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 Child Stud > Volume 37(5); 2016 > Article
절기에 따른 생태유아교육 활동이 자연친화적 태도와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the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seasonal divisions influences the child's nature-friendly attitude and emotional intelligence.

Methods

Forty 5-year-olds from 2 preschools in Gyeonggi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and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21) and the comparative group (19).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eco-centered childhood education by seasonal divisions 2 or 3 times a week (33 in total). Pre-post data were collected on both groups and analyzed via t-test and ANCOVAs.

Results

The key result was as follows: eco-centered childhood education by seasonal divisions influenced positively the nature-friendly attitude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 it is recommended that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be applied in childhood education and that relevant program be developed. Eco-centered education by seasonal divisions is meaningful in early childhood so that children can be harmonious with the nature. Furthermore, the study should be continued for the development of qualified eco-centered education.

서론

도시화의 확산으로 교실 밖 자연 학습 환경은 유아들에게서 점차 멀어져 가고 있다. 유아기는 인간이 살아가는 동안 주변 환경과 자연 환경에 대해 가장 호기심이 많은 시기이며, 자기중심성에서 점차 벗어나 자연 환경을 탐구하기에 가장 적합한 시기이다. 유아에게 있어 자연과의 직접적인 경험은 다양한 자연물과 관계를 형성하게 하고 자연이 주는 고마움과 생명의 소중함, 자연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친환경적 지식과 태도를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Laird, McFarland-Piazza와 Allen (2014)은 인간들은 현재 살고 있는 자연의 자원들을 초월하여 더 나은 자원들을 얻기 위해 환경의 지속 가능성을 걱정하고 있으며, 이는 국제적인 관심사가 되고 있다고 하였다. Campbell과 Jobling (2012)은 때문에 아이들은 자신들이 앞으로 살아가야 할 자연환경에 대한 깊이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나 여전히 많은 아이들은 자연환경으로부터 유리된 경험을 하고 있다고 하였고, Chawla와 Cushing (2007)은 지속가능한 자원을 찾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유아기를 포함한 부모, 교육자 등 공동체의 자연환경에 대한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였다. An과 Jeon (2015)에 의하면, 유아기 동안 교사와 또래들과 함께한 다양한 사회적 경험은 성인이 되었을 때 사고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자연과 함께 했던 긍정적인 경험은 성인이 되어서 까지 지속되어 삶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또래, 교사와 함께 하는 자연활동에 대한 교육적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유아교육을 담당하는 사람은 유아에게 자연과 함께 하는 직접적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유아의 인지, 정서 발달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자연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를 길러주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J. S. Han, 2003; M.-K. Kim, 2011).
생태유아교육은 급속한 도시화와 핵가족화 제도 아래 자라고 있는 유아들에게 자연과 접할 기회를 제공하고, 정서적 안정감을 갖게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등장하였다(J.-T. Lim & Kim, 2000). 생태유아교육은 유아와 자연이 하나이거나 유아가 자연의 일부임을 강조하는 공동체 의식이 강한 측면이 있어 생태계를 존중하고, 공동체로 여기는 교육방향으로 가야함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1년 산림교육 활성화에 관한 법률(제10940호)이 시행되면서부터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중요성과 인식이 확산되었으며, 유아교육과 관련된 교수, 연구자, 어린이집 원장 및 교사, 학부모들이 교육과정에 있어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J.-S. Oh & Bae, 2015).
Y. S. Lee (2007) 역시 자연환경의 파괴, 민족성 상실, 도시화로 인한 농경사회의 붕괴, 전통문화의 소실과 우리나라의 생태위기를 극복하고 전통적인 교육기반을 복원하기 위해 생태 유아교육이 도입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생태유아교육 기관 담당자들이 세시풍속, 민속놀이 및 민요 등의 도입에 대해 절실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나 유아교육현장에서 생태유아교육은 가시적인 활동의 결과물이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학부모의 관심을 사기가 힘들며 생태교육을 표방하고 있더라도 실제로는 유기농 먹거리 제공여부가 생태유아교육 실시기관 여부를 판가름하는 기준이 되는 실태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였다. Kweon (2010)은 생태유아교육 관점에서 유아교육환경에 대한 반성적 논의와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 유아는 오염된 실내교육환경, 자연과 유리된 유아교육 환경 및 교재교구, 소비 지향적 놀이문화 환경에 당면해 있으며, 교사는 교재교구 제작과 행사 위주의 교육준비로 인한 업무과중, 유아교육기관의 경쟁으로 인한 교사의 외형능력 강조라는 현실에 당면해 있는 점에 대해 다양한 경험적 근거를 제시하여 주장하였고, 이러한 현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제된 환경보다는 바깥놀이를 통해 유아들이 자연에 있는 놀이감과 함께 호흡하고 살아가게 하고, 교사는 자연적 환경을 구성하여 자연과 계절의 흐름에 맞게 교육환경을 조성해야 하며, 교사와 유아뿐만 아니라 부모와 함께 하는 동반자적인 교육공동체적인 관계를 형성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는 오랫동안 농사를 지으며 살아왔고, 농사는 모든 생활에 근본이 되었으며, 태음력에 바탕을 두고 음력 정월을 시작으로 하여 3개월 단위로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이 뚜렷한 농경사회였다. 농경의 주기는 절기의 주기와 맞물리는 생활의 주기이기도 하며, 세시풍속과 함께 전승되어져 왔다. Pyeon (2007)은 세시풍속이란 한국 사람답게 말하고 행동하고 느끼는 것을 삶으로 만나는 일이라고 정의하였다. 세시풍속은 1년 12달의 기상변화를 나타내는 우리나라의 24절기와 설, 추석 등의 명절의 주기 중심으로 돌아간다. 세시풍속의 긍정적 목적은 풍요한 건강과 삶을 누리고자 하는데 있으며, 공동체 안에서 농사의 풍요를 기원하고 감사하며 복을 비는 의례놀이, 식생활, 민간신앙 의식 등의 다양한 모습으로 전승되어 왔다(J. E. Lee, 2008).
