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의 정서조절전략과 어머니 반응의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Preschoolers’ Strategies for Emotional Regulation and Their Mothers’ Responses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Child Stud. 2015;36(5):155-171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5 October 31
doi : https://doi.org/10.5723/KJCS.2015.36.5.155
Chonbuk National University
윤금숙, 이진숙
전북대학교 아동학과
Jin Suk Lee, Dept. of Child Studi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567 Baekje-daero, deokjin-gu, Jeonju-si, Jeollabuk-do 54896, Korea E-mail:jslee0822@jbnu.ac.kr
*본 논문은 2015년도 전북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의 일부임.본 논문은 2015년도 한국아동학회 춘계 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논문임.
Received 2015 July 31; Revised 2015 September 12; Accepted 2015 October 3.

Trans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firstly, to examine the emergence of complex strategies for emotional regulation in 3 and 4 years old children, and secondly, to analyze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of the preschoolers’ strategies for emotional regulation and their mothers’ responses. The subjects comprised 66 preschoolers(33 boys, 33 girls) and their mothers in J c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schoolers’ strategies for emotional regulation in frustrating episodes occurred in the following order; instrumental behaviors, cognitive reappraisal, distraction behaviors, and comforting behaviors. Second, the mother’s responses to frustrating episodes occurred in the following order; cognitive reappraisal, instrumental behaviors, comforting behaviors, and distraction behaviors. Third,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of the preschooler’s strategies for emotional regulation and the mothers’ responses to frustrating episodes were found to be of a similar patterns (e.g. preschoolers’ cognitive reappraisal strategy and mothers’ cognitive reappraisal response).

Ⅰ. 서 론

유아는 발달 과정에서 정서를 경험하고 자신의 정서적 반응을 해석하고 정서표현 행동을 결정하며, 점차 다양한 상황에서 표현해야할 정서와 표현해서는 안될 정서를 인식하게 된다(Calkins et al., 1999). 상황에 적합한 정서표현을 습득하고, 자신 및 타인의 정서를 이해하며 긍정적, 부정적 상황에서 자신의 정서를 조절해 나가는 것은 유아기의 중요한 발달과제이다.

정서조절은 개인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정서적 반응을 모니터하고 평가하고 수정하는 외부적․내재적 과정으로(Thompson, 1994), 필요할 경우 반응을 지연하는 능력뿐 아니라 정서 경험을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방식으로 반응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유아는 3세 정도가 되면 신체적 성숙과 감각운동의 발달, 뇌신경 체계의 발달로 자기조절에 대한 인식이 생겨 변화하는 상황적 요구에 부합하는 정서조절이 가능해진다(Denham & Kochanoff, 2002). 특히 부정적인 정서유발 상황에서 유아는 이에 대한 대처방법이나 적응방법을 배우고, 자신의 정서를 조절할 수 있는 기회를 갖기 때문에 부정적 정서도 정서발달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Bae, 2011; Stansbury & Sigman, 2000).

유아가 좌절상황에서 경험하는 부정적 정서를 문화적으로 적절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이고 표현적인 대처 행동이나 방법인 ‘전략’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정서조절전략은 부정적 정서유발 상황에서 유연하게 전략적으로 대처하고 반응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인 측면들을 포함한다(Denham, 1998). 부정적 상황에서 효율적인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하는 유아는 또래관계나 사회적 적응을 긍정적으로 유지하고, 이후 아동기와 청소년기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Rydell, Berlin, & Bohlin, 2003; Sheilds & Cicchetti, 2001). 반면, 유아기에 부정적 정서조절을 잘 하지 못할 경우에는 아동기 문제행동을 나타낼 가능성이 높다(Rydell, Berlin, & Bohlin, 2003).

발달단계상 3-4세 유아기는 내재적이며 자율적인 자기조절이 가능해지고(Kopp, 1989), 내적 상태와 외부 행동의 관계, 마음의 속성에 대해 이해하게 되기 때문에(Baird & Moses, 2001; Wellman, Cross, & Watson, 2001) 이 시기에 정서조절에 대한 다양한 전략과 걸음마기에서 진보된 새로운 전략의 출현을 예측해 볼 수 있다(Cole et al., 2009; Denham & Kochanoff, 2002; Lemerise & Arsenio, 2000). Kochanska(1994)는 이 시기에 다른 발달 영역이 발달하면서 인지조절 같은 복잡한 자기조절 전략을 내면화하고 실행할 준비가 되었다고 하고, Wellman, Harris, Banerjee와 Sinclair(1995)는 2-5세 유아들이 행복, 슬픔, 분노 등에 대해 적절한 표현과 언어를 사용한다고 하였다. 이외에도 자기인식 증가(Kagan, Reznick, & Snidman, 1987), 자발적인 정서표출 조절(Ji, 2004; Carlson, 2005)은 3-4세 경이 새로운 정서조절전략의 출현가능 시기임을 보여주고 있다(Cole et al., 2009; Stansbury, & Sigman, 2000). 그러나 3, 4세 유아의 정서조절 전략을 실험상황에서 직접 확인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어서 3, 4세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에 대한 심도있는 체계적 연구가 필요하다.

