeongangyeong yangjosa je7gi 1chanyeondo (2016) [2016 국민건강통계 Ⅱ. 추이: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1차년도(2016)].
Retrieved from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website: https://knhanes.cdc.go.kr/knhanes/eng/index.do.
Lee, J. (201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licopter parenting and interperson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Mediating affect of shame and social self-efficacy, moderating effect of college student’s financial independence.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975583.
Lee, M. H., & Rhyu, J. H. (2002). The positive and negative function of perfectionism - in relations with achivement goal,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9(3), 293-316.
Lee, Y.-W., Kim, J.-H., Yim, S.-Y., Chae, M.-O., Lee, H.-R., & Oh, J. (2014). An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of helicopter parenting.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4), 237-246 doi:10.4094/chnr.2014.20.4.237.
Ma, E.-A., & Son, E.-J. (2014).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university students’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 of autonomy need thwarting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5(5), 2035-2051.
Namgung, H.-C., & Lee, Y.-H. (200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two-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4(4), 917-936.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Maeumui byeong 「uuljeung」yeoseongi 45man myeongeuro namseongboda 2bae isang mana [마음의 병「우울증」여성이 45만 명으로 남성보다 2배 이상 많아]. Retrieved from http://www.nhis.or.kr/bbs7/boards/B0039/27103.
Yang, K. M. (2013). A study on the effects of body image, perfectionism, and obsessive compulsion on depress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1(1), 1-11.
Yoo, G. (2014). Effects of perceived helicopter parenting on intention of childbirth and desired number of children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Youth Facility and Environment, 12(3), 5-1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