유아교육에 있어 세시풍속을 인식하게 된 것은 전통놀이, 전통음식 등 세부적인 영역으로 전통을 접근하다가 이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을 발견하게 된 것이 계기가 되었기 때문이다(Pyeon, 2007). 우리나라의 아이들은 자라날 때부터 한국말을 많이 사용하고, 음식, 놀이 등에 있어 전통적인 문화와 교육 내용을 받아들이며 자라나야 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유아들은 서구의 문화를 받아들이고 이른 시기부터 서양언어를 배우는 등 우리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가 우선시 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3–5세 누리과정에서는 창의·인성교육을 전통문화와 함께 특정 영역이 아닌 필요한 모든 영역에서 고루 다루도록 강조하고, 우리나라의 전통에 대한 이해와 자부심을 토대로 다양한 나라, 인종, 문화를 편견없이 존중하고 관심을 갖는데 중점을 두고 있지만 절기에 맞는 세시풍속을 중심으로 생태교육활동을 하는 경우는 드물다. 따라서 우리의 전통과 사상에 의해 아이들을 키우고, 자연에 대한 자연스러운 접근을 위해서는 유아기 때부터 절기에 따른 세시풍속을 일상생활의 일부로 경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Song (2016)은 자연친화적 태도란 인간과 자연이 함께 삶을 살아가면서 친숙하고, 자연과 하나 되어 가는 태도를 의미하며, 특히 자연이라는 말에는 ‘스스로 그러한 존재’라는 뜻이 담겨져 있어 원래의 상태, 순수한 상태로 있는 존재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고 하였다. H. S. Choi (2011)에 의하면 유아기는 인간 형성의 결정적 시기로 이 때 형성된 가치, 습관 및 태도는 성인이 된 후 삶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되기 때문에 유아기에 경험하는 자연에 대한 직접적인 체험은 자연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 시기에 올바른 태도와 가치를 함양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H.-S. Cho (2005)는 유아기 때부터 자연에 대한 경험은 유아가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를 어린 시기부터 체험하면서 자연에 대한 지적인 호기심을 넘어 자연과 공존하는 삶의 태도를 형성하기 때문에 유아에게 자연친화적인 태도를 형성해주기 위해서는 자연과의 접촉을 통해 다양하고 계속적인 경험을 제공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전통놀이 등과 같은 세시풍속이 포함된 절기에 따른 생태유아교육 활동을 통해 자연친화적 태도를 알아보는 것은 유아들이 동·식물에 대한 관심, 애호, 생명에 대한 존중의식, 자연보호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자연친화적 교육은 유아들과 자연과의 교감을 위해 자연을 직접 접하면서 체험할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을 많이 시도하고 있다(E.-J. Cho, 2011; S.-A. Choi, 2010; M.-K. Kim, 2011; Ryu, 2011; Ryu, Park, & Lee, 2013; Yu, 2012). 그러나 이러한 자연체험 프로그램은 산책활동, 숲 체험 활동, 자연물 이용 등과 같이 한 가지에 특화된 활동이거나 활동을 함께 하는 대상이 교사와 또래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보다 자연친화적인 교육 환경을 조성하고 체험적인 활동이 되기 위해서는 놀이에 접목하고, 다양한 활동대상과 이루어지는 생태체험 활동을 진행할 수 있어야 자연과의 교감, 타인과의 긍정적인 관계로 확장시켜 나갈 수 있다. 세시풍속이 포함되어 있는 절기에 따른 생태교육 활동 경험은 유아의 다양한 호기심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인지 및 정서적인 발달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 예측되지만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생태교육 활동을 통해 유아의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낸 연구들은 (H. S. Choi, 2011; J.-J. Kim, 2009; S. H. Kim & Park, 2014; J.-Y. Lee, 2015; S. M. Lee, 2012; E. J. Lim, 2013) 주로 텃밭 가꾸기, 산책하기, 생태그림책 등을 활용했을 뿐 우리나라 절기와 세시풍속, 전래놀이가 절충된 프로그램을 활용한 연구는 없었다.
현대사회 유아교육은 인지능력만을 강조하는 교육에서 개인과 타인에게 감정이입과 희망을 키워주는 능력인 정서의 발달을 함께 강조하는 풍토로 변화되고 있다. 정서지능은 인지능력을 평가하는 IQ와 다르게 보다 큰 만족을 위해 현재의 만족감을 지연시킬 수 있으며, 충동적이기 보다는 이성적인 것이 앞세우는 자질을 가진 속성이 있다. 정서지능이란 1990년 미국의 뉴햄프셔 대학의 John Mayer 교수와 Peter Salovery 교수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으며, 이들은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고 표현할 줄 아는 능력,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규제할 줄 아는 능력, 자신의 삶을 계획하고 성취하기 위해서 그런 정서를 이용하고 활용할 줄 아는 능력이라고 정의하였다(H. Kim & Lee, 2013). Goleman은 정서지능을 정서로 지각하고 정서지능이 사람들에게 동기를 부여해 주고 절망적인 상황에서 의욕을 잃지 않게 하며, 순간적인 만족을 지연시킬 수 있게 하고, 기분을 조절하고 고뇌 때문에 사고능력이 방해를 받지 않게 하고, 감정이입과 희망을 키워준다고 하였다(1995, as cited in S. H. Han, 2014). 최근 유아들은 바쁜 맞벌이 부모로 인해 혼자 놀이하며 지내는 시간이 많으며, 스마트폰, 컴퓨터, TV 등의 개인 위주의 놀이에 몰입하게 된다. 특히 우리나라의 유아들은 다른 나라의 유아들에 비해 놀이보다는 한글, 영어, 수학 등의 조기학습과 관련된 활동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K.-S. Lee & Sohn, 2012). 이에 따라 유아의 발달단계에 맞는 정서지능 발달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측되는데 세시풍속에 포함되는 전통놀이의 대부분은 2명 이상의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고, 나눔, 배려, 협동 등의 가치를 포함하는 활동이기 때문에 정서지능의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Jin & Park, 2016). 또한 정서지능은 IQ와는 달리 후천적으로 학습되는 능력으로 가정과 교육기관에서의 활동을 통해 발달 또는 성숙이 가능하다. 따라서 세시풍속이 포함된 절기에 따른 생태유아교육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측되지만, 이에 대한 연구가 없어 구체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절기에 따른 생태유아교육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또한 활동 경험 유무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도 함께 검증해 보고자하며,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연구문제 1