3세를 전후하여 유아는 인지․언어 기능의 진보와 표상적 사고의 발달로 양육자의 의도나 상호작용 패턴을 기억하였다가 이후 정서조절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양육자의 반응이 중요하게 대두된다.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의 질은 유아의 정서적 표현을 고취시킬 뿐만 아니라 정서조절 행동에 영향을 주며, 이후 사회 정서적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Bridges & Grolnick, 1995; Cole et al., 2009; Denham et al., 1997).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은 주 양육자이고 사회화의 대행자인 어머니의 정서표현이나 행동 등의 반응을 통해서 형성된다. 유아는 어머니의 정서적 반응에 기초하여 정서교류에 필요한 도식을 만들고, 이 도식을 통해 상황에 맞는 정서조절을 하기 때문이다(Dunn et al., 1994). Morris 등(2011)은 부정적 정서상황에서 어머니의 주의재초점화와 어머니-유아의 공동인지 재구성이 자녀의 분노와 슬픔을 줄여주는 것을 밝혀내어 어머니의 개입과 긍정적 반응의 중요성을 시사해주고 있다. 한편, 국내 선행연구의 경우 실험상황에서 영아의 정서조절전략을 살펴본 연구(Kwon, 2008; Song, 2005)는 이루어졌으나 유아의 경우에는 질문지와 면접 연구(An, 2005; Bae, 2011; Lee, 2011)가 일부 이루어졌을 뿐 실험실 상황에서 정서조절전략과 어머니 반응을 규명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실험상황에서 유아의 정서조절전략과 어머니의 반응 간의 관련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특히 본 연구는 3, 4세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의 양상을 분석하고 유아의 전략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전략을 분석하고자 한다.

유아의 정서조절전략과 어머니 반응은 유아의 연령, 성별, 출생순위 등의 유아 관련 변수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선행 연구들은 유아의 연령(Kim, 2013; Morris et al., 2011; Stansbury & Sigman, 2000), 성별(An, 2005; Lindsey & Colwell, 2003), 출생순위(Falbo & Polit, 1987; Kim, 2011)에 따라 정서조절전략과 어머니 반응의 차이를 보고해 왔다. 예컨대 연령에 따른 정서조절전략을 보면, 연령이 높아질수록 영아기에 주로 사용되었던 위안, 주의전환 전략은 덜 사용하고, 인지재평가 전략은 더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Ji, 2004; Morris et al., 2011; Stansbury & Sigman, 2000). 자녀의 연령에 따른 어머니의 반응은 나이 많은 유아보다 어린 유아의 분노표현에 더 지지적이고 주의를 기울이며, 자녀의 나이가 높아질수록 감정축소 반응을 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Kang, 2014; Radke-Yarrow & Kochaska. 1990). 성별에 따라서는 여아가 긍정적․표현적 전략을, 남아가 공격적․외현화 전략을 더 사용하였으며(Lee, 2011; Cole et al., 2009), 어머니의 정서표현과 정서조절에 대한 기대수준과 처벌 반응이 다르게 나타났다(Kim, 2008; Jung, 2004; Birnbaum & Croll, 1984). 출생순위에 따라서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형제관계, 그리고 개인의 지각방식이 달라져 유아의 분노조절에 차이가 나타나고(Adler, 1956; Issacson & Cliff, 2009), 부정적 정서 상황에서 어머니의 정서 반응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Kim, 2011; Yoo, 2009). 그러나 연령(Cole, 1986; Josephs, 1994), 성별(Bae, 2011; Kim, 2004), 출생순위(Bryant & Crockenberg, 1980; Dunn & Kendrick, 1982)에 따라 차이가 없다는 보고도 있어 유아 관련 변인인 연령, 성별, 출생순위에 따른 정서조절전략과 어머니 반응을 탐색해볼 여지가 있다.

요약하면, 본 연구는 부정적 정서가 유발되는 좌절 실험상황에서 3, 4세 유아의 정서조절전략 경향 및 어머니 반응의 경향을 살펴보고, 유아의 연령, 성별, 출생순위에 따른 발달적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유아의 정서조절전략과 어머니 반응의 대응패턴 분석을 통해 유아의 정서조절전략과 어머니 반응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연구문제 1>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 연령, 성별, 출생순위에 따라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에 차이가 있는가?

  • <연구문제 2> 어머니 반응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 연령, 성별, 출생순위에 따라 어머니 반응에 차이가 있는가?

  • <연구문제 3> 유아의 정서조절전략과 어머니 반응의 대응관계는 어떠한가? - 유아의 연령, 성별, 출생순위에 따라 유아의 정서조절전략과 어머니 반응의 대응 관계에 차이가 있는가?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연구 대상은 J시의 3, 4세 유아와 그의 어머니 66쌍이다. 유아의 연령은 3세 34명, 4세 32명이고, 성별은 남아 33명, 여아 33명이다. 자녀의 출생순위는 외동아․첫째아 33명, 둘째아 이하 33명이었다. 어머니의 연령은 35세 이하 35명, 36-40세 23명, 41세 이상 8명이다. 어머니의 취업유무는 취업모 29명, 전업주부 37명이고, 어머니의 교육수준은 전문대 이하 35명, 대졸 이상 31명이다. 가정 월수입은 250만원 미만 23명, 260-350만원 14명, 360-450만원 14명, 450만원 초과 15명이다.

