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 Child Stud > Volume 46(2); 2025 > Article
유아의 공격행동 감소를 위한 연합적 행동자문모형에 기반한 기능중심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 부모-교사 이중개입 프로그램

Abstract

Objectives

A function-based, dual-intervention program grounded in the conjoint behavioral consultation (CBC) model was developed and evaluated to provide parents and teachers with evidence-based strategies for reducing aggressive behaviors in preschool-aged children. The program aimed to enhance consistency in behavior management across home and daycare settings through structured parent–teacher collaboration.

Methods

A pretest-posttest-follow-up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Ten children (aged 3-5 years) displaying elevated aggression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intervention (n = 5) or control group (n = 5). Parents and teachers assigned to the intervention group participated in an eight-session online program focused on implementing function-based behavioral strategies. The program’s impact was assessed using measures of aggressive behavior, treatment integrity, and social validity. Data were analyzed using Mann–Whitney U and Wilcoxon signed-rank tests.

Results

The intervention followed a five-stage CBC framework consisting of pre-consultation, problem identification, problem analysis, plan implementation, and plan evaluation. Each stage incorporated principles from applied behavior analyses. The intervention group experienc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aggressive behaviors, with effects maintained at the three-week follow-up. Treatment integrity data indicated high fidelity to the intervention protocol, and social validity ratings reflected strong satisfaction and perceived feasibility from both parents and teachers.

Conclusion

The findings support the effectiveness of the CBC-based dual intervention model in reducing aggressive behaviors in preschoolers through the consistent implementation of function-based strategies. This study underscores the value of structured parent–teacher collaboration and demonstrates the potential for integrating evidence-based behavioral interventions into both hom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settings.

Introduction

공격행동은 유아기에 가장 빈번하게 보고되는 문제행동으로 자신 혹은 타인에게 신체적, 정서적 해를 가하는 행동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신체적 상해나 고통을 주거나 물건을 손상시키는 행동, 언어를 매개로 상대에게 심리적, 사회적 해를 끼치는 행동 등이 모두 포함된다(Crick & Grotpeter, 1995). 유아기는 행동을 통제하는 능력이 미숙한 시기이지만, 동시에 교육기관에서 다수의 또래들과 다양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경험하기 시작하는 시기이기도 하므로 유아들은 사회적 상황에서 직면하는 크고 작은 갈등으로 인해 자신의 부정적 정서를 공격적인 행동으로 표출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공격행동이 지속될 경우, 이는 주변 타인에게 위협이 될 뿐 아니라 또래 거부나 적절한 학습 기회로의 차단 등을 야기하여 유아 자신의 발달을 저해하며 이후 아동기의 반사회적 행동, 불안, 우울 등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조기개입이 필수적이다(Kaiser & Rasminsky, 2007; Tremblay et al., 2004).
공격행동의 발달궤적을 탐색한 종단연구들에 따르면, 유아기의 공격행동은 걸음마기 영아에서부터 만 3세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유아기에 접어들면서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다(Baillargeon et al., 2007; Tremblay et al., 2004). 유아기에도 공격행동이 지속된 채 학령기에 접어들 경우, 해당 행동은 쉽게 변화하지 않는 행동 특성으로 안정화되며 이는 학령기의 적대적 공격행동이나 반사회적 행동, 청소년기의 비행으로 이어지는 등 장기적인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Snyder, Suarez, & Brooker, 2001). 따라서 만 3세에서 5세 유아기는 공격행동이 개인의 고정된 행동 레퍼토리로 고착되기 이전 시기로서 개입을 시행하여 효과적으로 행동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중요한 시기이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한 효과적인 공격행동 개입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상의 필요성을 고려하여 다수의 선행연구자들은 만 3-5세 유아 공격행동 감소를 위한 다양한 개입 프로그램들을 개발해왔다. 기존 프로그램들의 주요한 특징을 요약하고 보다 새로운 접근이 필요한 내용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 프로그램의 대부분은 정서조절능력이나 조망수용능력과 같이 유아의 공격행동을 예측하는 것으로 밝혀진 공통된 예측요인에 개입하는 것에 초점을 두어 왔다(Day, Howells, Mohr, Schall, & Gerace, 2008; Jo & Chung, 2020; S. Kim & Song, 2014). 공격행동에 대한 공통된 예측요인을 발견하고 이에 기반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은 효율적인 중재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임상적인 기여점이 크지만, 공격적 행동의 원인이 되는 요인이 유아마다 상이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감안한 접근 역시 필요하다. 즉, 각각의 유아가 경험하는 발달적・환경적 특성이나 행동의 원인을 고려한 개별적 접근(individualized approach)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정서조절능력의 부족 등 공격행동을 예측하는 특성을 지닌 유아라 할지라도 실제 유아의 일상 속에서 해당 행동이 어떠한 빈도나 강도로 발현되는지는 모두 다르다. 유아의 고유한 발달적 특성, 현재 경험하는 환경의 영향에 따라 실제 발현되는 공격행동의 수준에서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Heward & Silvestri, 2005). 따라서 유아의 공격행동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선행연구들에서 보고된 공통적인 예측요인 뿐 아니라 유아의 발달수준을 포함한 개인의 고유한 특성과 유아가 경험하는 환경 분석에 기반한 개별적 접근이 요구된다.
둘째, 유아의 공격행동 감소를 목적으로 임상 현장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프로그램들은 부정적 정서를 공격행동의 직접적 유발요인으로 간주하여 이를 해소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Han, Lee, & Suh, 2017; Wilson & Ray, 2018). 좌절감과 분노 등의 부정적 정서를 해소하고 유아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에 초점을 맞춘 접근은 공격행동의 발생 자체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임상적 중요성이 강조되어 온 것이다(Berkowitz, 1989). 부정적 정서와 같이 공격행동을 촉발시키는 요인에 대한 개입에 더하여 공격행동을 유지시키는 요인에 대해서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공격행동을 유지시키는 요인은 주로 유아가 공격행동을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지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행동의 기능분석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행동의 기능(function)이란 행동을 통해 경험한 것, 즉 행동의 목적을 의미한다(Scott & Cooper, 2017). 특정한 행동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데에는 행동 뒤에 뒤따르는 특정한 결과, 즉 행동의 목적이 있고 그 목적을 파악하지 못한다면 행동을 중단시키는 것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기능분석을 통해 유아의 공격행동이 그 동안 유지되어 온 원인을 이해하고 이에 맞게 환경에 변화를 주는 것은 공격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를 매개로 중재를 실시한 소수의 국외 프로그램(Feil et al., 2014; Williford et al., 2017)을 제외한 대다수의 프로그램은 임상적 장면에서 개별 유아에게 심리치료를 실시한 프로그램이다(Wilson & Ray, 2018). 그러나 유아의 행동은 맥락의존적인 특성이 강하므로 임상적 장면에서의 행동 변화가 유아의 일상적인 장면까지 일반화되는 데에 한계가 있다(Smeets et al., 2014). 이와 같은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유아들이 경험하는 실제 맥락인 가정과 교육기관에서 공격행동에 대한 개입을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가정과 기관에서 유아와 가장 많은 시간 상호작용하는 성인, 즉 부모와 교사 모두를 통한 개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때 환경 간 일관성을 증진시킴으로써 개입 효과의 일반화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기존의 프로그램들은 해당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판단함에 있어 공격행동의 변화가 실제로 프로그램의 효과에 의한 것이라는 점, 그리고 그 효과가 대상자가 경험하는 실제적 변화로 이어졌다는 점을 뒷받침할 수 있는 절차충실도(treatment integrity)와 사회적 타당도(social validity)의 평가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절차충실도란 개입이 계획된 절차와 내용대로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개입의 내적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인이다(Yeaton & Sechrest, 1978). 기존 공격행동 중재 프로그램의 주축을 이루는 정신분석과 대상관계이론 등에 기반한 접근들은 유아와 치료사 간의 특수한 관계를 기반으로 치료가 이루어진다고 보는데, 여기서 말하는 특수한 치료적 관계는 주관적이고 정성적인 요인이기 때문에 이를 측정하고 평가하는 것에 어려움이 존재할 수 밖에 없다(Pester, Lenz, & Dell'Aquila, 2019). 그러나 근거기반(evidence-based) 을 강조하는 최근 연구들(Horner, Rew, & Torres, 2006)은 유아 행동의 변화가 측정수단의 변화나 성숙효과 등과 같은 외생적 요인의 영향이 아닌 해당 개입 프로그램으로 인한 것인지를 검증하는 내적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절차충실도가 강조되어야 함을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개입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근거기반 치료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개입이 얼마나 본래 의도대로 정확하게 실시되었는지를 측정하고 평가하는 절차를 구조화함으로써 절차충실도를 확보하는 것이 프로그램의 한 구성요소로 포함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개입 프로그램이 대상자들의 실제 생활에 얼마나 의미 있는 변화를 가져왔는지,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실행 가능한 것인지를 평가하는 사회적 타당도의 평가 역시 강조될 필요가 있다. 실제 중재 대상자들이 경험하는 실행가능성과 행동의 변화 정도를 반영하지 않는다면,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은 내담자가 아닌 연구자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Dunst & Hamby, 2017). 따라서, 실제 중재 대상자들이 경험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반영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목표와 중요성, 절차와 방법의 적절성, 결과의 효과성에 대한 대상자들의 주관적 평가를 포함한 절차가 프로그램 내에 내재될 필요가 있다.
위에서 제시한 선행 프로그램들을 보완하고 유아 공격행동에 대한 개입 방안을 확장시킬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은 연합적 행동자문모형(Conjoint Behavior Consulting [CBC])에 기반한 기능중심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행동분석적 접근에 따른 기능중심 중재 프로그램은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대한 개별적 분석에 기반하여 행동의 기능을 파악하고 이에 기초한 개입을 시행하는 근거기반의 접근법이며, CBC 모형은 부모와 교사 모두에게 적절한 중재 방안을 훈련할 수 있는 개입 모형이다. 기능중심의 프로그램이 CBC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되고 실시된다면, 가정과 기관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유아의 공격행동에 대한 효과적인 중재가 가능해질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부모와 교사 모두를 대상으로 기능중심의 훈련을 실시한 프로그램을 찾아보기 어렵다. 참고할 만한 프로그램으로 M. J. Kim, Doh, Hong과 Choi (2011)이 개발한 유아의 공격행동 감소를 위한 부모훈련 프로그램, Doo와 Lee (2012)가 파괴적 행동문제를 보이는 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녀와의 상호작용 방식을 훈련한 프로그램 등 소수의 부모훈련 프로그램이 있으나, 위의 프로그램들은 부모의 전반적인 양육기술을 증진시킴으로써 부모 자녀 간 관계를 개선하는 데에 초점을 둔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유아의 공격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적 요인을 분석하고 이에 기반한 개별적 전략을 훈련하는 데에 초점을 둔 프로그램은 아니다. 특히, 효과적인 행동 개선을 위해서는 유아에게 가장 중요한 환경인 가정과 기관에서 일관된 개입이 실시되는 것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Koegel, Egel, & Williams, 1980), 국내의 선행프로그램들은 부모만을 대상으로 훈련을 실시해왔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국외에서는 CBC 모형이 제시하는 관점에 따라 유아의 부모와 교사에게 기능중심의 개별화된 접근을 훈련하는 프로그램이 소수 개발된 바 있지만,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등 발달장애 유아의 부모 혹은 교사를 대상으로 한 것이며 (Kuravackel et al., 2018; Sonuga-Barke, Daley, Thompson, Laver-Bradbury, & Weeks, 2001), 비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은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나 Squires와 Bricker (2007)가 주장한 바와 같이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기능에 기반한 개별화된 접근을 하는 것은 장애 유무와 상관없이 개입의 효과성을 가져오기 위해 공통적으로 강조되어야 하는 요인이므로 행동분석에 근거한 기능중심의 개별화된 개입을 비장애 유아의 행동 개선에 적용하여 해당 접근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먼저, 본 연구에서 행동분석적 접근을 적용하고자 하는 부분은 개별 유아가 보이는 공격행동의 기능에 대한 분석과 이에 기반하여 환경적 반응에 변화를 주는 개입을 실시하는 것, 그리고 절차충실도를 확보하여 개입의 내적 타당도를 증진시키고 사회적 타당도를 평가에 포함하여 중재 대상자들이 경험하는 실제 변화 정도를 효과 분석에 포함하는 것이다. 행동분석은 Skinner (1938)가 체계화한 행동의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operant conditioning theory)에 근거한다. 즉 행동은 행동 뒤에 뒤따른 결과의 영향을 받으며 대부분의 지속되는 행동은 특정한 결과를 얻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 간주하며, 이에 근거하여 인간의 행동 변화를 시도한다. 다시 말해서, 효과적인 행동 개선을 위해서는 겉으로 보이는 행동의 형태(topography)에 초점을 두어 일괄적인 중재를 하기 보다 행동을 유지시키는 결과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에 기반하여 개별적인 개입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한다(Pollack, Staubitz, & Lloyd, 2023; Strohmeier, Schmidt, & Furlow, 2020). 구체적으로, 행동을 촉발하거나 유지시키던 환경적 요인을 변화시키는 동시에 부적응행동과 동일한 기능을 갖고 있으나 사회적으로 수용되는 적절한 대안행동을 지도함으로써 부적응행동에 대한 궁극적인 변화를 시도한다.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유아의 공격행동을 촉발하고 유지시키는 데에 영향을 준 환경을 파악하여 해당 환경에 변화를 주고, 공격행동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적절한 행동을 적극적으로 지도함으로써 공격행동을 근본적으로 감소시키고 추후 재발을 예방하고자 한다.
행동 변화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또다른 모형인 CBC 모형은 Sheridan, Clarke와 Burt (2008)이 개발한 개입 모델로서 아동이 경험하는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에 있어 부모와 교사 간의 일관된 개입과 협력을 중시한다. CBC 모형은 아동을 둘러싼 주요 생태체계 간의 교류, 특별히 부모와 교사 간의 협력 증진에 초점을 두어 아동의 발달을 도모하는 모형으로서 Bronfenbrenner (1986)의 생태체계 이론을 교육 현장에 접목하여 아동의 행동 발달을 위한 부모와 교사 간 협력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관점을 적용하여 치료실 중심으로 진행되었던 기존 개입 프로그램들의 제한점을 보완하고 유아의 가장 중요한 환경인 가정과 기관에서 일관된 개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적용된다. 실제로 여러 사례연구들을 통해 해당 모형의 적용이 아동의 학업 능력, 주의집중 능력, 사회적 기술 등의 증진에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Bellinger, Lee, Jamison, & Reese, 2016; Garbacz, McIntyre, Stormshak, & Kosty, 2020; Garbacz, Sheridan, Koziol, Kwon, & Holmes, 2015). 그러나, 이 모형은 개입의 대상과 목표행동이 구체적으로 특정되지 않은 하나의 이론적 모형이며, 특정한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부모와 교사에게 회기 별로 훈련해야 하는 내용이 구체화된 개입 프로그램은 아니다. 이 모형이 구체적인 개입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면 유아의 일상적 맥락에서 부모와 교사의 상호협력을 기반으로 한 일관적인 개입이 가능해질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공격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기능중심 접근과 CBC 모형을 적용하여 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공격행동에 대한 대처방안을 훈련시키는 이중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해당 프로그램이 가정과 기관에서 발생하는 유아의 공격행동을 감소시키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부모와 교사 모두를 훈련의 대상으로 삼아 유아의 공격행동에 대한 대처 역량을 증진시키고 부모와 교사의 일관된 개입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기존 부모훈련 혹은 교사교육 프로그램과 차별화되는 특성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개별화된 기능중심 접근을 유아의 공격행동 감소를 위한 부모・교사 훈련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한다는 점에서도 임상적 의의를 지닐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의 공격행동 감소를 위한 부모-교사 이중개입 프로그램의 목표, 내용, 실시 방법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유아의 공격행동 감소를 위한 부모-교사 이중개입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2-1. 본 프로그램의 절차충실도는 어떠한가?
2-2. 본 프로그램은 가정과 기관에서 보고되는 유아의 공격행동 수준을 감소시키는가?
2-3. 본 프로그램에 대한 사회적 타당도는 어떠한가?