  • 절기에 따른 생태유아교육 활동 경험 유무에 따라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 연구문제 2

  • 절기에 따른 생태유아교육 활동 경험 유무에 따라 유아의 정서지능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방법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S시의 G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5세 반 21명이며, W기관에 재원 중인 만 5세반 19명을 비교집단으로 배정하였다. 연구대상 2개의 집단은 생활수준이 비슷한 지역에 위치해 있는 국공립어린이집으로 비교집단은 남아 10명, 여아 9명, 실험집단은 남아 12명, 여아 9명으로 구성되었다(Table 1). 실험집단의 평균연령은 남아 5년 4개월, 여아 5년 6개월이며, 비교집단의 평균연령은 남아 5년 6개월, 여아 5년 5개월로 나타났다.

연구도구

정서지능

본 연구에서는 M. J. Kim (1998)이 개발한 ‘교사용 유아 정서 지능 평정척도’를 H. J. Kim (2008)의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정서지능 평정척도의 각 문항은 반대의 의미를 가진 2개의 진술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담임교사는 유아와 함께 생활하면서 느낀 것에 기초하여 기록지에 표시를 한다. 예를 들면 “감정을 나타내는 말과 얼굴표정이 일치한다.”와 “감정을 나타내는 말과 얼굴 표정이 일치하지 않는다.” 진술문을 읽고, 해당 유아에게 평소 느끼는 것을 검사지의 번호에 표시하게 된다. 정서지능 하위 범주는 6가지로 자기 정서의 이용, 타인 정서의 인식 및 배려, 자기 정서의 인식 및 표현, 감정 조절 및 충동억제, 교사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이며, 총 50문항 (각 12, 10, 9, 9, 5, 5문항)으로 검사시간은 유아 1명당 평균 15분정도가 소요되었다. 5점 Likert식 평정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정서지능이 높음을 의미한다. 각 하위영역별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고, 자기정서의 이용 .88,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92,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89, 감정조절 및 충동억제 .85, 교사와의 관계 .87, 또래와의 관계 .90, 전체 신뢰도는 .91로 나타났다.

자연친화적 태도

본 연구에서 Musser와 Diamond (1999)가 제작한 CATES-PV(The Children’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Scale-Preschool version)를 기초로 하여 Heo (2001)가 번안, 수정하고 So (2007)가 일부 보완한 ‘자연친화적 태도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검사는 1:1 개인 면접 방식으로 다음의 순서로 검사한다. 먼저 유아는 담임교사로부터 자연친화적 태도의 각 문항마다 동일한 상황에 대해 긍정적 태도와 부정적 태도를 보이는 상반되는 두 분류의 이야기를 들은 후 어느 쪽이 유아 자신과 비슷한지 선택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유아는 “이 친구는 기르고 있는 동물의 집을 깨끗이 청소해 준다.”와 “이 친구는 기르고 있는 동물의 집이 더러워도 그냥 둔다.”와 관련된 그림을 보고 둘 중 자신과 비슷한 그림을 선택하게 된다. 선택 후 아주 많이 비슷한지, 비슷한지, 아주 조금 비슷한지에 대해 크기가 다른 3개의 원모양을 선택하게 한다. 자연친화적인 태도의 그림을 선택하고, 가장 큰 원을 선택하면 6점, 중간원은 5점, 가장 작은 원은 4점이며, 비자연친화적인 태도 그림을 선택하고, 작은 원을 선택하면 3점, 중간원은 2점, 큰 원은 1점으로 채점한다.
본 척도는 본래 동 · 식물에 대한 관심과 사랑, 생명에 대한 존중 의식, 인공적인 환경보다 자연환경 선호, 자연보호의 4개의 하위요소로 이루어졌으나, 신뢰도가 .50이하로 나타난 인공적인 환경보다 자연환경 영역과 관련된 문항을 제외하고 분석하였다. 따라서 동·식물에 대한 관심 8문항, 생명에 대한 존중 의식 7문항, 자연보호와 관련 질문 3문항의 3개 하위영역의 총 18개 문항만을 사용하였으며, 검사시간은 유아 1명당 평균 20분정도가 소요되었다. 각 하위영역별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고, 동·식물에 대한 관심과 사랑 .86, 생명에 대한 존중 의식 .83, 자연보호 .87, 전체 신뢰도는 .89이다.