2. 실험과제 및 절차

1)실험과제

본 연구는 좌절상황에서 유아의 정서조절 전략과 어머니의 반응 전략을 측정하기 위해 Stansbury와 Sigman(2000)이 사용한 ‘장난감 정리과제’(Clean-up)와 ‘사탕 지연과제’(Candy given then denied)를 사용하였다. 장난감 정리과제는 매력적인 롤러코스터를 가지고 놀기 위해서는 먼저 카펫 위의 블록을 정리하도록 요구하여 유아의 좌절을 유도하고, 사탕 지연과제는 실험자가 유아에게 준 사탕을 엄마가 먹지 못하게 함으로써 좌절을 유도하는 상황이다. 두 실험과제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 장난감 정리과제:유아와 어머니에게 다양한 장난감을 제시해주고 2분 동안 놀게 한 후, 실험자가 들어가서 유아에게 롤러코스트를 준다. 이 장난감은 버튼을 누르면 자동차가 활주로를 굴러가 바닥에 떨어지도록 되어있다. 실험자는 유아에게 그 장난감이 어떻게 작동되는지 보여준 다음, 자동차를 가지고 놀 수 있다고 한다. 유아가 롤러코스트 위에 자동차를 올려놓고 작동하려할 때, 실험자가 자동차를 도로 가져가며 유아와 어머니에게 “실험실 안의 장난감을 박스에 다 정리해야만 자동차를 가지고 놀 수 있다”고 한다(좌절 상황 유도). 그리고 2분 후에 다시 돌아올 것이며, 그때까지는 장난감 정리를 다 마쳐달라고 말한 뒤 방을 나온다.

  • • 사탕 지연과제:장난감 정리 과제가 끝난 후, 실험자와 실험 보조자가 돌아와 장난감을 치운 뒤, 실험자가 어머니를 방 밖으로 데리고 나가고 실험 보조자는 유아와 함께 방에 남는다. 방 밖에서 실험자는 어머니에게 “아이가 먹고 싶어하는 사탕을 어머님이 어떻게 먹지 못하게 하는지 보고싶어요. 실험 보조자가 아이에게 사탕을 줄텐데, 아이가 사탕을 먹지 않고, 테이블 위에 놓거나 다시 저에게 가져오게 해주세요. 평소 집에서 하던대로 해주세요.” 라고 말한다. 실험보조자는 사탕 바구니에서 유아에게 사탕을 고르라고 한다. 그런 다음 유아에게 “사탕을 지금 먹어도 괜찮아. 그런데, 엄마한테 허락부터 받고 먹어야 해. 알았지?”라고 말한다. 유아가 사탕을 선택을 한 후, 부모가 다시 들어가고 실험보조자는 방을 나온다.

2)실험절차

실험은 예비실험, 본실험의 절차로 진행되었다. 먼저 ‘장난감 정리과제’, ‘사탕 지연과제’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3, 4세 유아-어머니 8쌍을 대상으로 2013년 3월 25일부터 26일까지 H어린이집의 조용한 교실에서 예비실험을 실시하였다. 예비실험을 통해 실험 절차상의 문제와 실험실의 물리적 환경, 실험도구 등 수정이 필요한 부분과 비디오카메라의 위치, 화면 조정 등을 검토하여 이를 본 실험에 반영하였다. 또한 예비실험 후 보조평가자 1인(아동학전공 박사)에게 코딩지침에 대한 내용을 숙지시킨 후 예비실험 자료의 전사록과 비디오테잎을 보면서 일치도 훈련을 3회 실시하였다.

본 실험은 연구자가 연구보조자의 도움을 받아 2013년 4월 24일∼6월 4일까지 H어린이집의 구조화된 실험실에서 실시하였다. 먼저 장난감 자유놀이 5분을 갖은 후 ‘장난감 정리과제’ 3분, ‘사탕 지연과제’ 3분의 실험관찰을 실시하였으며 전체 소요시간은 약 20분 정도였다. 예비실험 결과, 장난감 정리과제의 구슬장난감에 대해 유아들이 매력을 느끼지 못했고 레고블록은 소음이 너무 큰 것으로 나타나, 본 실험에서는 매력적인 롤러코스터와 끼우기 블록을 사용하였다. 한편, 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 관찰을 위해 모든 활동을 녹화하였는데, 유아와 어머니가 의식하지 않도록 카메라는 눈에 띄지 않게 설치하였다.

3. 코딩 절차 및 지침

1)코딩 절차

모든 실험관찰 상황은 어머니의 동의를 얻은 후, CCTV와 6mm 비디오카메라로 녹화하고 전사한 후, 전사된 자료에 근거하여 유아의 정서조절전략 및 어머니의 반응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은 좌절에 대한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좌절에 관련된 사건만을 선택하는 사건 표집법을 사용하였다. 좌절에 대한 유아의 반응을 분석하는 데 선정된 사건은 정서적 좌절상황에서 일어난 것으로 180초간의 실험관찰 전사록에 있는 유아의 행동과 말의 내용뿐만 아니라 비디오테이프를 참고하여 유아의 목소리 톤, 신체동작, 얼굴표정, 다른 행동 단서 등을 토대로 하였다. 어머니의 반응에 대한 분석도 실험관찰 전사록 중에서 유아의 정서적 좌절에 해당하는 시점의 어머니 사건, 즉 유아가 장난감을 정리하는 동안과 사탕 지연 동안의 어머니 행동반응을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반응 분석은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의 분석과 똑같은 평정체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자와 평가자 1인은 장난감을 정리하는 동안과 사탕을 지연하는 동안, 유아의 좌절이 시작하는 순간부터 좌절이 종료되는 순간까지 사건의 범주가 바뀔 때마다 유아의 정서조절 전략과 어머니 반응의 하위범주별 출현 빈도를 체크하였다. 신뢰로운 평정을 위해 전체 유아-어머니 66쌍 중 10쌍을 무선 표집하여 평가하고, 평가자간 일치를 위하여 각 항목에 대한 점수가 불일치하거나 평정이 모호하다고 판단되는 항목에 대해 서로 논의하면서 80% 이상의 일치도 훈련을 한 후 평가하였다. Cohen의 Kappa 지수를 통한 평가자 간 신뢰도는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은 위안 .91, 도구 .92, 인지조절 .88, 주의전환 .89, 어머니 반응은 위안 .90, 도구 .89, 인지조절 .88, 주의전환 .91로 대체로 신뢰도가 높은 편이었다.