Methods

유아의 공격행동 감소를 위한 부모-교사 이중 개입 프로그램 개발

본 프로그램의 개발 단계는 총 네 단계로 이루어졌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유아의 공격행동 감소를 위한 선행 프로그램을 고찰한 후, 개입내용의 기초가 되는 주요 이론적 근거를 설정하였다. 이 단계에서 반복되는 공격행동의 원인을 설명할 수 있는 행동분석 이론, 부모와 교사 모두의 일관된 중재를 강조한 CBC 모형을 개입 내용의 근거로 선정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의 주요 단계, 회기별 목표와 주제, 내용을 계획하여 프로그램을 구체화하였고, 부모와 교사의 지속적인 참여 가능성을 고려한 진행 방법을 구성하였다. 우선 CBC 모형에 근거하여 프로그램의 단계를 ‘사전면담’, ‘문제행동 식별’, ‘문제행동 분석’, ‘개입 시행’, ‘평가’의 5단계로 구분하였으며, 행동분석 접근에서 문제행동에 대한 중재를 시행할 때 실시하는 절차인 표적행동 정의, 행동의 기능평가, 그리고 기능에 근거하여 문제행동을 유발하는 선행사건과 결과를 변화시키는 개입 방안들(Cooper, Heron, & Heward, 2007)이 위의 5단계 중 어떤 것에 속하는지 분류하여 단계 별 내용을 구성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두 번째 단계에서 구상한 내용을 회기 별로 구체화한 매뉴얼을 작성하였고, 이를 기초로 공격행동을 보이는 만 5세 유아의 부모와 교사 1쌍을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예비연구 참여자의 피드백을 반영한 최종 매뉴얼을 작성하였다.

유아의 공격행동 감소를 위한 부모-교사 이중개입 프로그램 효과 검증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부모-교사 이중개입 프로그램이 만 3-5세 유아의 공격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전・사후・추후 통제집단 설계모형을 적용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의 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유아의 공격행동 수준을 측정하는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검사 이후 실험집단 유아의 부모와 교사들을 대상으로 부모-교사 이중개입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 유아의 부모와 교사들을 대상으로는 어떠한 개입도 제공되지 않았다. 중재 이후에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의 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사전검사와 동일한 내용으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종료 시점으로부터 3주 후 개입 효과의 지속성을 확인하고자 실험집단 유아의 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

본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유아들 중 공격행동을 보이는 만 3-5세 유아 10명(남아 5명, 여아 5명)이다. 연구대상의 선별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유아행동평가 척도-부모용(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1.5-5 [K-CBCL]) 공격행동 하위척도 점수가 65T 이상으로 준임상 이상인 유아, 2) 유아행동평가 척도-교사용(Caregiver-Teacher Report Form [C-TRF]) 공격행동 하위척도 점수가 65T 이상으로 준임상 이상인 유아, 3) 부모와 교사 모두 심각성과 지속성의 측면에서 공격행동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에 동의한 유아, 4) 연구 참여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동의를 얻은 유아이다. 선별기준에 해당하지만 공격행동과 관련된 문제로 이미 전문기관에서 상담서비스를 받고 있거나 발달상이나 심리적인 장애가 있는 유아는 제외하였다. 최종 선정된 10명 유아들을 대상으로 K-CBCL과 C-TRF의 공격행동 원점수 합산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배합하여 실험집단(남아 2명, 여아 3명)과 통제집단(남아 3명, 여아 2명)에 각각 5명씩 무선할당하였다.