연구절차

본 연구에서 실시한 절기에 따른 생태유아교육 활동은 절기에 따른 세시풍속 활동 내용으로 구성하여 2015년 5월 4일부터 7월 24일까지 주2 또는 3회 총 33회로 실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자연친화적 태도, 정서지능)를 실시한 후 생태유아교육 활동 실시, 사후검사(자연친화적 태도, 정서지능) 순으로 진행되었다. 실험처치 단계에서 실험집단에 대해서는 절기에 따른 생태유아교육 활동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은 누리과정에 의거한 활동을 진행한 후, 자연친화적 태도와 정서지능에 대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교사교육

실험집단의 교사는 교육경력 5년차로 3년제 유아교육학과를 졸업하였으며, 비교집단 교사는 교육경력 4년차로 4년제 아동학과를 졸업한 교사이다. 연구도구의 측정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유아 정서지능과 자연친화적 태도를 측정하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담임교사에게 측정방법에 대한 사전교육을 실시하였다. 절기에 따른 생태 유아교육 활동을 실시하기에 앞서 실험집단의 교사를 대상으로 활동에 대한 교육을 3회 1시간씩 실시하였다.

예비검사

자연친화적 태도 검사도구에 대한 유아의 내용 이해 정도, 검사 소요시간을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에 속하지 않는 경기도 S시의 만5세 유아 10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유아들이 어려워하는 질문은 쉬운 말로 바꾸어서 질문을 사용하였다. 자연친화적 태도의 응답반응에 대한 원의 크기를 3개로 분류해서 유아 자신과 비슷한 정도를 확연하게 구분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왔다.

사전검사

예비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동질성을 확보하기 위해 자연친화적 태도, 정서지능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연친화적 태도 검사는 어린이집 내 독립된 조용한 공간에서 실시하였으며 준비된 질문을 하고, 유아의 응답에 따른 점수를 기록지에 작성하였다.

프로그램의 구성 및 실시

본 연구의 절기에 따른 생태유아교육 활동 프로그램은 유아교육현장에서 5년 이상 생태놀이, 전래놀이 체험을 실시 경험이 있는 원장 3인 및 교사 2인이 협력하여 만5세 유아에게 적합한 형태의 33회 활동으로 구성하였으며, 이를 유아교육과 교수 1인, 아동학 전공 박사 1인에게 자문 및 검증을 받았다. Table 2와 같이 전체적으로 이루어진 절기에 따른 생태유아교육 활동을 제시하여 절기와 관련된 주제를 다양한 활동영역으로 전개함으로써 유아들이 관련 활동을 다양하게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프로그램은 첫째, 세시풍속과 민속놀이에 담겨 있는 조상들의 삶을 통해 우리나라 고유의 세시풍속에 대해 관심을 갖고 놀이를 즐길 수 있으며, 둘째, 우리 주변의 자연에 관심을 갖고 일상생활 속에서 이루어지는 생태교육을 경험할 수 있다는 것으로 2가지 목표를 설정하였다. 생태유아교육 활동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은 생태환경, 세시풍속, 전래놀이로 구성하여 한 가지 활동에서 다양한 개념이 함께 다루어질 수 있다. 프로그램 활동방법은 이야기 나누기, 게임, 동화, 음률, 미술 활동 등이 통합적으로 활동할 수 있게 하였으며, 활동별로 교사, 또래, 부모, 조부모, 지역 어르신이 함께 할 수 있도록 대상을 포함하였다. 프로그램 활동에 사용된 교수매체는 사진, 동영상, 실물, 동화책 등의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Figure 1과 같은 활동안을 제시하였다.

사후검사

프로그램에 의한 생태유아교육 활동을 실시한 후 7월 27일부터 7월 31일까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들의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후검사는 실험집단 21명, 비교집단 19명에게 사전검사와 동일한 자연친화적 태도와 정서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본 연구는 자연친화적 태도, 정서지능의 사전검사 점수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집단 간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기 위해 실험 전에 실시한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사후검사 점수가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연친화적 태도 및 정서지능에 대한 사전검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검사 이후 두 집단이 동질적인지 확인하기 위한 t-검증 결과 자연친화적 태도의 하위요인 중 생명에 대한 존중의식,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자기정서의 이용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자연친화적 태도, 정서지능에서 나타난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통제하는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3).

절기에 따른 생태유아교육 활동경험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 활동경험의 적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사후검사 점수에 대한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여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따른 점수에 있어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Table 4는 프로그램의 활동경험에 따른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대한 집단별 사전 · 사후 검사 점수의 평균 및 표준편차, 조정된 사후검사 점수의 평균과 표준오차이다.
동 · 식물에 대한 관심과 애호의 집단별 사전 · 사후 검사 점수의 평균을 살펴본 결과, 사전검사에서 비교집단 평균은 3.79(SD = 0.19), 실헙집단 평균은 3.52 (SD = 0.61)으로 나타났으나, 두 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조정된 사후검사 점수에서는 비교집단 평균은 3.92 (SD = 0.19), 실험집단 평균은 4.87 (SD = 0.19)로 나타났다. 생명에 대한 존중의식에서 두 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조정된 사후검사 점수는 비교집단 평균이 3.72 (SD = 0.09), 실험집단 평균은 5.03 (SD = 0.09)으로 나타났다. 자연호보에서 두 집단의 사전 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조정된 사후검사 점수는 비교집단 평균이 3.92 (SD = 0.19), 실험집단 평균이 4.87 (SD = 0.19)로 나타났다.
본 활동의 경험 여부에 따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자연 친화적 태도의 하위요인 점수 증가에 있어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을 한 결과는 Table 5과 같다.
Table 5에 제시되었듯이 동식물에 대한 관심과 애호에 대한 주효과는 F = 9.66 (p < .001)로, 사전검사 점수를 통제한 두 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명에 대한 존중의식에 대한 주 효과는 F = 48.20(p < .001)로, 사전검사 점수를 통제한 두 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보호에 대한 주효과는 F = 51.45 (p < .001)로, 사전검사 점수를 통제한 두 집단 간의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활동이 자연친화적 태도의 하위요소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진다.