2)코딩지침

Stansbury와 Sigman(2000)의 코딩지침을 사용하였다. 코딩과정에서 원 코딩 범주에 분류되지 않은 추가범주가 나타나 아동학 전문가 3인이 참여하여 코딩지침을 검토, 수정하였다. 좌절에 대한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은 위안, 도구, 인지재평가, 주의전환의 4개요인, 어머니 반응은 위로 반응, 도구적 반응, 인지적 반응, 주의전환 반응의 4개요인이 포함된다. 위안 전략은 내면의 부정적인 정서 경험을 신체적, 언어적으로 달래는 기능이고, 도구 전략은 좌절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기능으로 주어진 상황을 중단하거나 변화하려는 적극적 시도를 의미한다. 인지재평가 전략은 부정적 정서를 긍정적으로 다시 생각하거나 해석하는 기능이고, 주의전환 전략은 내면의 정서경험 뿐만 아니라 부정적 정서상황으로부터 관심을 돌리는 기능을 의미한다. 4가지 정서조절전략의 예를 들어보면, 유아가 사탕을 받았고 어머니가 유아에게 사탕을 지금 먹지 말라고 하면 유아는 좌절의 부정적 정서를 유발할 것이다. 이때 유아는 엄마에게 기대거나 엄마의 옷을 만지는 위안 전략을 사용하거나, “사탕, 지금 먹고 싶어요!” 라고 떼쓰거나 직접 가져가는 도구 전략을 사용할지도 모른다. 관심을 사탕에서 다른 무언가로 돌려 주의전환 전략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그 좌절의 상황을 보다 긍정적으로 다르게 해석하여 사탕을 먹을 경우, 이가 썩고 치과에 가게 되면 끔찍하게 아픈 치과 경험과 견주어 보고, 사탕을 아껴두는 것이 낫다고 판단하여 인지재평가 전략을 사용할 수도 있다. 좌절에 대한 유아의 정서조절 전략과 어머니 반응의 코딩 지침은 Table 1, Table 2와 같다.

Emotion-regulation codes, categories, and examples for children

Emotion-regulation codes, categories, and examples for mother

4. 자료분석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 유아의 정서조절전략 및 어머니 반응 평정의 평가자간 일치도는 Cohen의 Kappa 지수를 사용하였다. 좌절상황에서의 유아 정서조절전략의 경향은 두 실험과제(장난감 정리과제, 사탕 지연과제)에서 나타난 유아의 전략을 합산하여 이 전체 빈도를 토대로 각각의 전략에 대해 백분율 점수를 산출하였고, 어머니의 반응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백분율 점수를 산출하였다. 두 실험과제의 합산 점수를 산출하여 유아의 연령, 성별, 출생순위에 따른 유아의 정서조절전략 및 어머니 반응의 경향의 차이는 t/F검증을 실시하고, 둘 간의 관계는 교차표를 작성하여 대응일치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의 일반적 경향

좌절실험 과제에서 유아 정서조절전략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는 Figure 1, Figure 2와 같다. 좌절 실험상황에서 유아들은 도구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인지재평가 전략, 주의전환 전략, 위안 전략 순서로 사용하였다. 하위 범주에서는 언어적 요청(도구 전략), 협상(인지재평가 전략), 주의전환 전략을 많이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Figure 1

Percentage of preschoolers using the strategies for emotion regulation to the frustrating episodes

Figure 2

Percentage of preschoolers using each of the strategies for emotion regulation to the frustrating episodes

다음으로, 두 실험과제 점수를 합산하여 유아의 연령, 성별, 출생순위에 따른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연령에서는 위안 요인(t = 2.08, p < .05), 도구 요인(t = 2.54, p < .05)에서 차이가 나타났고(Table 3), 출생순위에서는 도구 요인(t = 2.25, p <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able 4). 성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4세가 3세보다 위안 전략, 도구 전략을 더 적게 사용하고, 둘째아 이하가 외동․첫째아보다 도구 전략을 더 적게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유아의 연령별 차이에서 통계적 차이는 없으나 4세가 3세보다 인지재평가의 점수가 더 높아 4세가 3세보다 인지재평가 전략을 더 많이 사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test of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by age of child

T-test of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by birth orderr

2. 어머니 반응의 일반적 경향

유아들의 좌절상황에서 어머니 반응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는 Figure 3, Figure 4와 같다. 어머니들은 유아의 정서조절을 돕기 위해 4개요인 중, 인지적 반응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위로 및 도구적 반응, 주의전환 반응의 순서로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하위 범주에서는 언어적 위로과 이유 설명(인지적 반응), 다른활동(주의전환 반응)을 많이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Figure 3