연구도구

유아의 공격행동

부모, 교사의 유아 공격행동 평정 연구대상의 선정과 프로그램의 효과 측정을 위해 부모와 교사가 각각 유아의 공격행동을 평정하게 하였다. 부모가 보고한 유아의 공격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Achenbach와 Rescorla (2000)가 개발한 유아 행동평가척도(Child Behavior Checklist 1.5-5)를 Oh와 Kim (2009)이 번안 후 표준화한 한국판 유아행동평가척도 부모용(K-CBCL 1.5-5)의 문제행동 증후군 하위 유형인 공격행동 척도를 사용하였다. 해당 척도는 19개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 연구에서 산출한 Cronbach’s ⍺는 .70이었다. 교사가 보고한 유아의 공격행동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Y.-A. Kim, Lee, Kim, Kim과 Oh (2011)이 번안 후 표준화한 한국판 유아행동평가척도 교사용(C-TRF)의 공격행동 하위척도를 사용하였다. 해당 척도는 25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산출된 Cronbach’s ⍺는 .72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두 척도의 원점수 총점을 사용하였다. 이는 문제행동 증후군 하위척도 점수의 경우, 50 백분위 미만은 모두 T점수 50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통계분석을 사용해야 하는 연구의 경우 T점수가 아닌 원점수를 활용할 것을 권고한 원 저자의 제안(Achenbach & Rescorla, 2000)을 근거로 한 것이다.
유아 공격행동 빈도 관찰 유아 공격행동의 빈도 관찰은 실험집단은 3회(사전, 사후, 추후), 통제집단은 2회(사전, 사후) 실시되었다. 공격행동 빈도 관찰은 다음과 같은 절차로 이루어졌다. 먼저, 부모・교사와의 면담을 바탕으로 각 유아의 공격행동이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시간대와 상황을 확인한 후, 부모와 교사가 각각 가정과 기관에서 관찰을 실시 할 시간과 상황을 결정하였다. 이어서 부모와 교사로 하여금 각각 가정과 기관에서 앞서 결정한 장면을 4일 동안 30분씩 총 120분 동안 관찰하도록 하였고 해당 장면에서 유아가 표적행동을 보이는 빈도를 측정한 후 연구자에게 문자메시지로 전송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를 위한 빈도관찰은 1회기와 2회기 사이, 사후검사를 위한 빈도관찰은 8회기 주간에 이루어졌다. 또한 개입이 종료된 지 3주 후에 실험집단의 추후 검사를 위한 관찰이 이루어졌다. 공격행동 빈도는 유아 공격행동의 개인 내 변화 추이를 분석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였다.

절차충실도

훈련 회기 절차충실도(training delivery) 연구자가 훈련을 정확히 실시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해 훈련 매 회기에서 요구되는 항목으로 문항이 구성된 절차충실도 체크리스트로 훈련 회기의 절차충실도를 측정하였다. 절차충실도 체크리스트는 Bywater, Gridley, Berry, Blower와 Tobin (2019)이 부모용 훈련 프로그램의 절차충실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한 부모훈련 프로그램 실행 체크리스트(Parent Program Implementation Checklist [PPIC])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해당 척도는 절차 준수(adherence), 프로그램 진행의 질(quality of program delivery), 참여자 반응성(participant responsiveness)의 세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하위 요인 별로 각각 8개 문항(1번~8번), 7개 문항(9번~15번), 3개 문항(16번~18번)으로 총 18개 문항으로 이루어져있다. 평정자는 문항의 내용이 회기에 반영되어 있는 정도를 관찰하여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다의 5점 Likert 척도로 평정하도록 되어 있다. 절차충실도는 획득 점수를 획득 가능한 최대 점수로 나눈 후 100을 곱한 백분율[(획득 점수/획득 가능 최대 점수(90점)) x 100 (%)]로 산출한다. 80% 이상의 경우 충실도가 양호하다고 볼 수 있다(Bywater et al., 2022). 절차충실도 평가는 자기보고와 타인 평정을 모두 포함하였다. 자기보고의 경우 매 회기가 끝난 후 훈련을 진행한 연구자가 체크리스트에 스스로 평정하였으며, 타인평정의 경우 본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을 들은 상담전공 아동가족학 박사 1인이 전체 회기 중 20%에 해당하는 회기를 무선 추출하여 비디오 녹화본을 보고 평정하였다.
부모, 교사의 중재행동 절차충실도(treatment delivery) 부모와 교사가 행동기술훈련 이후 실제 중재행동을 정확하게 실시했는지를 측정하기 위해 해당 회기 이후 이후 부모・교사가 중재를 실시하는 장면을 2일간 30분씩 관찰하여 절차충실도를 측정하였다. 부모의 경우에는 부모가 가정에서 유아를 대상으로 중재행동을 실시하는 장면을 촬영하여 연구자에게 제출하였고, 교사의 경우에는 동영상 촬영에 대한 보호자의 동의를 획득한 1개 기관만 위의 방법대로 동영상 촬영과 관찰이 이루어졌으며, 나머지 기관은 연구자가 직접 기관을 방문하여 2일간 30분씩 교사가 유아를 대상으로 지도를 하는 장면을 관찰하고 절차충실도를 측정하였다. 중재행동 절차충실도 체크리스트 문항은 회기 내용에 따라 맞춤 구성되었으며, 연구자와 본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을 듣고 관찰자 훈련을 완료한 상담 전공 아동가족학 석사 1인이 비디오를 관찰한 후 각각 독립적으로 평정하였다. 평정자는 문항의 내용이 부모・교사의 중재 장면에서 관찰되었을 경우 예로, 관찰되지 않았을 경우 아니오로 평정하였다. 절차 충실도는 전체 문항 수 중 예로 응답한 문항의 수를 백분율 [(예로 응답한 문항 수 ÷ 전체 문항 수) x 100 (%)]로 계산하여 산출하였다. 연구자와 관찰자가 평정한 중재행동 절차충실도의 합산 평균값이 80% 이상 연속 2일 보고될 때 해당 내용의 훈련을 마무리하였고, 준거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한 후 차주에 재평가하였다.

사회적 타당도

사회적 타당도란 프로그램의 목표와 절차, 내용이 적절하며 결과가 중재 대상자들의 실제 생활에 의미있는 변화를 가져왔는지, 시간과 비용을 고려하였을 때 수용 가능한 중재인지 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서 중재 대상 혹은 대상의 중요한 타인들이 실시한 주관적 평가로 측정한다(Dunst & Hamby, 2017; Foster & Mash, 1999). 본 연구에서는 Foster와 Mash (1999), Rapoff (2010)가 사회적 타당도의 구성 내용으로 제안한 프로그램 목표의 중요성, 절차와 방법의 적절성, 결과의 효과성에 해당되는 문항으로 사회적 타당도 척도를 제작한 후, 실험집단의 부모와 교사 총 1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이후 사회적 타당도를 평정하게 하였다. 사회적 타당도의 평가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의 5점까지의 리커트(Likert) 척도 형식으로 평정하도록 하였다. 설문 마지막 항목에는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소감과 제언 등 자유로운 의견을 적도록 하여 프로그램 만족도 수준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질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산출된 내적합치도 Cronbach’s ⍺는 .84였다.

연구절차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은 연구대상 선정과 배정 및 사전검사, 프로그램 실시, 사후검사, 추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로, 최종 연구대상 유아 10명의 K-CBCL, C-TRF 공격행동 척도의 원점수 합산이 높은 순으로 배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5명씩 무선할당하였다. 대상선정을 위해 사용한 K-CBCL, C-TRF 공격행동 점수는 본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한 사전검사 측정치로도 사용되었다. 이는 대상선정 시기와 프로그램 이전 사전검사 실시 시기가 1주 간격밖에 되지 않아 동일한 검사를 짧은 시일 안에 반복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학습효과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두 번째로, 사전검사가 완료된 이후 8주 동안 실험집단 유아의 부모와 교사에게는 일주일에 1회기씩(회기당 약 50분) 총 8회기의 부모-교사 이중개입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 유아의 부모와 교사에게는 어떠한 처치도 시행하지 않았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할 때, 프로그램의 진행이 계획대로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리고 부모와 교사가 유아를 대상으로 개입을 정확하게 실시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절차충실도 검증이 이루어졌다. 세 번째로, 8주간의 개입 프로그램이 종료된 이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부모와 교사들은 사전검사와 동일하게 K-CBCL과 C-TRF 공격행동 하위척도에 응답하는 방법으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종료 3주 후 실험집단의 부모와 교사들만을 대상으로 K-CBCL과 C-TRF 공격행동 하위척도에 응답하게 하는 추후검사를 진행하였다. 또한 통제집단의 부모나 교사가 프로그램 참여를 원한 경우에는 통제집단의 사후검사가 종료된 이후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부모-교사 이중개입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격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SPSS 28.0 (IBM Co., Armonk, NY)을 사용하여 비모수 검정을 실시하였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해 Mann-Whitney U 검증을 실시하여 K-CBCL, C-TRF 공격행동 점수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내에서 K-CBCL, C-TRF 공격행동 점수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점수에 대해 Wilcoxon signed-rank 검증을 실시하였다. 셋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공격행동 점수의 사후 점수에서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Mann-Whitney U 검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에도 유아 공격행동 변화의 효과가 지속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험집단 유아들의 공격행동 점수에 대한 사전-추후 차이 점수에 대한 Wilcoxon signed-rank 검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분석 이외에도 실험집단 유아들의 공격행동이 프로그램 실시 이후 어떠한 양상으로 변화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개별 유아들이 가정과 기관에서 보인 빈도의 추이를 그래프로 시각화하였으며, 행동 변화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부모와 교사의 보고를 바탕으로 질적 분석하였다.