절기에 따른 생태유아교육 활동경험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 활동 경험의 적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사후검사 점수에 대한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여 유아의 정서지능에 따른 점수에 있어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Table 6은 활동경험의 적용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에 대한 집단별 사전 · 사후 검사 점수의 평균 및 표준편차, 조정된 사후검사 점수의 평균과 표준오차이다.
자기정서 이용의 집단별 사전·사후 검사 점수의 평균을 살펴본 결과, 사전검사에서 비교집단 평균은 3.58 (SD = 0.20), 실험집단 평균은 3.23 (SD = 0.26)으로 나타났으나 두 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조정된 사후검사 점수에서는 비교집단 평균이 3.38 (SD = 0.05), 실험집단 평균은 4.23 (SD = 0.05)으로 나타났다. 타인 정서의 인식 및 배려에서 두 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조정된 사후검사 점수는 비교집단 평균이 3.17 (SD = 0.05), 실험집단 평균이 4.28 (SD = 0.05)로 나타났다.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에서 두 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조정된 사후검사 점수는 비교집단 평균이 3.64 (SD = 0.09), 실험집단 평균이 4.36 (SD = 0.09)으로 나타났다. 감정 조절 및 충동억제에서 두 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조정된 사후검사 점수는 비교집단 평균이 3.34 (SD = 0.06), 실험집단 평균은 4.20 (SD = 0.06)으로 나타났다. 교사와의 관계에서 두 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조정된 사후검사 점수는 비교집단 평균이 3.49 (SD = 0.06), 실험집단 평균이 4.41 (SD = 0.06)으로 나타났다. 또래와의 관계에서 두 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조정된 사후검사 점수는 비교집단 평균이 3.19 (SD = 0.06), 실험집단 평균이 4.02 (SD = 0.06)로 나타났다.
생태유아교육 활동의 경험 여부에 따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점수 증가에 있어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을 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Table 7에 제시되어 있듯이, 자기 정서의 이용에 대한 주효과는 F = 64.97 (p < .001)로 사전검사 점수를 통제한 두 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인 정서의 인식 및 배려에 대한 주효과는 F = 106.68 (p < .001)로 사전검사 점수를 통제한 두 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정서의 인식 및 표현에 대한 주효과는 F = 12.54 (p < .001)로 사전검사 점수를 통제한 두 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 조절 및 충동억제에 대한 주효과는 F = 64.97 (p < .001)로 사전검사 점수를 통제한 두 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와의 관계에 대한 주효과는 F = 68.95 (p < .001)로 사전검사 점수를 통제한 두 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와의 관계에 대한 주효과는 F = 68.33 (p < .001)로 사전검사 점수를 통제한 두 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활동이 정서지능의 하위요소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절기에 따른 생태유아교육 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기한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절기에 따른 생태유아교육 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서 집단 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생태유아교육 활동이 자연친화적 태도를 향상시킨다는 선행연구 결과(Hwang, 2005; S.-H. Kim, 2015; S. H. Lee, 2013; E. J. Lim, 2013; H.-J. Oh, 2008)와 일치한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활동을 예로 들면, 5월의 절기인 입하 때 교사는 유아들에게 봄이 퇴색하고 여름이 시작한다는 절기의 의미와 함께 관련 음식과 놀이 등에 대해 소개하고, 유아들에게 텃밭에 모종 심기, 쑥을 관찰하는 등의 자연관찰 경험을 하게 하였으며, 쑥으로 떡을 만들어 지역 어르신들께 대접하는 활동을 하는 등 자연과 접하는 경험을 다양화 하여 절기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텃밭가꾸기와 연계한 요리활동을 통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 증진에 영향을 미친 연구(S.-K. Han, 2006; Jang, 2014)를 뒷받침해주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본 활동을 통해 유아는 계절에 따라 자연의 변화를 관찰하고, 자연의 고마움을 스스로 깨닫게 될 수 있게 되므로 절기에 따른 생태유아교육 활동은 활동 과정에서 동물과 식물에 대한 애호, 생명에 대한 존중의식, 자연을 보호하는 행동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는 활동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날씨의 변화와 농경사회에서 조상들의 지혜가 담긴 풍속들을 경험함으로써 자연물에 대한 감사한 마음이 자연친화적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둘째, 절기에 따른 생태유아교육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에도 집단 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생태유아교육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에 기여한다는 선행연구 결과(H. S. Choi, 2011; G. A. Im, 2012; J.-J. Kim, 2009; S. H. Kim & Park, 2014; J.-Y. Lee, 2015; S. M. Lee, 2012)와 일치한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활동을 예로 들면, 6월의 절기 하지 때 교사는 유아들에게 태양이 가장 높게 있고, 길게 있는 시기라는 절기의 의미와 함께 감자로 아빠와 전을 해먹는 활동(토요아빠참여 활동), 지역 어르신들과 감자를 캐보는 활동을 경험하게 하였으며, 친구들과 황소씨름, 문지기 놀이 등 신체활동 놀이를 접할 수 있게 하는 등 유아가 또래, 부모, 어르신 등 다양한 사람들과 함께 활동하는 경험을 통해 절기를 이해하도록 하였다. 이는 협동적 자연친화 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또래와의 상호작용하며 자신의 감정을 교류하고, 타인을 배려하며, 자신의 역할 수행하는 기회를 갖는 등 정서를 활용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연구(Shin & Kwon, 2014)와 생태체험활동을 통해 타인을 인식하고 조절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연구(Suh, 2014)를 지지해 주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절기에 따른 생태유아교육 활동은 활동 과정에서 교사와 또래 또는 부모, 조부모, 지역 어르신과 함께 하는 상호작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아의 정서적인 성장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활동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전래놀이를 통해 규칙을 배우고, 자신의 기술을 인정받고, 친구 또는 어른을 배려하는 등 자긍심 및 배려심을 갖게 되어 정서적인 안정감을 느낄 수 있게 되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절기에 따른 생태유아교육 활동을 전개하다보면 텃밭활동, 산책 등과 같은 체험활동이 함께 연계되어 시행될 수밖에 없다. 도시화로 인해 유아들이 살아가고 있는 공간이 인공적이고 무미건조할 수 있지만 그 공간속에서 세시풍속 체험, 전통놀이 및 민요 등의 활동을 제공한다면 생태유아교육에서 주장하는 자연을, 놀이를, 아이다움을 되찾아주는 유아교육의 방향으로 전개되고, 유아의 전인적인 성장을 도와줄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절기에 따른 생태유아교육 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동식물에 대한 관심과 애호, 생명에 대한 존중 의식, 자연 보호 모두에서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절기에 따른 생태유아교육 활동을 통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절기에 따른 생태유아교육 활동은 유아의 정서 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정서의 이용, 타인 정서의 인식 및 배려, 자기 정서의 인식 및 표현, 감정 조절 및 충동억제, 교사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 모두에서도 사전검사 보다 사후검사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절기에 따른 생태유아교육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세시풍속이 포함된 절기에 따른 생태유아교육 활동은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정서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세시풍속과 관련된 놀이가 포함된 절기에 따른 생태유아교육 활동이 유아교육기관의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할 계기를 마련해 주고, 유아들의 놀이문화에 우리나라의 절기에 따른 풍속과 놀이가 자연스럽게 스며들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 어린이집이 소재한 지역의 자연환경에 제한되었고, 관찰 자연 소재도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내용으로 선정되었다. 유아들에게 자연과 공존하는 삶을 알아가도록 하기 위해서는 주변의 자연물뿐만 아니라 계절에 따라 다양한 동식물 등의 자연물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유아에게 다양한 자연체험을 위한 교육공간이 마련되어야 하며 교육활동에서 지역사회의 자원에 대한 활용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여건이 갖추어졌어도 효과적인 활동이 되기 위해서는 유아들에게 자연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인식을 갖도록 교사의 자연에 대한 지식과 개념 및 긍정적인 태도가 우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적극적인 지원과 교사의 신념, 태도 등 다각적인 교육적 통찰을 고려하여 교육현장에서 이를 실천하고, 농촌, 어촌, 산촌, 환경복합도시, 환경 단순도시 등 유아의 활동환경을 중심으로 생태교육의 지도 방향을 제시하고 복합 환경 지역에서는 복합 활용을 통해 교사의 프로그램 개발을 지원하는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아울러 앞으로 자연과 유리된 유아들의 다양한 정서적 문제 및 행동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유아의 발달 수준과 연령별 누리과정에 적합한 절기에 따른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및 활동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야할 것이다.