Percentage of mothers’ using the strategies in responses to the frustrating episodes

Figure 4

Percentage of mothers’ using each of the strategies in responses to the frustrating episodes

유아의 연령, 성별, 출생순위에 따른 어머니 반응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유아의 연령에서는 위로 요인(t = 2.74, p < .01)에서 차이가 나타나 어머니들은 3세보다 4세에게 위로 반응을 더 적게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성별과 출생순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test of mothers’ responses by age of child

3. 유아의 정서조절전략과 어머니 반응의 대응 관계

두 실험과제에서 유아의 정서조절전략과 어머니 반응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일치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Figure 5와 같다. 유아의 위안 전략과 어머니의 위안 반응, 유아의 도구 전략과 어머니의 도구 반응, 유아의 인지재평가 전략과 어머니의 인지적 반응, 유아의 주의전환 전략과 어머니의 주의전환 반응 간에 연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Figure 5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of the preschooler’s strategies for emotion regulation and the mothers’ responses in frustrating episodes

유아의 연령, 성별, 출생순위에 따른 대응 관계는 Figure 68과 같이 동일 요인별로 연관성이 높아 대체로 유아와 어머니 간에 동일한 패턴(위안 전략-위로 반응; 도구 전략-도구적 반응 등)을 사용하여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6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of 3- and 4-year-olds in frustrating episodes

Figure 7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of boy and girl in frustrating episodes

Figure 8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of first- and- other birth order in frustrating episodes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좌절상황에서 유아의 정서조절전략과 어머니의 반응을 실험관찰 하여 3, 4세 유아의 다양한 정서조절전략 사용과 상위 인지 전략의 출현을 검증하고,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을 연구함으로써 어머니-자녀 간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첫째, 유아 정서조절전략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3, 4세 유아들은 좌절에 반응할 때 다양한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했다. 주어진 상황을 중단시키거나 변화시키기 위한 도구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인지재평가 전략, 주의전환, 위안 전략의 순서로 사용했다. 이는 좌절상황에서 3, 4세 유아들이 즉각적인 욕구충족을 위해 도구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위안 전략은 거의 사용하지 않았으며 상위 인지 능력을 활용한 전략을 사용했다는 연구를 지지하는 결과이다(Cole et al., 2009; Denham et al., 2002; Kochanska, 1994; Lemerise & Arsenio, 2000; Stanbury & Sigman, 2000). 주의전환 전략, 위안 전략이 영아기의 주요 전략임을 고려해볼 때, 3-4세 시기가 정서조절전략의 과도기임과 동시에 상위 인지능력을 활용한 정서조절전략 출현 시기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적 많은 3, 4세 유아들이 인지재평가 전략을 사용한다는 사실은 Kochanska(1994)의 주장처럼 이 시기에 나타난 다른 새로운 능력들, 즉 신체적 성숙, 뇌신경 체계의 발달, 자기조절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 상위 인지 전략의 토대를 제공한다는 연구를 지지해주는 결과이다(Baird & Moses, 2001; Denham et al., 2002; Lemerise & Arsenio, 2000). 특히 인지재평가 전략은 매개변수를 재해석하거나 재평가하여 많은 가능성을 추론해야 하기 때문에 보다 상위 인지 기능에 속하며(Morris et al., 2011; Zimmermann & Stansbury, 2003), 3세 유아들이 부정적 정서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가장 발전된 행동 반응이다(Harris, 1989; Stansbury & Sigman, 2000; Zimmermann & Stansbury, 2003).

둘째, 유아의 연령, 성별, 출생순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4세가 3세보다 위안 전략, 도구 전략을 적게 사용하고, 둘째아 이하가 외동․첫째아보다 도구 전략을 더 적게 사용하였으며 성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좌절 상황 실험에서 4세는 3세보다 위안 전략, 도구 전략을 더 적게 사용했다고 보고한 Stansbury와 Sigman(2000)의 연구를 검증하는 결과이다. 또한 4세는 3세에 비해 즉각적 상황 분출은 점차 감소하고(Jung, 2005), 실망상황 실험에서 3세는 행복, 감사 등의 긍정적 정서표출규칙을 사용하지 못했으나, 5세는 부정적 정서조절까지 가능했다는 연구와 맥을 같이한다(Kim, 2013; Ji, 2004). 연령이 증가하면서 유아의 자율적인 정서조절전략이 발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출생순위에 따른 차이에서는 둘째아 이하가 외동․첫째아보다 도구 전략을 더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정서 상황에서 첫째아는 정서적으로 쉽게 분노표출을 하거나 과격한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고(Medinnus & Johnson, 1969), 마음에 들지 않는 상황에서는 둘째아보다 자주 화를 내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Kim, 2011; Robert, Martin, & Richard, 1967). 둘째아 이하의 자녀는 손위 형제들의 행동을 보고 자라면서 상황에 따라 정서조절을 배울 수 있지만, 외동․첫째아는 가정 내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는 대상이 부모밖에 없어 자기중심적인 면이 강하기 때문으로 이해할 수 있다(Jiao & Ji, 1986; Wan, Fan, Lin, & Jing, 1994). 한편, 성별에 따른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남녀 간에 성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정서조절전략 연구를 지지하는 결과이다(Kim, 2004; Bae, 2011; Lee, 2005). 아직 연령이 어려 어머니가 성별 사회화 반응을 보이지 않거나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의 변화로 시대적 흐름을 반영한 결과라고도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어머니 반응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들은 유아의 정서조절을 돕기 위해 인지적 반응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위로, 도구적, 주의전환의 순서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머니들이 도구 전략을 사용하는 자녀에게 부정적 상황을 긍정적 상황으로 다시 해석하게끔 거부 이유를 설명하거나 제한설정, 상황재정의, 권위 등의 인지적 반응을 많이 사용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어머니들은 언어적 위로 반응도 비교적 많이 사용했는데, 이는 유아들의 좌절 상황에서 어머니들의 반응이 인지적, 주의전환, 도구적, 위로의 순서로 나타났다는 Stansbury와 Sigman(2000)의 연구와는 다른 결과이다. 실험 상황에서 어머니들은 “괜찮아”, “너는 정말 잘하는 구나!” 등의 언어적 위로를 지속적으로 사용하여 자녀의 좌절을 위로함과 동시에 과제를 빨리 수행하도록 촉진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녀들이 스스로 자기조절하여 충분히 할 수 있는 과제임에도 불구하고 위로 반응을 과다하게 사용하였다.