Results

유아의 공격행동 감소를 위한 부모-교사 이중개입 프로그램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CBC 모형에 기반한 기능중심의 부모-교사 이중개입 프로그램은 크게 사전면담, 문제행동 식별, 문제행동 분석, 개입 시행, 평가의 5단계로 이루어졌으며, 총 8회기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회기 별로 부모 혹은 교사와의 개별 면담이 필요한 주제와 공통적인 논의가 필요한 주제를 구분한 후, 개별 면담하는 회기, 부모와 교사를 함께 면담하는 회기로 구성하였다. 사전면담 단계에서는 부모와 교사에게 개별적으로 프로그램의 목표와 진행방법 등을 안내하고, 부모와 교사의 지속적인 참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참여의 방해요인을 파악한 후 이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유아가 보이는 공격행동의 빈도와 강도, 발생시간에 대한 관찰 과제를 안내하였다. 문제행동 식별 단계에서는 개입의 목표가 될 표적행동(target behavior)을 결정하고 조작적 정의를 내린 후, 행동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문제행동 분석 단계에서는 개별 유아의 공격행동에 대한 기능평가를 시행하여 기능을 분석하였다. 기능평가는 연구자가 유아가 재원하는 어린이집에 방문하여 빈 교실에서 실용적 기능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이어서 부모와 교사에게 유아가 보이는 공격행동의 기능을 설명한 후 기능에 기반한 개입 방향을 개괄적으로 안내하였다. 개입 시행 단계에서는 공격행동을 유발하는 선행사건에 개입하는 방법, 공격행동을 유지시키는 결과에 개입하는 방법을 부모와 교사에게 개별적으로 훈련하였다. 선행사건에 개입하는 방법으로는 그 동안 유아의 공격행동을 촉발했던 요인을 제거하거나 변화시키는 방법(예: 행동 지시를 효과적으로 하기, 하기 싫어하는 활동에 흥미로운 요인 추가하기 등), 그리고 공격행동과 동일한 기능을 하나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한 적절한 대안행동을 알려주고 일상에서 이를 촉구할 수 있는 전략을 훈련하였다. 이어서 그 동안 유아가 공격행동을 강화해 온 결과(예: 관심, 원하는 놀잇감이나 활동, 원치 않는 활동에 대한 회피 등)를 더 이상 공격행동 후 제공하지 않는 원칙을 일관되게 적용하게 하는 한편 대안행동 후에는 유아에게 즉각적인 강화를 제공하는 전략을 결과에 대한 개입으로 훈련하였다. 이와 같은 훈련은 행동기술훈련 절차에 따라 연구자의 설명과 시연, 그리고 참여자의 롤플레이와 이에 대한 구체적인 피드백으로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평가 단계에서는 유아 공격행동의 변화를 부모・교사가 평정한 점수 수준과 빈도의 추이를 통해 확인하였다. 각 단계의 회기별 주제, 목표, 주요 내용에 대한 요약은 Table 1에 제시된 바와 같다.

유아의 공격행동 감소를 위한 부모-교사 이중개입 프로그램 효과 검증

프로그램의 절차충실도 평가

프로그램의 절차충실도는 ‘훈련 회기 절차충실도’와 ‘개입행동 절차충실도’의 두 요인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훈련 회기 절차충실도 중 두 명의 진행자가 스스로를 평가한 자기 보고 절차충실도의 평균은 82.6%로 나타났으며, 타인 평정 절차 충실도의 평균은 91.1%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훈련회기 절차충실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척도의 원저자는 80% 이상의 절차충실도는 양호한 수준임을 제안하였으므로(Bywater et al., 2019), 본 프로그램의 훈련 회기는 절차충실도의 양호도가 확보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어서 부모와 교사의 개입행동이 훈련받은 대로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 알아보기 위해 개입 행동의 절차충실도를 측정한 결과는 Table 2에 제시하였다. 이 측정치는 연구자가 제시한 개입 전략들을 부모와 교사가 얼마나 정확하게 실행했는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연구자와 제2관찰자가 부모와 교사의 중재행동을 3일 간 관찰한 후 평정한 점수((개입을 정확하게 실시하여 예로 응답한 문항 수 ÷ 전체 문항 수) x 100 (%))를 평균으로 환산한 값이다.

프로그램의 효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전동질성 검증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공격적 행동 점수에 대한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Mann-Whitney U 검증을 실시하였다. 부모와 교사가 보고한 유아의 공격행동 사전 검사 비교에서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동질한 집단임을 확인하였다(Table 3).

집단 내 사전-사후검사 비교

실험집단 유아들의 경우, 부모와 교사가 보고한 공격행동에서 프로그램 실시 전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구체적으로, 부모가 보고한 공격행동 점수는 사전 21.80점, 사후 5.40점으로 큰 점수차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Z = -2.032, p < .05), 5명 모두 공격행동의 감소가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교사가 보고한 유아 공격행동의 점수는 사전 34.20점, 사후 8.60점으로, 큰 점수차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Z = -2.023, p < .05), 5명 모두에게서 공격행동의 감소가 보고되었다. 반면, 통제집단 유아들의 공격행동을 부모 보고와 교사 보고 모두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집단 간 사후 검사 비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후 검사를 비교한 결과 부모와 교사가 보고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의 공격행동 사후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5). 부모가 보고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의 공격행동 사후 점수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통제집단이 실험집단보다 공격행동 점수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Z = -2.653, p < .01). 교사가 보고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의 공격행동 사후 점수 역시 통제집단이 실험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Z = -2.619, p < .01).

실험집단의 사전-추후 검사 비교

프로그램이 종료된 이후에도 유아 공격행동이 감소된 효과가 유지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사전-추후 검사의 점수를 비교한 결과는 Table 6에 제시한 바와 같다. 부모가 보고한 공격행동 점수는 사전 21.80점, 추후 4.60점으로 큰 점수차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Z = -2.032, p < .05), 교사가 보고한 유아 공격행동의 점수 역시 사전 34.20점, 추후 7.60점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Z = -2.023, p < .05). 주목할 만한 점은 부모 보고와 교사 보고 모두에서 사후 검사보다 추후 검사에서 더 낮은 공격행동 점수가 보고된 것으로, 이에 대해 논의에서 서술하였다.

실험집단 유아의 공격행동 빈도 추이 및 행동양상 변화 분석

유아 공격행동의 수준에서 프로그램 실시 전후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통계적 분석뿐 아니라, 각 유아의 표적행동 변화 추이를 살펴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그리고 실험집단의 추후검사 시 부모와 교사가 측정한 표적행동의 발생 빈도를 그래프로 시각화하였다. 표적행동의 빈도는 가정과 기관에서 유아의 해당 행동이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상황을 연구자와 논의하여 결정한 후, 부모와 교사가 각각 30분씩 4일간 관찰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이 가정과 기관에서 보인 표적 행동 빈도의 사전-사후-추후 측정치 그래프는 Table 7에 제시하였으며, 통제집단 유아들의 사전-사후 측정치 그래프는 Table 8에 제시하였다.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험집단 유아들의 표적행동은 사전 검사 시에 비해 사후 검사와 추후 검사 시 표적행동의 빈도의 수준이 공통적으로 감소하며, 빈도의 편차가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한편, 통제집단 유아들의 경우에는 표적행동의 빈도 추이에서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Discussion