Notes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Figure 1
Figure 1
An example of eco-friendly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seasonal divisions (32 sessions).
kjcs-37-5-101f1.gif
Table 1
Study Participants
Boy
Girl
Total
Group n Age n Age n Average age
Experimental 12 5 year and 6 months 9 5 year and 5 months 21 5 year and 6 months
Comparative 10 5 year and 4 months 9 5 year and 6 months 19 5 year and 5 months
Total 22 5 year and 5 months 17 5 year and 6 months 40 5 year and 6 months
Table 2
Contents of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Seasonal Divisions
Month Theme Sessions Seasonal division Holiday Aims Ecological environment (outside the preschool) Seasonal customs (within preschool) Traditional song and play Object of activity Kinds of activity
May Me and my family 1 Ipha: beginning of summer (5.6) To learn about types of vegitable seeds and importance of life. Learn to plant a seedling without hurting root and leaf and cover with ground dirt ●★■▲□ Outside activity
2 To investigate spring plant mugwort and its utility. Observe mugwort Outside activity
3 To grow interest about change of mugwort. Treat grandparents after learning cooperation and give away by making rice cake with mugwort ●▲ Cooking
4 To learn traditional songs and its origins. Admirable Music
5 To learn about traditional game and experience it. Tree branch play with friends and solicitude ●★ Outside activity
6 Soman: beginning of grain ripening (5.21) To grow interest in riceplanting and experience it. Design rice paddy and plant rice seedlings with mom ●★□ Outside activity
7 To grow interest in sweet potatoes. Plant sweet potato with cooperation ●★ Outside activity
8 To learn the meaning of Soman and make some wish lists. Make a wish Outside activity
9 To grow interests in traditional songs and sing it. Song of frog ●★ Melody
10 To participate in seek and hide game. Play hide-and-seek Outside activity
11 To learn about growth of barley. Observe and learn how barley becomes food Outside activity

June My neighborhood 12 Mangjong: the barley harvest season (6.6) To grow interest in hometown. Observe things from Sea Wolgot and give love to them Outside activity
13 To feel the importance of plants. Remove extra sprouts of tomato ●★ Outside activity
14 To investigate the Japanese apricot. Immerse sugar in water with sugar and learn cooperation Cooking
15 Mangjong: the barley harvest season (6.6) To grow interest in traditional songs. Listen carefully and respect others’ opinion through ‘Let’s go to the market’. ●★ Body
16 To grow interest in traditional songs and games. Play stones with grandparents and learn to respect the elderly ●▲ Outside activity
17 Haji: Summer solstice (6.22) Dano: the fifth day of the fifth month of the year by lunar calender (6.20) To learn about potato harvest. Dig out potatoes with the elderly ●▲ Outside activity
18 To learn about Dano. Make Danosun (folding fan) Art
19 To use sensational organs. Make potato pancake with dad ●■ Cooking
20 Use whole body to express traditional songs. Bull wrestling Body
21 To lessen the body tension by activity. Gatekeepers through the turn, concessions and to consider and respect the others. ●★ Body