넷째, 유아의 연령, 성별, 출생순위에 따른 어머니 반응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들은 4세보다 3세에게 위로 반응을 더 많이 사용하고, 성별, 출생순위에 따라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어머니가 나이가 어린 유아에게 위로 반응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3세가 즉각적인 좌절을 중단시키거나 변화시키지 못해 더 고통스러워하자, 어머니들이 위로 반응을 더 많이 사용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성별, 출생순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부정적 정서상황에서 자녀의 성별에 따라 어머니 반응에 차이가 없다는 연구를 지지하는 결과이다(Park, 2005; Stansbury & Sigman, 2000). 그러나 여아에게 어머니가 문제해결을 돕는 반응을 더 보이고(Kim, 2010; Park, 2009), 남아의 부정적 정서 표현에 대해 어머니가 통제적․처벌적이었다는 연구와는 다르다(Kim, 2008; Jung, 2004). 이는 어머니의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의 변화에 따라서 자녀의 성별에 따른 양육태도의 차이가 감소한 결과라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출생 순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외동아와 첫째아보다 둘째 이하의 자녀에게 정서중심적 태도를 더 많이 보인다는 연구(Kim, 2011; Yoo, 2003)와 출생순위에 따른 차이가 없다는 연구 등 출생순위에 따라서는 선행연구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다. 전통적으로 우리나라는 첫째아에게 더 엄하게 대하고 맏이는 의젓해야 한다는 통념이 있지만, 자녀수의 감소로 인해 출생순위에 따른 어머니 반응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다섯째, 좌절상황에서 유아의 정서조절전략과 어머니 반응의 대응관계는 같은 요인별로 연관성이 높아 대체로 동일한 패턴으로 도구 전략에는 도구적 반응을 사용하고, 위안 전략에는 위로 반응을, 인지재평가 전략에는 인지적 반응을 사용하였으며 주의전환 전략에는 주의전환 반응을 사용하였다. 다만 어머니들은 유아들의 도구 전략에는 인지적 반응도 많이 사용하고, 유아의 인지재평가 전략에는 도구적 반응도 비교적 많이 사용하였다. 유아의 연령, 성별, 출생순위에 따른 대응관계의 차이에서도 대체로 유사한 패턴으로 나타나 연령이나 성별, 출생순위에 관계없이 유아와 어머니들이 대부분 동일한 패턴으로 사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유아들의 좌절상황에서 유아와 어머니가 동일한 요인의 정서조절전략과 반응을 사용한 것은 어머니의 정서조절 방식이나 양육행동이 여러 경로로 자녀에게 영향을 미치고, 자녀의 정서조절 방식 또한 부모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들을 지지한다(Eisenberg et al., 2003; Kochanska, Clark, & Goldman, 1997). 또한 유아의 부정적 정서 상황에서 어머니의 위안, 주의전환, 인지적 반응과 함께 어머니-유아 공동인지 재구성이 유아의 분노와 슬픔 조절에 큰 영향을 주었다는 Morris 등(2011)의 연구를 지지하는 결과이기도 하다. 영아의 정서조절전략과 어머니의 반응을 서로 간에 영향을 주고받는 양방향적 관계로 해석한 Kwon(2008)의 연구, 어머니가 비가용적인 상황보다 가용적인 상황에서 더 적극적으로 놀이와 상호작용 을 한다는 영아기 연구(Kwon, 2008; Dinner & Mangelsdorf, 1999)와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유아는 양육자인 부모의 정서반응에 기초하여 정서교류에 필요한 도식을 만들고, 이 도식을 통해 자신의 긍정적․부정적인 정서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잠재적인 전략들을 학습한다(Dunn et al., 1994). 유아의 부정적 정서조절을 돕기 위해 어머니들은 자녀의 발달 수준에 맞춰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고, 자녀들은 어머니의 반응을 내면화하여 조정한 결과, 자신의 정서조절에 대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Kopp, 1989; Schaffer & Crook, 1980; Stansbury & Sigman, 2000). 따라서 자율적인 정서조절이 가능한 3, 4세 유아의 정서조절전략 발달에 맞추어 적절히 조율하는 어머니의 반응이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유아가 연령과 상황에 맞는 정서조절전략을 잘 습득하기 위해서는 어머니의 온정적이고 일관적인 반응이 필요하다. 자녀들은 어머니의 반응을 내면화하여 정서조절전략을 성숙시키기 때문에 어머니들은 자녀의 정서조절전략을 확장시킬 수 있는 보다 다양하고 조절적인 반응을 할 필요가 있다. 유아에게 보다 상위의 인지전략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수용적이면서도 보다 확장적인 어머니의 반응전략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 연구는 실험관찰을 통해 발달 연구 차원에서 3, 4세 유아들이 사용하는 보다 상위의 인지전략을 확인하고, 실용적 차원에서는 유아의 정서조절전략과 어머니의 반응이 양방향적 상호작용 관계임을 검증하여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에 어머니의 온정적이고 확장적인 상호작용이 중요함을 시사한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J시에 속한 66쌍의 대상자로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 무리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연구 범위와 관찰 대상 수를 확대하고, 구조화된 실험실 상황이 아닌 자연스럽고 다양한 상황에서 연구를 진행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좌절상황 뿐만 아니라 슬픔, 두려움, 공포 등 다양한 정서 상황에서 부정적 정서에 대한 연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An R. R.. 2005;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s variables, mothers' emotionality and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social compet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Korea.
Bae J. H.. 2011. The effects of children's sex, age, temperament and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on the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Unpublis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Baird J. A., Moses L. J.. 2001;Do preschoolers appreciate that identical actions may be motivated by different intentions. Journal of Cognition and Development 2:413–448.
Calkins S. D., Gill K. L., Johnson M. C., Smith C. L.. 1999;Emotion reactivity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redictors of social behavior with peers during toddlerhood. Social Development 8(3):310–334.