본 연구는 유아의 공격행동 감소를 위해 CBC 모형에 기반한 기능중심의 부모-교사 이중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공격행동을 보이는 만 3-5세 유아의 부모와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한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사전-사후-추후 통제집단 설계모형을 적용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격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공격행동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핵심적 이론으로 행동분석과 CBC 모형을 선정하여 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각 유아의 발달적 특성과 환경적 요인에 근거한 맞춤형 개입방안을 훈련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와 내용이 선행 프로그램들과 어떤 차별점을 지니며, 선행 프로그램의 기여점을 어떻게 보완하고 확장하는지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은 유아의 가정과 교육기관에서 부모와 교사가 유아의 공격행동에 대한 예방적 환경을 조성하고 행동 발생 시 적절한 대처를 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다. 임상 장면에서 이루어지는 전문 치료사의 개입 프로그램은 공격행동을 보이는 유아가 갖고 있는 자기인식과 자아존중감, 기본적인 정서 상태를 변화시킨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지만(Kwon, 2013), 해당 변화가 실제 유아가 생활하는 환경으로까지 이어지게 하는 데에 더 많은 노력이 요구된다는 점에서는 보완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가정과 기관에서 부모와 교사의 대처전략을 통해 유아가 공격행동 후 경험해 온 결과를 직접적으로 변화시킨다는 점에서 기존 프로그램과 차별점을 가지며, 변화의 효과가 유아의 실제 일상적 맥락에서 나타난다는 점이 강점이다. 따라서 치료사와의 특수적 관계를 기반으로 한 임상적 접근, 그리고 가정과 기관에서의 직접적인 중재를 통해 실제 맥락에서의 행동 개선을 이끌어내는 본 프로그램의 접근이 향후 결합된다면, 각 접근의 제한점을 보완하고 강점을 극대화시키는 중재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임상장면에서의 전문적 개입과 유아의 일상적 환경에서의 중재가 연결되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임상가가 유아를 대상으로 한 중재를 계획하고 실행할 때 유아의 부모와 교사를 적극적으로 포함시키는 전략이 그러한 방안의 한 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부모와 교사를 유아에 대한 정보 제공자로서 보는 관점을 넘어서서 유아의 일상 내에서 중재를 실행하는 주요한 협력자로 보는 관점이 요구된다(Feinstein, Fielding, Udvari-Solner, & Joshi, 2009).
둘째, 본 프로그램에서는 유아의 공격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계획함에 있어 유아의 발달적 특성과 강점, 흥미, 유아의 행동을 촉발하거나 유지시키는 환경적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맞춤형 중재를 계획하였다. 이는 공격행동에 대한 예측요인을 기반으로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주제별 매뉴얼을 제시한 기존 프로그램들(Kang & Hong, 2013; Romero-Lopez, Pichardo, Justicia-Arraez, & Bembibre-Serrano, 2021)과는 다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공격행동과 관련된 요인들에 대한 개입을 실시한 선행 프로그램들은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가진 공격행동을 보이는 유아들에게 일괄적으로 적용 가능한 내용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효율적이다. 따라서 시간과 자원의 제한 등으로 인해 여러 유아들을 대상으로 동시에 개입을 해야 할 때, 특히 교육기관 등 집단 환경 내에서 중재가 이루어져야 하는 상황에서 핵심적인 예측 요인을 다루는 선행 프로그램들이 다수 개발되고 실행되어 왔다(Stefan, Dănilă, & Cristescu, 2022). 한편 개별화된 접근은 그 동안 임상 현장에서 주로 실시되었는데, 이는 맞춤형 전략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공격행동의 원인에 대한 분석이 보다 개별적이고 전문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개개인을 대상으로 한 집중적인 중재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참여자들의 특징에 맞는 맞춤화된 전략을 중재 프로그램 내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보고되어 왔다(Nuhu, Muething, Gillespie, Mevers, & Scheithauer, 2024). 본 프로그램은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유아의 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유아 행동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수집하고, 전문가가 유아가 재원하는 기관에 방문하여 기능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그 동안 임상 현장에서 1:1로 적용되던 맞춤형 중재를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하였다. 이는 주요 주제와 형식이 구조화된 프로그램을 통해서도 개별화된 접근을 제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공격행동을 유지시키는 환경적 요인이 무엇인지, 즉 공격행동의 기능이 무엇인지 분석하여 해당 기능을 기반으로 공격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전략을 부모와 교사에게 훈련하였다. 기능중심 접근은 장애 여부와 상관없이 유아의 공격행동 예방과 감소에 효과적인 접근법으로 보고된다. 이에 따라 국외에서는 기능중심 접근을 통해 가정이나 기관에서 발생하는 비장애 유아의 문제행동을 개선한 연구가 진행되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Mahon, Gunning, Holloway, & Lydon, 2020), 국내에서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검증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최근 교육기관에서 발생하는 문제행동이 사회적 이슈가 됨에 따라 행동중재 전문가가 기능중심의 접근을 해야 한다는 현장의 요구들이 높아지게 되었고(Lee, 2016) 기능중심의 중재가 비장애 유아・아동의 문제행동을 대상으로도 점차 확장되고 있는 상황이다(Y. K. Kim, Oh, Lee, & Park, 2024; Park, Kim, Lee, & Oh, 2019). 이러한 점에서 비장애 유아의 공격행동 개선을 위한 기능중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한 본 연구의 시도는 그 동안 장애유아의 문제행동 중재를 위해 적용되던 행동분석적 접근의 적용 대상을 확장한다는 학문적 의미를 지닐 뿐 아니라, 현장의 필요성을 반영한 시의적절한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임상적 유용성을 지닌다.
다음으로 연구문제 2와 관련하여 유아 공격행동 감소를 위한 부모-교사 이중개입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를 논의하자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2-1과 관련하여 부모-교사 이중개입 프로그램의 절차충실도를 확인하기 위해 ‘훈련 회기 동안의 절차충실도’를 측정한 결과, 프로그램 진행자들은 사전에 계획된 내용대로 정확하게 훈련을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실험집단의 부모와 교사가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한 개입행동이 훈련받은 대로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 알아보기 위해 ‘개입 행동의 절차충실도’를 측정한 결과 충실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와 교사가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한 개입행동이 훈련받은 내용대로 정확하게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하며, 부모와 교사가 중재 행동을 정확하게 실시한 것이 확인된 후에야 훈련 회기를 종결하였다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본 연구결과는 부모 혹은 교사를 매개로 중재가 이루어지는 훈련 프로그램들의 효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개입행동에 대한 구체적인 관찰과 피드백, 그리고 절차충실도의 평가가 핵심적인 요인이라는 점을 실제 적용을 통해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행동 개선의 효과가 본 프로그램으로 인한 것이라는 근거를 제시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의 주요 요소 중 하나로 체계적인 평가를 포함시켰다는 의미를 지닌다.
연구문제 2-2와 관련하여 부모-교사 이중개입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격행동 감소 수준을 감소시켰는지 확인한 결과. 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집단 유아의 부모와 교사가 보고한 점수는 실시 이후에 큰 폭의 감소를 보였다. 원점수의 변화 뿐 아니라 공격행동이 임상/준임상 집단에 속하는지 혹은 정상집단에 속하는지 여부에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T점수의 변화를 확인하였는데, 프로그램 실시 이전 부모와 교사는 모두 유아의 공격행동 수준이 준임상 수준(65T 이상 70T 미만)이라 보고하였으나 실시 이후에는 5명의 부모와 4명의 교사가 유아의 공격행동이 정상 수준이라 보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 유아가 가정과 기관에서 보인 공격행동의 감소는 통계적 분석 뿐 아니라 부모와 교사가 측정한 표적행동의 빈도 추이, 그리고 유아의 행동 변화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보고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Table 7에서 알 수 있듯이 개입 프로그램의 목표로 설정한 실험집단 유아의 표적행동 빈도는 프로그램 실시 이전에 비해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통제집단의 경우 명확한 감소 경향성이 나타나지 않았다(Table 8). 또한 부모, 교사와의 면담 결과 실험집단 유아들이 보인 공격행동은 프로그램 실시 후 줄어들거나 관찰되지 않았고, 공격행동 대신에 할 수 있는 대안행동이 증진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공격행동의 빈도 추이와 실제 보고된 행동에서의 변화는 본 프로그램의 효과가 K-CBCL과 C-TRF라는 표준화된 척도의 점수에서뿐 아니라 부모와 교사가 관찰한 구체적인 표적행동의 감소로도 나타남을 보여줌으로써 본 프로그램으로 인해 유아 행동의 실제적인 변화가 발생했음을 뒷받침한다.
이처럼 부모-교사 이중개입 프로그램이 유아의 행동에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었던 요인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가 보이는 공격행동의 원인을 막연히 추측하는 대신 개별적 기능분석을 실시하고 이에 기반한 맞춤형 전략을 제시한 개별화된 기능중심의 중재가 공격행동 감소의 주요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이는 공격행동 감소에 대한 행동분석 접근의 효과성을 검증한 선행 프로그램들(Saini, Greer, & Fisher; 2015; Salzinger, 2014), 그리고 개별화된 접근의 중요성을 강조한 선행 연구(Lei, Nahum-Shani, Lynch, Oslin, & Murphy, 2012)의 보고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개별화된 맞춤형 전략을 부모와 교사에게 구체적으로 훈련하는 본 프로그램을 통해 부모와 교사는 유아의 공격행동을 촉발하고 유지시키는 환경이 무엇인지, 즉 해당 유아의 공격행동이 왜 발생하고 유지되는지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유아 공격행동의 기능과 발달 수준, 가정과 기관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전략으로 공격 행동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이 가능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문제행동이 어떤 이유에서 발생하고 유지되는지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지속적인 중재 행동을 적용할 수 있게 하는 핵심적인 요인(Marleau, Lanovaz, Gendron, Higbee, & Morin, 2019)이라는 점에서, 개별적 기능분석과 이에 대한 안내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가져온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보인다. 실제로 5명의 부모와 교사가 유아의 공격행동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었다는 점을 본 프로그램에 만족하는 요인이라고 보고하였다. 뿐만 아니라, 모든 유아에게 적용 가능한 일괄적인 해결책이 아닌 유아 공격행동의 기능과 유아의 발달수준, 가정과 기관의 환경 특성 등을 고려한 맞춤형 전략을 제공한 것에 대한 만족도 역시 크게 나타났다.