July Summer 22 Soseo: Minor Heat (7.7) To investigate the seeds of garden balsam. Observe garden balsam Outside activity
23 To grow interest in nearby subjects. Learn the value of life by observing pine tree in OkGu part with dad ●■□ Outside activity
24 To learn about four seasons. Pick and pound balsam leaf and dye each others nails Outside activity
25 To learn about weather and start of summer. Sun, sun! Melody
26 To grow interest in traditional songs and traditional games. Learn about waiting through the game 'How close have you come?’ and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pace ●★ Outside activity
27 To experience the activity which let us feel the forest and sea. Meet plants and life living in Gaetgol Eco Park Outside activity
28 Daeseo: Major heat (7.23) Yudu: water greeting (7.30) To grow interest in nearby plants. Flower necklace. Outside activity
29 To grow interests in regional characteristics. See Oido island mud with dad and love living things ●■ Outside activity
30 To experience the types of fruits. Have fruit said together with grandparents during Yudu ●▲ Cooking
31 To learn about 'how to bare summer.’ Make bead with dough, color them and make it a necklace with cooperation Art
32 To recognize parts of body and use it. Play ‘A bag of beans and a bag of red beans’ and learn about balance and respect for friends Melody
33 To enjoy beauty of flowers, plants and trees. Learn to cooperate and love natural objects by making bookmark of growing flower ●★ Art

Note. ● = teacher; ★ = mother; = father; ▲ = grand parents; □ = local seniors.

Table 3
Pretest Finding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Nature-Friendly Attitudes
Experimental group
Comparative group
t
M SD M SD
Nature-friendly attitude
 Interest and love for animals and plants 3.52 0.61 3.79 0.19 1.86
 The level of respect for life 3.37 0.66 3.81 0.17 2.98*
 Protection of nature 3.95 0.86 3.81 0.37 -.68
Emotional Intelligence
 Use of ones emotion 3.23 0.26 3.58 0.20 4.81***
 Notice of others emotion and understanding 3.22 0.34 3.47 0.25 2.62
 Notice of ones emotion and its expression 3.40 0.34 3.68 0.23 2.97
 Emotional and impulse control 3.17 0.43 3.39 0.25 1.91
 Relationship with a teacher 3.45 0.37 3.61 0.28 1.55

* p < .05.

*** p < .001.

Table 4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Subcategories of Nature-Friendly Attitudes
Subcategories Group n Pre
Post
Adjusted score
M SD M SD M SE
Interest and love for animals and plants E 21 3.52 0.61 4.73 1.17 4.87 0.19
C 19 3.79 0.19 4.07 0.67 3.92 0.19
The level of respect for life E 21 3.37 0.66 4.86 0.44 5.03 0.09
C 19 3.81 0.17 3.90 0.63 3.72 0.09
Protection of nature E 21 3.95 0.86 5.49 0.66 5.45 0.11
C 19 3.81 0.37 4.14 0.58 4.19 0.11

Note. N = 40. E = experimental group; C = Comparative group.

Table 5
ANCOVA Results of Subcategories of Nature-Friendly Attitudes
Subcategories Source SS df MS F
Interests and love for animals and plants ANCOVA (pre) 9.28 1 9.28 9.66***
Group 8.26 1 8.26
Error 26.08 37 0.70
Total 820.71 40
The level of respect for life ANCOVA (pre) 5.36 1 5.36 48.20***
Group 13.90 1 13.90
Error 5.59 37 0.15
Total 797.10 40
Protection of nature ANCOVA (pre) 6.12 1 6.12 51.45***
Group 15.78 1 15.78
Error 8.75 37 0.23
Total 974.00 40

*** p < .001.

Table 6
Means and Standard of Subcategories of Emotional Intelligence
Subcategories Group n Pre
Post
Adjusted score
M SD M SD M SE
Use of ones emotion E 21 3.23 0.26 4.09 0.28 4.23 0.05
C 19 3.58 0.20 3.54 0.28 3.38 0.05
Notice of others emotion and understanding E 21 3.22 0.34 4.16 0.41 4.28 0.05
C 19 3.47 0.25 3.32 0.39 3.17 0.05
Notice of ones emotion and its expression E 21 3.40 0.34 4.29 0.46 4.36 0.09
C 19 3.68 0.23 3.73 0.41 3.64 0.09
Emotional and impulse control E 21 3.17 0.43 4.08 0.60 4.20 0.06
C 19 3.39 0.25 3.47 0.39 3.34 0.06
Relationship with a teacher E 21 3.45 0.37 4.33 0.45 4.41 0.06
C 19 3.61 0.28 3.58 0.39 3.49 0.06
Relationship with peer E 21 3.19 0.50 3.92 0.58 4.02 0.06
C 19 3.39 0.25 3.31 0.37 3.19 0.06

Note. N = 40. E = experimental group; C = Comparative group.

Table 7
ANCOVA Results of Subcategories of Emotional Intelligence
Source SS df MS F
Use of ones emotion ANCOVA (pre) 1.63 1 1.63 64.97***
Group 4.62 1 4.62
Error 1.32 37 0.04
Total 593.08 40
Notice of other’s emotion and understanding ANCOVA (pre) 4.22 1 4.22 106.68***
Group 10.56 1 10.56
Error 1.96 37 0.05
Total 577.99 40
Notice of one’s emotion and its expression ANCOVA (pre) 1.09 1 1.09 12.54***
Group 4.13 1 4.13
Error 6.14 37 0.17
Total 657.43 40
Emotional and impulse control ANCOVA (pre) 6.70 1 6.70 57.59***
Group 6.81 1 6.81
Error 3.35 37 0.09
Total 589.68 40
Relationship with teacher ANCOVA (pre) 4.11 1 4.11 68.95***
Group 7.87 1 7.87
Error 2.63 37 0.07
Total 644.44 40
Relationship with peer ANCOVA (pre) 6.42 1 6.42 68.33***
Group 6.31 1 6.31
Error 2.77 37 0.07
Total 540.08 40

*** p < .001.

References

Campbell, C., Jobling, W. (2012). Effective science learing environments. In C. Campbell, & W. Jobling (Eds.), Science in early childhood. (pp. 80-85).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awla, L., & Cushing, F. D. (2007). Education for strategic environmental behaviour.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13(4), 437-452 doi:10.1080/13504620701581.
crossref
Laird, S. G., McFarland-Piazza, L., & Allen, S. (2014). Young children’s opportunities for unstructured environmental exploration of nature: Links to adults’ experiences in childhood.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2(1), 58-75.