Carlson S. M.. 2005;Developmentally sensitive measures of executive function in preschool children.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28:595–616.
Cole P. M., Dennis T. A., Smith-Simon K. E., Cohen L. H.. 2009;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strategy understanding: Relations with emotion socialization and child self-regulation. Social Development 18(2):324–352.
Denham S. A.. 1994;Maternal emotional responsiveness and toddlers’ social-emotional competenc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4:715–728.
Denham S. A.. 1998. Emotion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New York: Guilford Press.
Denham S. A., Kochanoff A.. 2002;Parental contributions to preschoolers’ understanding of emotion. Marriage and Family Review 34:311–343.
Dunn , Judy , Brown , Jane . 1994;Affect expression in the family, children's understanding of emotion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others. Merrill - Palmer Quarterly 40(1):120–137.
Ji K. J.. 2004. Preschoolers'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Unpublis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Kim J. M.. 2013;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in different situations: Related to executive function and tempera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Kopp C. B.. 1989;Regulation of distress and negative emotion: A development view. Development Psychology 25:343–354.
Kwon J.. 2008. Emotion regulation of toddlers: Focused on relation of mother's vailability, mother's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Unpublis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Lee J. S.. 2011. A multi-level data analysis on the effect of variables of teachers and young children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uksung Women's University; Korea:
Lemerise E. A., Arsenio W. F.. 2000;Av integrated model of emotion processes and cognition i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Child Developmental 71:107–118.
Lim H. S.. 2001. Child's sex, temperament, mother's emotion regulation, and parenting as related to child's emotion regul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Lindsey E. W., Colwell M. J.. 2003;Preschooler’s emotional competence: Links to pretend and physical paly. Child Study Journal 33(1):39–52.
Morris A. S., Silk J. S., Morris M. D., Steinberg L., Aucoin K. J., Keyes A. W.. 2011;The Influence of mother-chil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children's expression of Anger and sadness. Developmental Psychology 47(1):213–225.
Park Y. M.. 2008;Emotion regulation of toddlers: Focused on relation of age, attachment, behavioral inhibition. Unpublis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Radke-Yarrow M., Kochanska G.. 1990. Anger in young children. Psychological and biological approaches to emotion p. 297–310.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Rydell A., Berlin L., Bohlin G.. 2003;Emotionality, emotion to regulation, and adaptation among 5-to 8-years-old children. Emotion 3:30–47.
Shelids A., Cicchetti D.. 2001;Parental maltreatment and emotion dysregulation as risk factors for bullying and victimization in middle childhood.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30:349–363.
Song H. S.. 2005. Toddler regulation of distress to frustrating events: Moderating effects of maternal interactive style between distress and emotion regulation. unpublis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Stansbury K., Sigman M.. 2000. Responses of preschoolers in two frustrating episodes: Emergence of complex strategies for emotion regulation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61(2), 182-202:
Thompsom R. A.. 1994. Emotion regulation: A theme in search of definition. In : Fox N., ed.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9 (2-3, Serial No. 240), 25-52.
Wellman H. M., Cross D., Watson J.. 2001;Meta-analysis of theory-of-mind development: The truth about false belife. Child Developmental 72:655–684.
Zimmermann L. K., & Stansbury K.. 2003;The influence of temperamental reactivity and situational context on the emotion-regulatory abilities of 3-year-old children.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64:389–409.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1