둘째, 본 프로그램에서 부모와 교사의 절차충실도를 확보하기 위해 이들의 개입행동을 연구자가 직접 관찰한 후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한 것이 전략의 적용 용이성을 증진시키고 정확도를 높인 것으로 보이며 이는 곧 유아의 공격행동을 감소시키는 핵심적인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결과는 부모훈련 프로그램에 있어 부모가 정확한 수행을 반복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실제 상황에서 이를 적용하는 것을 관찰하며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 선행연구자들의 보고(Ryan, Brady, Holloway, & Lydon, 2019; Shin, Park, & Lee, 2021)와 일치한다. 실제로, 실험집단 부모 중 2명과 교사 1명은 연구자의 관찰 결과 절차충실도가 양호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어 추가 회기를 통해 구체적인 피드백을 받은 후 수행의 정확도를 증진시켰다. 이와 같은 변화는 적절하고 충분한 훈련이 이루어진다면 부모와 교사가 문제행동 개입을 위한 협력자로서의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훈련 과정에서 개별적인 코칭과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수행의 정확도를 높이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부모-교사 이중개입 프로그램은 유아의 가장 중요한 환경인 가정과 기관에서 일관된 개입이 이루어지도록 부모와 교사 모두를 대상으로 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특징은 유아의 주요 체계 간 일관성을 가능하게 하였다는 점에서 행동 변화를 극대화한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부모와 교사의 동시적인 개입을 강조한 사례연구들(Garbacz et al., 2020; Sheridan, Ryoo, Garbacz, Kunz, & Chumney, 2013; Sheridan et al., 2017)과 맥을 같이 하는 결과이며, 환경 간 일관된 개입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부모-교사 이중개입 프로그램은 유아가 가정과 기관에서 일관된 환경을 경험하여 행동 기준에 대한 명확성과 예측가능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부모와 교사 모두를 대상으로 동일한 중재 전략을 훈련하였으며, 이러한 요인이 가정과 기관 모두에서 유아의 공격행동이 효과적으로 감소하게 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실험집단 부모 중 한 명은 ‘어린이집 선생님과 함께 동일한 방식으로 지도할 수 있었던 점’을, 교사 중 한 명은 ‘유아의 부모님과 문제행동에 대해 진솔하게 소통하고 같은 방향을 취할 수 있게 된 점’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가져온 만족스러운 요인으로 응답하였다.
한편, 부모-교사 이중개입 프로그램의 효과가 종결 이후에도 유지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종결 3주 후 추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 공격행동의 수준이 사후 검사 시점보다 더 감소한 양상을 띤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프로그램의 효과가 개입이 완료된 후에도 유지되었음을 보여준다. 유아의 공격행동 감소 효과가 유지될 수 있었던 요인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부모-교사 이중개입 프로그램은 임상 장면이 아닌 실제 맥락인 가정과 기관에서 중재를 실행함으로써 행동 변화가 일상 장면에 효과적으로 일반화된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병원이나 치료실 등 임상세팅에서 이루어지는 중재 프로그램들은 해당 프로그램의 효과가 유아가 생활하는 일상 장면으로까지 확장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Seale, Gebski, & Keech, 2004). 그러나 본 프로그램은 유아의 부모와 교사가 개입행동의 원리와 방법을 훈련받아 실제 유아가 생활하는 일상에서 공격행동에 대한 효과적 중재를 실시하였으므로, 행동 변화의 일반화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즉,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가 생활하는 가정과 기관에서 공격행동을 예방하는 환경의 조성과 공격행동에 대한 효과적 대응이 이루어지게 되었으므로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유아의 공격행동이 재발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본 프로그램에서 부모와 교사에게 훈련한 기능중심의 중재는 체계적이고 일관된 원리에 근거하므로(Cooper et al., 2007), 부모와 교사가 해당 원리를 이해하여 이를 유아 지도에 있어 지속적이고 일관되게 적용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프로그램 종료 시점에 부모 중 한 명은 프로그램을 통해 훈육의 원리를 이해하고 자신감이 생겨 아이와의 관계가 좋아졌다고 보고하였으며, 교사 중 두 명은 교사로서의 자신감이 증진되었고 프로그램을 통해 배운 원리를 다른 문제행동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응답을 하였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프로그램의 훈련 내용과 방법은 유아 행동지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이해와 효능감을 증진시켜 지속적인 개입을 가능케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곧 프로그램 효과의 유지로 이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연구문제 2-3과 관련하여 부모-교사 이중개입 프로그램의 사회적 타당도를 살펴본 결과, 본 프로그램은 양호한 수준의 사회적 타당도를 지녔으며 부모와 교사가 해당 프로그램의 실제적 효과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경우에는 특히 프로그램의 절차와 방법의 적절성을 묻는 문항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부모 5명 중 3명이 직장에 재직 중이어서 해당 프로그램이 비대면으로 진행된다는 것에 큰 만족도를 보고하였다. 이에 비해 교사 중 일부는 중재행동 평가를 위해 연구자가 주 2회 이상 기관을 방문할 수 있도록 일정을 조율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는 의견을 표하기도 하였으며, 공격행동의 수준이 매우 심각했던 유아의 담임교사의 경우 회기 수가 더 길었으면 좋았겠다는 아쉬움을 표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점이 절차와 방법에 대한 교사의 만족도가 부모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난 원인으로 추측되어 추후 해당 프로그램을 확장하여 적용할 때 연구자의 기관 방문 횟수나 방법, 회기 수에 대한 유연한 적용이 필요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모와 교사 모두 해당 프로그램에 대해 전반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본 개입 프로그램의 지속적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밝히면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부모-교사 이중개입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부모와 교사의 보고에만 근거하여 실행하였고, 유아의 공격행동 변화에 대한 연구자의 직접관찰을 포함하지 못하였다. 연구자가 유아의 공격행동 변화를 정확하게 관찰하기 위해서는 실제 유아의 공격행동이 자주 발생하는 상황에서 가정과 기관을 방문하는 것이 필요하나, 공격행동이 자주 발생하는 상황과 시간대에 맞추어 가정과 기관을 방문하는 것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부모와 교사에게 빈도사건표집법을 안내하고 손계수기를 배부하여 실제 유아가 보이는 공격행동의 변화 추이를 측정하게 하여 효과 검증의 측정치를 다양화하여 한계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추후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직접관찰을 포함하여 정보원을 보다 다양화한다면 효과 검증의 정확도와 타당도가 더욱 증진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내용 중 구체적으로 어떠한 요인이 유아의 공격행동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는지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지는 못하였다. 물론 중재 프로그램은 하나의 패키지로서 행동 변화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Cooper et al., 2007), 본 프로그램 전체의 효과를 검증한 것으로도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부모와 교사의 보고 내용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효과와 만족도를 증진시킨 요인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시행하여 프로그램 요인 별 효과 분석을 시행하지 못한 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추후 연구에서는 요인 별 효과를 파악할 수 있는 설계를 적용한다면, 프로그램 내용 중 어떠한 부분이 공격행동 감소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는지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본 연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유아 수가 각각 5명으로 소수의 연구표본으로 인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다른 유아 집단에 일반화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부모-교사 이중개입 프로그램은 부모와 교사가 모두 유아의 공격행동 수준이 준임상 이상이라 보고한 유아를 대상자로 선정하였기 때문에 대상자 모집에 현실적인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이처럼 소표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할 경우 통계적 검정력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으나, 정상범위를 벗어난 대상에게 개입을 실행하는 실험연구에서는 최소 단위를 5명 이상으로 간주하며, 실제로 아동의 문제행동이나 정신장애를 다룬 국내외 실험연구에서 5명의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한 바 있다(Jeong & Kim, 2023; Perreau-Linck, Lessard, Lévesque, & Beauregard, 2010). 본 연구는 소표본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기 때문에 비모수 검정을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유아 공격행동의 빈도 측정과 부모・교사의 응답에 기초한 내용을 질적 분석하여 유아 행동 변화에 대한 변화를 다각도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추후 연구에서는 충분한 연구대상자를 모집하여 통계적 검정력의 신뢰도를 증진키시는 방향으로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위와 같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가 갖는 주요 의의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본 연구는 공격행동을 보이는 유아의 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기능중심의 개별화된 중재 전략을 훈련하는 부모-교사 이중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프로그램이 유아가 가정과 기관에서 보이는 공격행동의 수준을 낮추는 데에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유아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데에 있어서 유아와 오랜 시간 상호작용하는 성인인 부모와 교사가 서로 협력하여 개입의 중요한 주체로 역할을 할 수 있는 중재 모형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지닌다. 또한 그 동안 주로 장애유아를 대상으로 적용되던 행동분석적 접근과 교육현장에서의 개입에 대한 이론적 틀을 제시한 CBC 모형을 비장애 유아의 공격행동에 실제적으로 적용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접근들의 적용 범위를 확장시키고 그 효과성을 입증하였다는 임상적 의의가 있다.
또 다른 의의는 부모-교사 이중개입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함에 있어 절차충실도와 사회적 타당도의 측정을 포함하여 평가의 타당도를 증진시켰다는 점이다. 절차충실도의 측정은 개입 이후 나타난 유아 행동의 긍정적 변화가 해당 프로그램으로 인한 것임을 강조하며, 사회적 타당도의 측정은 연구 참여자들이 경험한 실제적인 변화와 만족도를 보고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 이 둘을 포함하여 효과성을 검증한 것은 상담 프로그램이 근거 기반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포함해야 할 요인들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Notes