An, E.-J., & Jeon, Y.-Y. (2015). The effect of group play activities through traditional children’s songs on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aggression.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16(4), 223-245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101743705.

Cho, E.-J. (2011). Effects of the nature experience activities in the gorest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creativeness of young children.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2514105.

Cho, H.-S. (2005).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nature friendly program for young children.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5(5), 343-366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99534791.

Choi, H. S. (2011). Effects of nature-griendly mathematics education on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ies.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2565361.

Choi, S.-A. (2010). The effect of nature meditation activities on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daily stress.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18789.

Han, J. S. (2003). The educational meaning of nature experience activity at kindergarten.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085259.

Han, S. H. (2014). Effects of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peer-competence.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358931.

Han, S.-K. (2006). The effects of cooking and backyard gardening activities on children’s pro-environmental attitude and scientifie process skill.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0791069.

Hwang, G. M. (2005). An effect of nature-friendly educational program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2237844.

Im, G. A. (2012).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nature-friendly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exploring nature through getting familiar with and communing with nature’ approach on children’s nature-friendly attitudes and scientific investigation skills.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2909039.

Jang, J.-Y. (2014). The influence of cooking associated with backyard gardening activities on children’s pro-environmental attitude and social competence.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82015.

Jin, Y. M., & Park, H. A. (2016). The effects of traditional group play on preschoolers’ development of social skills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15(1), 215-242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101833315.

Kim, H., & Lee, S. (2013). The effects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ability.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17(3), 369-391 Retrieved from http://www.newnonmun.com/article=56854.

Kim, J.-J. (2009). A study on young children’s curiosity and nature-friendly attitude shown through their nature experiential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Children’s Media, 8(2), 259-278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76539289.

Kim, M.-K. (2011). Effects of nature friendly educational activities through a walk on young children’s naturalist intellig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2396480.

Kim, S. H., & Park, E. J. (2014). The influence of nature experience activities based on ecological picture books on both scientific research skills and natural friendly attitude for the childre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18(1), 60-88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99959571.

Kim, S.-H. (2015). The effect of activity in nature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nature friendly attitude.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717433.

Kim, H. J. (2008). The effect of ecological art education program with community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383015.

Kweon, M.-R. (2010). An investigative study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environment through the reflective discussion: On the view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9(4), 85-107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100113906.

Lee, J. E. (2008). R & D on seasonal Korean music of infants education program.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229958.

Lee, J.-Y. (2015).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programs on the natural environment on the infant’s basic motor skills and nature friendly attitude: Focused on the two years old age’s classes.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817802.

Lee, K.-S., & Sohn, S.-Y. (2012). A comparison of the daily lives of children in Korea, China, Japan and Taiwan.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2(2), 49-71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99535322.
crossref
Lee, S. H. (2013). Impact of using picture books eco-friendly nature activities to the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verbal creativity.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310503.

Lee, S. M. (2012). Impact of natural-objects exploration activities on the nature-friendly attitude and drawing representation skills of preschoolers.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2926892.

Lee, Y. S. (2007). A discourse on the ecological folklore and development of eco-kid education: In the case of the education of season’s custom in Gwangju & Jeonnam eco-kid community. The Korean Folklore, 46(1), 43-74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76249615 .

Lim, E. J. (2013). The effects of nature play activities through a walk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layfulness.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036660.

Lim, J.-T., & Kim, S.-O. (2000). Research on understandings of professors, directors, and teachers about ecology 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Korea Associ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6:1-20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3022159.

Oh, H.-J. (2008). Effect of nature based art activities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Focused on preschool children.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518995 .

Oh, J.-S., & Bae, J.-H. (2015). A comparativ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academic journals about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cologic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94:21-44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101196296.

Pyeon, H.-M. (2007). Aspects of acceptance of traditional Customs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going beyond limitations. The Korean Folklore, 46:105-136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76249617.

Ryu, J.-M. (2011). Impact of play-in-nature activities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preschoolers.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2633860 .

Ryu, S.-H., Park, Y.-H., & Lee, S.-W. (2013). The effects of gardening activities promoting nature-experience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nature-friendly attitude. Korean Education Inquiry, 31(3), 1-20 Retrieved from http://www.earticle.net/Article.aspx?sn=204028.

Shin, M.-J. & Kwon. (2014). The effects of the cooperative nature-friendly activity program on child's peer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t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9(1), 427-449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9994372.

So, K. H. (2007). The effects of a nature experience activity program on children's nature friendly attitude and artistic expression ability.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028013 .

Song, M.-H. (2016). The effect of mathematical storytelling activities using natural objectives on young children mathematical abilities and eco-friendly attitudes.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4021498 .

Suh, H.-J. (2014). The effets of u-learning integrated eco experience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friendly attitud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hood Education, 19(2), 447-472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100000281.

Yu, H.-J. (2012). The effect of nature experience activities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kills.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2915658 .

Editorial Office
The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S1433-1, Myongji University,
34 Geobukgol-ro, Seodaemun-gu, Seoul, 03674, Republic of Korea
TEL: +82-10-7704-8342   E-mail: gochildren@hanmail.net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The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Developed in M2PI