Percentage of preschoolers using the strategies for emotion regulation to the frustrating episodes

Figure 2

Percentage of preschoolers using each of the strategies for emotion regulation to the frustrating episodes

Figure 3

Percentage of mothers’ using the strategies in responses to the frustrating episodes

Figure 4

Percentage of mothers’ using each of the strategies in responses to the frustrating episodes

Figure 5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of the preschooler’s strategies for emotion regulation and the mothers’ responses in frustrating episodes

Figure 6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of 3- and 4-year-olds in frustrating episodes

Figure 7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of boy and girl in frustrating episodes

Figure 8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of first- and- other birth order in frustrating episodes

<Table 1>

Emotion-regulation codes, categories, and examples for children

Self-comforting Physical comforting (cm 1) Child looks for mother for comforting.
ex) Child leans on mother’s knees or twines mother’s neck.
Child touches mother’s clothes.

Verbal comforting (cm2) Child comforts herself/himself verbally.
ex) Child organizes toys, saying “I can organize them for myself.”
Child says, “I can wait without eating candies.”

Instrument Request (cm3) Child asks or says his/her request again and again.
ex) “Mom, please give me car. I want to play with roller coaster.”
“I want to eat candies now.”

Refutation (cm4) Child refutes mother’s reason.
ex) “No, No, I don’t like to organize toys.”
“Though I eat candies, my teeth don’t decay.”

Suggestion of reason (cm5) Child suggests reasons why mother should accept his/her request.
ex) “I didn’t play enough.”
“Teacher told me to ask mother if I can eat candies.”

Direct acquisition of wants (cm6) Child has what he/she wants and does what he/she wants to do.
ex) Child takes a car from mother.
Child hides candies behind his/her back.

Reappraise of cognition Request of explanation (cm7) Child asks the explanation of his/her rejected requests.
ex) “Why should we organize toys?”
“Why are candies bad for my teeth?”

Compromise (cm8) Child negotiates or compromises.
ex) Child suggests that he/she will organize toys.
Child puts candies into his/her pocket and says that he/she will eat them later.

Redefinition of situation (cm9) Child redefines the situation.
ex) “Shoot goal.” Child makes organization game with toys.
Child gives mother candies and says “I am a good child.”

Distraction Other activities (cm10) Child starts or participates in another activity.
ex) Mother helps child build a block tower.
Child and mother play alphabet games with candies.

*cm is the subcategory of child’s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Table 2>

Emotion-regulation codes, categories, and examples for mother

Fators Sub-factors
Comforting Physical comforting (mm1) Mother comforts child physically.
ex) Mother hugs and kisses child.
Mother rubs child’s back.

Linguistic comforting (mm2) Mother comforts child verbally.
ex) Mother comforts verbally or songs to child.
Mother comforts child with compliment or encouragement.

Instrumental Request acceptance (mm3) Mother yields to child’s request.
ex) “You don’t have to organize toys.”
Mother brings a candy back to child.

Induction of another situation (mm4) Mother induces child to change the situation.
ex) “Ask your teacher if you have the car.”
“If you don’t eat a candy, I will buy you a present.”

Compromise (mm5) Mother yields to child’s desire and compromises with him.
ex) “If you organize half of the toys, I’ll organize the other half of them.”
“If you share candies with your brother, I will give them to you right now.”

Cognitive Explanation of reason (mm6) Mother explains the reasons for the request and need of organization.
ex) “Because it is time to organize toys, you must not play any more.”
“If you eat candies, your teeth decay and you should go to the dentist.”

Limit setting (mm7) Mother sets limits to child.
ex) “You must organize toys, and you can play with roller coaster.”
“You can eat candies after dinner.”

Redefinition of situation (mm8) Mother redefines and directs the situation to child.
ex) “Who does it faster?” Mother turns the organization into a game.
“Let’s play hide-and-seek with this candy.”

Use of authority (mm9) Mother uses her own and researcher’s authority.
ex) “Teacher says that you must arrange toys first.”
“I say that you can’t eat the candy. You must wait.”

Distraction Other activities (mm10) Mother induces child to other activities.
ex) “Look at what I make with this block.”
Mother starts Shiritori while waiting for experimenter.

*mm is the sub-category of mother’s response.

<Table 3>

T-test of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by age of child

Child strategy 3-year-olds
4-year-olds
t
M (SD) M (SD)
Comforting 10.65 (10.39) 5.76 (8.52) 2.08*
Instrumental 53.47 (25.43) 38.44 (22.41) 2.54*
Cognitive 22.64 (14.25) 28.74 (16.29) -1.61
Distraction 19.50 (9.08) 20.07 (7.75) -.27
*

p < .05

<Table 4>

T-test of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by birth orderr

Child strategy First oder
Second oder
t
M (SD) M (SD)
Comforting 8.07 (9.88) 8.54 (10.27) -.18
Instrumental 52.40 (27.80) 38.87 (19.75) 2.25*
Cognitive 22.78 (13.19) 29.47 (17.04) -1.77
Distraction 19.05 (8.50) 20.07 (8.13) -.49
*

p < .05

<Table 6>

T-test of mothers’ responses by age of child

Mothers’ responses 3-year-olds
4-year-olds
t
M (SD) M (SD)
Comforting 23.52 (12.09) 16.09 (9.68) 2.74**
Instrumental 24.42 (18.84) 18.37 (12.64) 1.52
Cognitive 34.28 (21.63) 43.67 (17.95) -1.92
Distraction 19.78 (8.48) 19.12 (8.99) .30
**

p <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