This article is part of the first author’s doctoral thesis submitted in 2024 and was presented at the 2024 Annual Fall Conference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Ethics Statement

All procedures of this research were reviewed by IRB (7001988-202409-HR-2271-08).

Table 1
Stages and Session Topics, Goals, and Key Contents of the Parent-Teacher Dual Intervention Program
Stage Topic Format Session Goal Key content
Pre-consultation Introduce the program and enhanc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 Provide program overview and obtain informed consent
• Identify and discuss barriers to continued participation
• Assign observation task on child’s aggression frequency, intensity, and time of occurrence
Problem identification Define target behavior and collect relevant information Joint participation (Parent & Teacher) 1 Define target behavior and collect diverse behavioral information • Determine and define target behavior
• Review methods previously attempted by parents and teachers and assess effectiveness
• Gather additional information (e.g., developmental status and strengths)
• Provide guidance on frequency observation; assign observation task to both parents and teachers
Problem analysis Functional behavior analysis Individual participation (Parent/Teacher) 2 Conduct functional behavior analysis • Conduct Practical Functional Assessment (PFA)
• Explain the function of the child’s aggressive behavior
Treatment implementation Training on antecedent intervention strategies Individual participation 3 Function-based behavior skills training ①: Intervention on antecedents • Train intervention strategies based on behavior function:
 - Eliminate or alter triggering antecedents
 - Promote alternative behaviors (e.g., using verbal, physical and visual prompts)
• Assign video recording of actual intervention by parent or teacher
Individual participation 4 Evaluate intervention on antecedents • Criterion-based evaluation of parent/teacher intervention scenes
• Self-evaluation and feedback from the researcher
Training on consequence intervention strategies Individual participation 5 Function-based behavior skills training ②: Intervention on consequences • Train intervention strategies based on behavior function:
 - Deliver appropriate consequences for aggressive behaviors
 - Deliver appropriate consequences for alternative behaviors
• Assign video recording of actual intervention by parent or teacher
Individual participation 6 Evaluate intervention on consequences • Criterion-based evaluation of parent/teacher intervention scenes
• Self-evaluation and feedback from the researcher
Evaluation Program effectiveness evaluation Joint participation 7 Evaluate the program and discuss maintenance strategies • Self-evaluation by parents and teachers; overall program evaluation
• Discuss strategies for sustaining intervention behaviors
• Guidance on video recording of post-intervention aggressive behavior
Individual participation 8 Assess child’s aggressive behavior • CBCL & C-TRF rating by parents and teachers
• Conduct frequency observation of aggressive behavior
Individual participation Follow-up Evaluate maintenance of behavior change • CBCL & C-TRF rating by parents and teachers
• Conduct frequency observation of aggressive behavior
Table 2
Treatment Integrity of Intervention Behaviors by Parents and Teachers
Application of antecedent strategies (%)
Application of consequence strategies (%)
Parent-implemented intervention Teacher-implemented intervention Parent-implemented intervention Teacher-implemented intervention
A 83.0 92.0 83.0 92.0
B 100.0 83.0 100.0 83.0
C 83.0 100.0 91.5 100.0
D 85.0 100.0 100.0 100.0
E 100.0 92.5 100.0 100.0
Table 3
Pre-Homogeneity Verification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Variables Group n Pre-test M (SD) Mann-Whitney U test
mean rank rank sum Z p
K-CBCL aggressive behavior test 5 21.80 (6.22) 5.70 28.50 -.213 .841
control 5 21.40 (6.66) 5.30 26.50
C-TRF aggressive behavior test 5 34.20 (5.17) 6.90 34.50 -1.471 .151
control 5 28.40 (9.84) 4.10 20.50
Table 4
Pre-Post Score Difference Within Groups
Variables Group n M (SD)
Wilcoxon signed-rank test
pre-test post-test negative rank positive rank equal rank Z
K-CBCL aggressive behavior test 5 21.80 (6.22) 5.40 (0.55) 5 0 0 -2.032*
control 5 21.40 (6.66) 21.80 (5.54) 3 2 0 -.272
C-TRF aggressive behavior test 5 34.20 (5.17) 8.60 (3.78) 5 0 0 -2.023*
control 5 28.40 (9.84) 25.60 (4.62) 2 2 1 -.730

* p < .05.

Table 5
Post-Score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Variables Group n Pre-test M (SD) Mann-Whitney U test
mean rank rank sum Z p
K-CBCL aggressive behavior test 5 5.40 (0.55) 3.00 15.00 -2.653** .008
control 5 21.80 (5.54) 8.00 40.00 -2.619** .008
C-TRF aggressive behavior test 5 8.60 (3.78) 3.00 15.00
control 5 25.60 (4.62) 8.00 40.00

** p < .01.

Table 6
Pre-Follow up Score Difference Within Experimental Group
Variables Group
n
pre-test follow up-test negative rank positive rank equal rank Z
K-CBCL aggressive behavior 21.80 (6.22) 4.60 (2.51) 5 0 0 -2.032*
C-TRF aggressive behavior 34.20 (5.17) 7.60 (6.84) 5 0 0 -2.023*

* p < .05.

Table 7.
Trends in Target Behavior Frequency in the Experimental Group: Pre-, Post-, and Follow-up Test
kjcs-46-2-71i1.jpg
Table 8.
Trends in Target Behavior Frequency in the Control Group: Pre-, Post- Test
kjcs-46-2-71i2.jpg

References

Achenbach, T. M., Rescorla, L. (2000). Manual for the ASEBA preschool forms and profiles.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Research Center for Children, Youth, & Families.

Baillargeon, R. H., Zoccolillo, M., Keenan, K., Côté, S., Pérusse, D., Wu, H. X., ..., & Tremblay, R. E. (2007). Gender differences in physical aggression: A prospective population-based survey of children before and after 2 years of age. Developmental Psychology, 43(1), 13.
crossref pmid
Bellinger, S. A., Lee, S. W., Jamison, T. R., & Reese, R. M. (2016). Conjoint behavioral consultation: Community–school collaboration and behavioral out comes using multiple baseline. Journal of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Consultation, 26(2), 139-165 doi: 10.1080/10474412.2015.1089405.
crossref
Berkowitz, L. (1989). Frustration-aggression hypothesis: Examination and reformul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06(1), 59-73 doi:10.1037/0033-2909.106.1.59.
crossref pmid
Bronfenbrenner, U. (1986). Ecology of the family as a context for human development: Research perspectives. Developmental Psychology, 22(6), 723-742 doi:10.1037/0012-1649.22.6.723.
crossref
Bywater, T., Gridley, N., Berry, V., Blower, S., & Tobin, K. (2019). The parent programme implementation checklist (PPIC):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objective measure of skills and fidelity for the delivery of parent programmes. Child Care in Practice, 25(3), 281-309 doi:10.1080/13575279.2017.1414031.
crossref
Cooper, J. O., Heron, T. E., Heward, W. L. (2007). Applied behavior analysis.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Crick, N. R., & Grotpeter, J. K. (1995). Relational aggression, gender and social-psychologica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6(3), 710-722.
crossref pmid
Day, A., Howells, K., Mohr, P., Schall, E., & Gerace, A. (2008). The development of CBT programmes for anger: The role of interventions to promote perspective-taking skills. Behavioural and Cognitive Psychotherapy, 36(3), 299-312 doi:10.1017/S135246580800430X.
crossref
Dunst, C., & Hamby, D. (2017). Predictors of the social validity judgments of early childhood intervention performance checklists and practice guide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and Educational Studies, 4(1), 13-20 doi:10.17220/ijpes.2017.01.002.
crossref
Feil, E. G., Frey, A., Walker, H. M., Small, J. W., Seeley, J. R., Golly, A., & Forness, S. R. (2014). The efficacy of a home-school intervention for preschoolers with challenging behavio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Preschool First Step to Success.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36(3), 151-170 doi:10.1177/1053815114566090.
crossref pmid pmc pdf
Feinstein, N. R., Fielding, K., Udvari-Solner, A., & Joshi, S. V. (2009). The supporting alliance in child and adolescent treatment: Enhancing collaboration among therapists, parents, and teachers. American Journal of Psychotherapy, 63(4), 319-344 doi:10.1176/appi.psychotherapy.2009.63.4.319.
crossref pmid
Foster, S. L., & Mash, E. J. (1999). Assessing social validity in clinical treatment research: Issues and procedur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7(3), 308 doi:10.1037/0022-006X.67.3.308.
crossref pmid
Garbacz, S. A., McIntyre, L. L., Stormshak, E. A., & K osty, D. B. (2020). The efficacy of the family checkup on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 problems in early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28(2), 67-79 doi:10.1177/1063426618806258.
crossref pdf
Garbacz, S. A., Sheridan, S. M., Koziol, N. A., Kwon, K., & Holmes, S. R. (2015). Congruence in parent– teacher communication: Implications for the efficacy of CBC for students with behavioral concerns. School Psychology Review, 44(2), 150-168 doi:10.17105/spr-14-0035.1.
crossref
Han, Y., Lee, Y., & Suh, J. H. (2017). Effects of a sandplay therapy program at a childcare center on children with ex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The Arts in Psychotherapy, 52:24-31 doi:10.1016/j.aip.2016.09.008.
crossref
Heward, W. L., Silvestri, S. M. (2005). The neutralization of special education. In J. W. Jacobson, R. M. Foxx, & J. A. Mulick (Eds.), Controversial therapies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Fad, fashion, and science in professional practice. (pp. 193-214).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Horner, S., Rew, L., & Torres, R. (2006). Enhancing intervention fidelity: A means of strengthening study impact. Journal of Specialists in Pediatric Nursing, 11(2), 80-89 doi:10.1111/j.1744-6155.2006.00050.x.
crossref pmid pmc
Kaiser, B., Rasminsky, J. S. (2007). Challenging behavior in young children: Understanding, preventing and responding effectively. Boston, MA: Allyn & Bacon.

Kim, M. J., Doh, H. S., Hong, J. S., & Choi, M. K. (2011). Social skills training and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aggressive preschoolers and their parents in South Korea.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3(6), 838-845 doi:10.1016/j.childyouth.2010.12.001.
crossref
Koegel, R. L., Egel, A. L., & Williams, J. A. (1980). Be havioral contrast and generalization across settings in the treatment of autistic children.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30(3), 422-437 doi:10.1016/0022-0965(80)90048-X.
crossref pmid
Kuravackel, G. M., Ruble, L. A., Reese, R. J., Ables, A. P., Rodgers, A. D., & Toland, M. D. (2018). COMPASS for Hope: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a parent training and support program for children with ASD.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48:404-416 doi:10.1007/s10803-017-3333-8.
crossref pmid pdf
Lei, H., Nahum-Shani, I., Lynch, K., Oslin, D., & Murphy, S. A. (2012). A “SMART" design for building indi vidualized treatment sequences.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8(1), 21-48 doi:10.1146/annurev-clinpsy-032511-143152.
crossref pmid pmc
Mahon, D., Gunning, C., Holloway, J., & Lydon, H. (2020). Implementing positive behavior support within preschool settings: Group functional assessment and CW-FIT. Journal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22(3), 167-180 doi:10.1177/1098300719890065.
crossref pdf
Marleau, B., Lanovaz, M. J., Gendron, A., Higbee, T. S., & Morin, D. (2019). Using interactive web training to teach parents to select function-based interventions for challenging behaviour: A preliminary study. Journal of Intellectual & Developmental Disability, 44(4), 492-496 doi:10.3109/13668250.2018.1464281.
crossref
Nuhu, N. N., Muething, C., Gillespie, S. E., Mevers, J. L., & Scheithauer, M. (2024). Individualized parent-mediated behavioral treatment for challenging behavior: A program description. Behavior Modification, 48(2), 111-127 doi:10.1177/01454455231201957.
crossref pmid pdf
Perreau-Linck, E., Lessard, N., Lévesque, J., & Beauregard, M. (2010). Effects of neurofeedback training on inhibitory capacities in ADHD children: A sing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study. Journal of Neurotherapy, 14(3), 229-242 doi:10.1080/10874208.2010.501514.
crossref
Pester, D., Lenz, A. S., & Dell'Aquila, J. (2019). Meta-analysis of single-case evaluations of child-centered play the rapy for treating mental health symptoms.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28(3), 144 doi:10.1037/pla0000098.
crossref
Pollack, M. S., Staubitz, J. L., & Lloyd, B. P. (2023). Effects of intensive coaching on educator implementation of a comprehensive function-based intervention package. Journal of Behavioral Education, 32(2), 334-361 doi:10.1007/s10864-021-09446-1.
crossref pdf
Rapoff, M. A. (2010). Assessing and enhancing clinical significance/Social validity of intervention research in pediatric psychology.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35(2), 114-119 doi:10.1093/jpepsy/jsp102.
crossref pmid
Romero-Lopez, M., Pichardo, M. C., Justicia-Arraez, A., & Bembibre-Serrano, J. (2021). Reducing aggression by developing emotional and inhibitory control.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8(10), 5263 doi:10.3390/ijerph18105263.
crossref pmid pmc
Ryan, G., Brady, S., Holloway, J., & Lydon, H. (2019). Increasing appropriate conversation skills using a behavioral skills training package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23(4), 567-580 doi:10.1177/1744629517750744.
crossref pmid pdf
Saini, V., Greer, B. D., & Fisher, W. W. (2015). Clarifying inconclusive functional analysis results: Assessment and treatment of automatically reinforced aggression.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48(2), 315-330 doi:10.1002/jaba.203.
crossref pmid pmc
Salzinger, K. (2014). A behavior-analytic view of anger and aggression. In H. Kassinove (Ed.), Anger disorders. (pp. 69-79). London: Taylor & Francis.

Scott, T. M., & Cooper, J. T. (2017). Functional behavior assessment and function-based intervention planning: Considering the simple logic of the process. Beyond Behavior, 26(3), 101-104 doi:10.1177/1074295617716113.
crossref pdf
Seale, J. P., Gebski, V. J., & Keech, A. C. (2004). Generalising the results of trials to clinical practice.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181(10), 558-560 doi:10.5694/j.1326-5377.2004.tb06447.x.
crossref pmid pdf
Sheridan, S. M., Clarke, B. L., Burt, J. D. (2008). Conjoint behavioral consultation: What do we know and what do we need to know?. In W. P. Erchul, & S. M. Sheridan (Eds.), Handbook of Research in School Consultation. (pp. 171-202). Lawrenceville, NJ: Law rence.

Sheridan, S. M., Ryoo, J. H., Garbacz, S. A., Kunz, G. M., & Chumney, F. L. (2013). The efficacy of conjoint behavioral consultation on parents and children in the home setting: Results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51(6), 717-733 doi:10.1016/j.jsp.2013.09.003.
crossref pmid
Sheridan, S. M., Witte, A. L., Holmes, S. R., Wu, C., Bhatia, S. A., & Angell, S. R. (2017). The efficac y of conjoint behavioral consultation in the home setting: Outcomes and mechanisms in rural comm unitie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62:81-101 doi:10.1016/j.jsp.2017.03.005.
crossref pmid
Skinner, B. F. (1938). The Behavior of organisms: An experimental analysis. New York: Appleton-Century.

Smeets, K. C., Leeijin, A. A. M., van der Molen, M. J., Scheepers, F. E., Buitelaar, J. K., & Rommelse, N. N. J. (2014). Treatment moderators of cognitive behavior therapy to reduce aggressive behavior: A meta-analysis. European Child & Adoelscent Psychiatry, 24:255-264 doi:10.1007/s00787-014-0592-1.
crossref pmid pdf
Snyder, J., Suarez, M., Brooker, M. (2001). Growth, continuity, and correlations among direct and relational aggression in 5 to 7 year old boys and girls. In Annual conference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Minneapolis, Minnesota.

Sonuga-Barke, E. J., Daley, D., Thompson, M., Laver-Bradbury, C., & Weeks, A. (2001). Parent-based therapies for preschool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ith a community sample.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40(4), 402-408 doi:10.1097/00004583-200104000-00008.
crossref pmid
Ștefan, C. A., Dănilă, I., & Cristescu, D. (2022). Classroomwide school interventions for preschoolers’ social-e motional learning: A systematic review of evidence-based program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34(4), 2971-3010 doi:10.1007/s10648-022-09680-7.
crossref pdf
Strohmeier, C. W., Schmidt, J. D., & Furlow, C. M. (2020). Family accommodation and severe problem behavior: Considering family-based interventions to expand function-based treatment.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59(8), 914-917 doi:10.1016/j.jaac.2020.01.021.
crossref pmid
Squires, J., Bricker, D. (2007). An activity-based approach to developing young children's social emotional competence. Baltimore, MD: Paul H. Brookes.

Tremblay, R. E., Nagin, D. S., Seguin, J. R., Zoccolillo, M., Zelazo, P. D., Boivin, M., ..., & Japel, C. (2004). Physical aggression during early childhood: Trajectories and predictors. Pediatrics, 114(1), e43-e50 doi:10.1542/peds.114.1.e43.
crossref pmid pmc pdf
Williford, A. P., LoCasale‐Crouch, J., Whittaker, J. V., D eCoster, J., Hartz, K. A., Carter, L. M., ..., & Hat field, B. E. (2017). Changing teacher–child dyadic interactions to improve preschool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s. Child Development, 88(5), 1544-1553 doi:10.1111/cdev.12703.
crossref pmid pdf
Wilson, B. J., & Ray, D. (2018). Child-centered play the rapy: Aggression, empathy, and self‐regulation.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96(4), 399-409 doi: 10.1002/jcad.12222.
crossref pdf
Yeaton, W. H., & Bailey, J. S. (1978). Teaching pedestri an safety skills to young children: An analysis and one‐year followup.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11(3), 315-329 doi:10.1901/jaba.1978.11-315.
crossref pmid pmc
Doo, J.-I., & Lee, J.-S. (2012). The effectiveness of group parent-child interaction therapy for children with disruptive behavioral problems and their mother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4(2), 339-363 Retrieved from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64405.

Jeong, H.-J., & Kim, M.-S. (2023). The effects of a child group art therapy program with parent education for borderline intelligent children: Mental health, sociality, and parenting attitudes of the parents. Korean Journal of Infant Mental Health, 16(1), 23-46 doi:10.47801/KJIMH.16.1.2.
crossref
Jo, H. Y., & Chung, C. H. (2020). The effects of aggression reduc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arly Childhood Education, 40(1), 63-81 doi:10.18023/kjece.2020.40.1.003.

Kang, J. J., & Hong, K. H. (2013). The impact of music activity using Dalcorze eurhythmics on child aggression. The Journal of Welfare and Counseling Education, 2(2), 121-138 Retrieved from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50026611692.

Kim, S., & Song, Y. H. (2014). An effect that physical activity-based emotion-regulation program has on aggression of preschool child in the child welfare facility. The Journal of Play Therapy, 18(3), 29-48 Retrieved from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40543.

Kim, Y.-A., Lee, J., Kim, Y.-J., Kim, M.-Y., & Oh, K.-J. (2011). Standardization study for the Korean version of the caregiver-teacher report form.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4(2), 65-86 Retrieved from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57689.

Kim, Y. K., Oh, S. C., Lee, D., & Park, J. H. (2024). Development of an intervention program based on augmented reality and teacher consultation to reduce aggressive behaviors in preschoole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45(4), 429-446 doi:10.5723/kjcs.2024.45.4.429.
crossref pdf
Kwon, E. J. (2013). Effects of art therapy program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aggressiveness of preschool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fare Practice, 4(1), 49-90 Retrieved from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24005651.

Lee, S. (2016).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functional behavioral assessments and function-based intervent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settings. Special Education Research, 15(3), 95-124 Retrieved from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001870.
crossref
Oh, K.-J., Kim, Y.-A. (2009). Manual of Korean version of caregiver-teacher report form. Seoul: Huno.

Park, J. H., Kim, Y. K., Lee, D., Oh, S. C. (2019). Yua gyosa jiwoneul wihan munjehaengdong conselting Jichimseo [유아 교사 지원을 위한 문제행동 컨설팅지침서]. Seoul: Hangil Educational Research Instit ute.

Shin, J. W., Park, C. W., & Lee, H. S. (2021). The effect of behavioral skills training on the accuracy of dis crete-trial teaching implementation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Behavior Analysis and Support, 21(8), 23-42 Retrieved from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11256.
crossref pdf
Yun, H. J., & Kwon, Y. J. (2025). Structural relationship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ethnic identity types. The Multicultural Child and Youth Studies, 10(1), 1-34 doi:10.56023/mcyca.2025.10.1.1.
crossref
Editorial Office
The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S1433-1, Myongji University,
34 Geobukgol-ro, Seodaemun-gu, Seoul, 03674, Republic of Korea
TEL: +82-10-7704-8342   E-mail: gochildren@hanmail.net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The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